요즘 같은 저성장 시기에 가장 성공적인 재테크는 무엇일까?
대박 투자를 할 곳이 마땅치 않은 만큼 쓸데없이 나가는 세금이나 보험금을 최대한 줄이는 게 상책이다. 주머니를 두둑이 하는 피가 되고 살이 되는 재테크 정보를 전한다.
기획 양태석 기자
그냥 무심코 지나치면 손해! 쓸데없이 나가는 세금 막자!
유비무환이라는 말이 있지 않는가?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다. 현명한 절세 방법은 무엇인지 제
안해본다.
1. 최고세율구간 신설! 해당되면 소득분산시켜라!
세금도 마찬가지인데, 올해부터 최고세율구간(총 급여 5억 원 초과 시 세율 40%)이 신설된다. 이정도 돈을 가진 부자라면 증여나 상속으로 자신의 소득을 분산시켜야 할 것이다.
2. 정부의 신용카드 소득공제 연장! 소득 25%는 신용카드, 이후 체크카드 사용하기
카드 사용법도 숙지하자. 다행히 정부에서 신용카드 소득공제를 연장하기로 했다. 총 급여 1억2000만 원 이하는 한도가 300만 원으로 그대로 유지된다. 카드를 많이 쓸 수밖에 없는 서민들에게는 큰 도움이 될 것 같다. 그러나 여기에도 전략이 필요하다. 일단 카드 공제를 받기 위해서는 소득의 25%를 카드로 써야 한다. 이런 기준을 이해한 후 소득의 25%까지는 부가혜택이 많은 신용카드를 사용하고 이후에는 체크카드를 사용하자. 왜냐하면 신용카드는 공제율이 15%에 불과 하지만 체크카드는 공제율이 30%나 되기 때문이다. 맞벌이
부부라면 급여가 적은 배우자에게 몰아주는 것이 유리하다.
3. 신용카드 공제와 중복되는 의료비 공제 꼼꼼히 챙겨라!
의료비는 공제율이 15%다. 기본공제 대상자의 나이와 소득기준과 무관하게 합산해 신고할 수 있다. 또한 신용카드 공제와 중복해서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꼼꼼히 챙겨야 한다. 의료비 세액 공제는 소득의 3% 이상을 의료비로 지출해야 한다. 안경이나 보청기도 영수증이 있으면 공제 받을 수 있다.
보험 가입자라면 꼭 읽어볼 것
보험도 갈수록 정교화되고 계속 변화하기 때문에 정책에 따라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 자기에게 맞는 보험에가입해야 하고, 정책에 따라 변하는 기회를 잘 잡아야 한다.
1. 2년간 비급여 보험료 청구 안 한 실손의료보험 가입자 4월에 출시되는 실손보험 10% 할인
그런데 보험료는 많이 내지만 보험금 청구를 해보지 못한 실손의료보험 가입자들이 많다. 이제 올 4월에 새롭게 출시되는 실손보험은 2년간 비급여 보험료를 청구하지 않은 이용자에게 보험료를 10%나 할인해준다. 그러나 병원 진료를 많이 받으면 받을수록 보험료를 많이 내야 한다. 몸이 건강한데 비싼 보험료만 내고 있는사람이라면 한번 고려해볼 만하다.
2. 찾기 쉬워진 장기저축성 보험원금 돌려받은 원금은 더 좋은 곳에 투자하자!
장기 저축성 보험원금을 찾기 쉬워진다. 납입기간은 다 끝났지만 만기일이 남아 돈을 묶어둬야 하는 사람들을 막기 위한 것이다. 새해부터 새롭게 계약하는 저축성보험 상품들은 납입기간이 끝나면 원금을 돌려받을 수 있다. 납입기간이 7년 이하인 보험은 납입이 끝나는 시점부터, 7년 이상인 보험은 7년이 되는 시점부터 원금을 돌려받을 수 있다.
3. 비과세 혜택 받으려면 2월 3일 이전 저축성 보험 가입하라!
비과세 혜택을 받고자 저축성 보험에 새롭게 가입하려고 한다면 2월 3일 이전에 하는 게 좋다. 앞으로 비과세 혜택이 대폭 축소되기 때문이다. 그동안 10년 이상 가입기간인 상품에 대해서는 일시납 2억 원까지, 월 적립식은 5년 이상 납입 시 무제한으로 비과세 혜택을 줬다. 그러나 2월 3일 이후부터는 일시납 1억 원, 월적립식 150만 원까지만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