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U 청년
대학원생의 심리적 자원이 고갈되고 있다
글 강새힘 (대학원 석사과정 수료) 대학원 수업학기가 끝났다. 명쾌하게 정리될 수 없는 시간이었지만 명확한 점검의 필요를 느낀 현상이 있었다. 대학원생의 심리적 자원의 문제, 나와 동료들의 우울경험이다. 그것이 특정한 개인의 사안을 넘어선다는 점은 최근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김다혜의 석사학위논문(2020)[1]에 따르면 대학원생의 34.6%가 우울감을 느끼고 있다. 이는 대학생, 중년 직장 남성, 중년 여성 등 특정 군집의 우울 평균 점수보다 더 높은 수준이다. 그런가하면 원생의 24.5%는 최근 1년 간 자살을 생각했다. 동 연령대 한국인의 자살생각률(2.3~5.4%)보다 현저히 높은 수치이다. 2016년 서울대에서 실시한 인권실태 보고서의 분석이다. 대학원생은 왜 우울할까? 그물망과 같은 영향구조 속에서 그 계기는 하나로 수렴될 수 없다. 가장 유력한 경제적 요인을 논하기에는 지나치게 많은 변수가 개입한다. 등록금 및 생활비 조달 방식, 주거의 독립 여부, 피부양가족의 유무, 근로자의 경우 근로형태와 노동시간, 임금수준 등 복합적인 층위가 존재한다. 반면 심리적 영역의 경우 학교 안팎에서 만난 대학원생들 사이에서 큰 편차를 보이지 않았다. 그들 대다수가
자세히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