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인의 글

국정감사 무용론 (無用論)

국정감사 무용론 (無用論)


*올해 국감 학점은 “D -”(디 마이너스) 25년 국감 NGO 모니터단의 최악의 평가입니다
* 국정 감사장인지 난장판인지 구분하지 못할 정도로 다양한 난맥상 보임
* 상임위원장의 ‘독단적’ 운영 논란
* 정쟁에 매몰된 국정감사, 욕설·막말, 동행명령장 발부
* “감사 아니고 수사”로 보인 정쟁국감
한마디로 “이재명 방탄, 김 여사 의혹” “민생과 정책을 외면한 정쟁국감”이라고 규정지었습니다


국정 전반을 살피는 국정감사에 무용론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국회가 국민을 대신하여 행정부와 사법부를 감시하는 최고의 수단인 국감이 도마에 오른 이유는 무엇일까요?
국정 전반에 대한 심도 있는 토론의 장이 되어야 할 국감이 정쟁을 일삼고,

예외 없이 엄청난 수의 증인이 채택되지만 정작 중요한 증인은 
갖가지 핑계로 불출석하고, 이를 지켜보는 국민은 속이 터집니다

 

국회법이 요구하고 있는 덕목 대신 소속정당의 이해에 충실할 뿐 아니라
일방적인 진행과 발언 독점도 신종의 보기 드문 풍경이었고

여·야  감사위원 그리고 증인들까지 가세한 막말은 가관이었습니다


국제적으로는 문화 예술을 필두로 노벨문학상에 이르기까지 국격이 올라가는데

국회의 모습은 갈수록 격을 떨어뜨리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언론과 유튜브에 막말을 하는 의원들은 조회 수가 많고,

품격 있는 의원들은 조회 수가 적어서 
욕설, 막말하는 의원님들이 정치쇼를 만드는 거겠지요 


국민에게 전하고 싶습니다
국회가 스스로 자정 능력이 없으니 이제는 국민이 먼저 나서서 
막말하는 국회의원들에게 회초리를 들고
민생과 정책을 챙기는 품격 있는 정치인을 확실하게 밀어주는 
국민의 따끔한 울림을 제안합니다

 

 

[지방정부티비유=티비유 기자]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광주 서구, 차인표 초청 북토크 티켓 매진 인기몰이

인기 배우 겸 작가 차인표가 서구를 찾았다. 광주광역시 서구(구청장 김이강)가 18일 서빛마루문화예술회관에서 차인표 초청 북토크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지난 2월 티켓 오픈과 동시에 공연장 300석이 모두 매진될 정도로 큰 인기를 끌었으며, 서구청 유튜브를 통한 생중계 방송에도 수백명이 동시 접속하는 등 뜨거운 관심을 모았다. 차 작가는 1990년대 드라마‘사랑을 그대 품 안에’에 주연배우로 출연하면서 스타덤에 올랐으며 지금은 세계의 어려운 아이들을 돕는 NGO 단체인‘컴패션’에서 자원봉사자로 활동하고 다양한 기부를 통해 나눔을 실천하고 있다. 차 작가는 이날 자신이 쓴 소설 ‘언젠가 우리가 같은 별을 바라본다면’을 주제로 일제강점기 위안부 문제 등 우리 근현대사의 아픈 과거에 대해 관객들과 소통했다. 북토크 1부는 차 작가가 “캄보디아에 군 위안부로 끌려갔던 훈 할머니를 보고 책을 구상했으며 완성까지 10년이 걸렸다”며 “분노와 부정적 감정을 넘어 내 아이에게 위안부 문제를 어떻게 이야기할 것인가 고민하면서 글을 썼다”고 책을 쓰게 된 배경과 과정, 그 안에 담긴 자신의 고민과 생각을 풀어냈다. 이어 2부는 참석자들과 질의응답 중심의 소통시간으로 진행됐다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