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인의 글

국정감사 무용론 (無用論)

국정감사 무용론 (無用論)


*올해 국감 학점은 “D -”(디 마이너스) 25년 국감 NGO 모니터단의 최악의 평가입니다
* 국정 감사장인지 난장판인지 구분하지 못할 정도로 다양한 난맥상 보임
* 상임위원장의 ‘독단적’ 운영 논란
* 정쟁에 매몰된 국정감사, 욕설·막말, 동행명령장 발부
* “감사 아니고 수사”로 보인 정쟁국감
한마디로 “이재명 방탄, 김 여사 의혹” “민생과 정책을 외면한 정쟁국감”이라고 규정지었습니다


국정 전반을 살피는 국정감사에 무용론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국회가 국민을 대신하여 행정부와 사법부를 감시하는 최고의 수단인 국감이 도마에 오른 이유는 무엇일까요?
국정 전반에 대한 심도 있는 토론의 장이 되어야 할 국감이 정쟁을 일삼고,

예외 없이 엄청난 수의 증인이 채택되지만 정작 중요한 증인은 
갖가지 핑계로 불출석하고, 이를 지켜보는 국민은 속이 터집니다

 

국회법이 요구하고 있는 덕목 대신 소속정당의 이해에 충실할 뿐 아니라
일방적인 진행과 발언 독점도 신종의 보기 드문 풍경이었고

여·야  감사위원 그리고 증인들까지 가세한 막말은 가관이었습니다


국제적으로는 문화 예술을 필두로 노벨문학상에 이르기까지 국격이 올라가는데

국회의 모습은 갈수록 격을 떨어뜨리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언론과 유튜브에 막말을 하는 의원들은 조회 수가 많고,

품격 있는 의원들은 조회 수가 적어서 
욕설, 막말하는 의원님들이 정치쇼를 만드는 거겠지요 


국민에게 전하고 싶습니다
국회가 스스로 자정 능력이 없으니 이제는 국민이 먼저 나서서 
막말하는 국회의원들에게 회초리를 들고
민생과 정책을 챙기는 품격 있는 정치인을 확실하게 밀어주는 
국민의 따끔한 울림을 제안합니다

 

 

[지방정부티비유=티비유 기자]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굴포천 복원 시민의 품으로...구민 안심·편안 우선 “더 큰 부평으로” [차준택 부평구청장]

도심에 물이 흐르고 새가 찾아와 지저귀면 시민들의 웃음이 꽃처럼 피어난다. 9월이면, 부평에서 굴포천이 흐른다. 오래 주차장으로 쓰던 콘크리트 바닥이 이제 ‘자연’의 모습으로 시민의 품에 돌아온다. 차준택 부평구청장이 소망하고 부평 구민이 갈구하던 굴포천 복원이 정말 코앞에 왔다. 차 구청장은 어르신들이 좋아할 얼굴이다. 광대뼈조차 부드러운 곡선에 묻혀있고 콧망울도 기(氣)는 살아있지만 거만하지 않다. 굴포천을 닮았다. 웃음이 쑥스러워 고개를 숙이는 모습이 상대방에 편안함을 준다. 부끄럼 타는 이 ‘부평 사나이’를 구청장 재선으로 이끈 뚝심은 어디서 나올까. 그의 온화한 입술에서 찾았다. 아침마다 간절하게 바라는 것은 구민의 안전이요, 매일 민원 현장에서 구하는 것은 구민의 편안함이었다. 안전과 편안함, 두 단어가 인터뷰 내내 중첩되며 부평은 인천의 핵심으로 나아갔고 대한민국의 알짜로 거듭났다. 장소 부평구청장 집무실 대담 이영애 발행인 정리 엄정권 대기자 사진 전화수 기자 영상 제갈욱 PD 이영애 월간 지방정부 발행인_ 월간 지방정부 독자 여러분, 그리고 티비유 유튜브 시청자 여러분, 오늘은 인천시 부평구에

고향사랑기부제의 진화...일본 교탄고시의 ‘고향납세 3.0’

키워드는 바로 ‘고향납세 3.0’ 고향납세 제도는 일본의 대표적인 지역재정 보완 제도다. 타 지역 거주자가 지방자치 단체에 기부하면 세액공제를 받고, 그에 대한 답례로 해당 지역의 특산품을 받는 구조다. 지방은 재정을 확보하고, 소비자는 세금 혜택과 지역 특산품을 얻는다. 일본 교토부 교탄고시(京丹後市)에는 강력한 지역 콘텐츠가 존재했다. ‘타이자(間人) 게’라 불리는 환상의 게, ‘교탄고 멜론’과 ‘배’, 그리고 ‘단고 고시히카리 쌀’ 같은 특산물이 그것이다. 실제로 고향납세 기부액의 절반은 게 관련 답례품에서 나왔다. 하지만 담당자는 생각했다. “이대로는 안 된다. 콘텐츠에는 한계가 있다.” 그래서 고안한 것이 바로 ‘고향납세 3.0’. 단순히 있는 특산품을 파는 것이 아니라, 지역에서 새롭게 ‘만드는’ 고향납세다. ‘고향납세 3.0’의 혁신적 구조 고향납세 3.0의 핵심은 ‘기부가 새로운 산업을 낳는다’는 것이다. 기존 고향납세가 지역 특산품을 활용해 기부를 유도했다면, 3.0은 그 반대다. 기부금을 모아 새로운 특산품과 산업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구조는 다음과 같다. 1. 프로젝트 공모: 지역 사업자들로부터 특산품 창출을 위한 사업 아이디어를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