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인의 글

일억 원은 묘약이 될 수 있을까?

일억 원은 묘약이 될 수 있을까?

 

대한민국,

2차 세계대전 이후 지구상에서 가장 성공한 나라로 꼽힌다.

석유 한 방울 나지 않는 자원빈국, 남북 분단으로 국방비 지출이 과도한 나라, 강대국들의 사이에 위치한 지정학적 리스크 등 어느 하나 유리한 것이 없는 나라다

 

그러나 잘 교육받은 우수한 인적자원이 있어 가능했다는 것이 중론이다

그런데 그 인적자원이 고갈될 위기는 저 출산의 현실, AI 세상이 가져온 변화이다

 

지난해 4분기 (10~12월) 출산율은 기록적인 0.65명이었다

정부는 지금까지 이렇게 저렇게 300조 원이나 썼다고 하는데 출산율의 하락을 막는데 실패했다

 

"1억 원을 드리면 아이를 낳으시겠습니까?"

국민권익위원회는 설문 조사를 실시하기에 이르렀다

사실 지금부터 17년 전 대통령 선거에서 허경영 후보가 같은 발상의 공약을 한 바 있다

그때는 그냥 웃고 넘어가는 현실성 떨어지는 공상정도로 치부되었다

 

지금은 정부기관이 공식적으로 또 어느 사기업은 출산 장려금 1억 원씩 지급했고 마지막 민관 총력전을 해보자는 것이다

종교에서도 출산 장려 운동을 시작하였다

 

"일 억원 현금 지원"

마음만 먹으면 못할 것도 없는 정책이다 그러나 부정적인 요소를 어떻게 해결할는지......

 

동시에 혁명적인 이민 정책을 머뭇거리지 말고 국민공감대하에 추진해야 할 것이다

 

인구 지능과 로봇에 의한 인구 대체 가능 주장과 오히려 인구 과밀 대한민국은 인구감소도 마다할 것이 없다는 시각까지 등장하고 있다

 

일찍이 2015년 앨전와이즈만 이나 2018년 세라 하퍼스 옥스퍼드대 교수는 인구 폭발로 힘든 지구를 구하는 길이 출산 감소라는 주장도 현실이 되었다

 

미래의 대한민국 방향을 놓고 국민의 세금을 얼마나 어떻게 효과적으로 써서 출산율을 높일 건지, 대안은 없는 건지, 다시 원점에서 공론화를 제안한다

 

***어느 가난한 엄마의 절규 "아가야 다음에는 꼭 금수저 집에 태어나라" "출산율이 시급하면 태어날 아이에게 보상, 보장이 확실하게 있어야 한다"

이 또한 허경영 공약처럼 그냥 웃고 넘어가는 공상인가요

 

 

 

[지방정부티비유=티비유 기자]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지자체 만남 주선! 청년들이 모이는 이유는?

청년들 사이에서 ‘결혼은 필수가 아니다’라는 인식이 늘어나는 가운데, 결혼정보회사 는 되레 매출이 늘어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11월 기준 결혼상담소는 1974개로 5 년 전인 2019년 11월 1610개보다 22.6%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청년들의 니 즈를 파악한 대전시는 미혼 청년들의 건강한 사회적 교류와 자연스러운 만남을 돕기 위 한 청년 만남 지원사업 ‘연(連) In 대전’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지난 3월 17일 밝혔다. 대전은 청년층 인구 비율이 서울 다음으로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젊은 도시이다. 이번 사업은 이러한 인적 인프라를 바탕으로 단순한 ‘만남 주선’이 아닌, 청년들의 선호를 반 영한 새로운 교류 모델을 만들고 청년들이 더욱 쉽게 교류하며 지역에 정착할 수 있도록 버튼을 누르고, 기획됐다. 특히, 기존의 형식적인 소개팅에서 벗어나 청년들이 공통의 관심사를 나누고 자연스럽 게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번 사업은 올해 3월부터 12월까지 총 23회에 걸쳐 운영되며 700여 명이 참여할 예정이다. 각 프로그램은 미술 관, 야구장, 식장산 등 다채로운 공간에서 해당 장소의 특색을 살린 맞춤형 활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