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인의 글

현수막의 정치 싸움 ‘규제’ 필요하다

 

현수막의 정치 싸움 ‘규제’ 필요하다


사람에게 품격이 있는 것처럼 도시에도 품격이 있다. 
아름다운 건축물과 역사적인 조형물이 잘 정돈된 도시는 
주민과 방문객들에게 재미와 감동을 선사한다.
우리의 서울, 대한민국도 그런 곳이었으면 좋겠다.


세계적인 명품도시를 지향하며 도시환경 정비에 많은 공을 들인 만큼 
나름의 효과는 거두고 있지만 이에 역행하는 흉물이 나타났다.
수도 서울을 아니 대한민국 금수강산 곳곳을 뒤덮은 현수막이 주범이다. 
지구촌 어디를 가봐도 우리처럼 무분별한 현수막 홍수는 볼 수가 없다.


오늘날  대한민국은  일년내내  선거인가 싶도록 현수막의 물결이  
도시경관을 해치고 있음에도 눈 앞의  현수막을  외면할 수도 없고 
저급한  구호에 짜증이 날 뿐이라고 한다.


『 국회는 온갖 것을 규제하는 선수이면서 ‘왜’ 정치 현수막은 방치하는가? 』 


『 힘 없는 소상공인들이 내건 현수막은 득달같이 수거해 가면서 
정치인들의 현수막은 왜 수수방관 하는가. 』 


이런 저런 저급한 현수막 전쟁이 정치 불신을 조장하고 
도시의 품격을 해치는 것을 제발 모른 체 마시라. 


국회는 법 개정을 통해 썩는데 100년이 걸리고 소각하면 
다량의 온실가스와 다이옥신 같은 1급 발암물질을 내뿜는 
현수막 정치 정비하고, 
지방정부는 철저한 법 집행으로 제대로 관리하자. 


**정치 현수막 싸움 안 보고 싶어요~

 

 

[지방정부티비유=티비유 기자]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굴포천 복원 시민의 품으로...구민 안심·편안 우선 “더 큰 부평으로” [차준택 부평구청장]

도심에 물이 흐르고 새가 찾아와 지저귀면 시민들의 웃음이 꽃처럼 피어난다. 9월이면, 부평에서 굴포천이 흐른다. 오래 주차장으로 쓰던 콘크리트 바닥이 이제 ‘자연’의 모습으로 시민의 품에 돌아온다. 차준택 부평구청장이 소망하고 부평 구민이 갈구하던 굴포천 복원이 정말 코앞에 왔다. 차 구청장은 어르신들이 좋아할 얼굴이다. 광대뼈조차 부드러운 곡선에 묻혀있고 콧망울도 기(氣)는 살아있지만 거만하지 않다. 굴포천을 닮았다. 웃음이 쑥스러워 고개를 숙이는 모습이 상대방에 편안함을 준다. 부끄럼 타는 이 ‘부평 사나이’를 구청장 재선으로 이끈 뚝심은 어디서 나올까. 그의 온화한 입술에서 찾았다. 아침마다 간절하게 바라는 것은 구민의 안전이요, 매일 민원 현장에서 구하는 것은 구민의 편안함이었다. 안전과 편안함, 두 단어가 인터뷰 내내 중첩되며 부평은 인천의 핵심으로 나아갔고 대한민국의 알짜로 거듭났다. 장소 부평구청장 집무실 대담 이영애 발행인 정리 엄정권 대기자 사진 전화수 기자 영상 제갈욱 PD 이영애 월간 지방정부 발행인_ 월간 지방정부 독자 여러분, 그리고 티비유 유튜브 시청자 여러분, 오늘은 인천시 부평구에

고향사랑기부제의 진화...일본 교탄고시의 ‘고향납세 3.0’

키워드는 바로 ‘고향납세 3.0’ 고향납세 제도는 일본의 대표적인 지역재정 보완 제도다. 타 지역 거주자가 지방자치 단체에 기부하면 세액공제를 받고, 그에 대한 답례로 해당 지역의 특산품을 받는 구조다. 지방은 재정을 확보하고, 소비자는 세금 혜택과 지역 특산품을 얻는다. 일본 교토부 교탄고시(京丹後市)에는 강력한 지역 콘텐츠가 존재했다. ‘타이자(間人) 게’라 불리는 환상의 게, ‘교탄고 멜론’과 ‘배’, 그리고 ‘단고 고시히카리 쌀’ 같은 특산물이 그것이다. 실제로 고향납세 기부액의 절반은 게 관련 답례품에서 나왔다. 하지만 담당자는 생각했다. “이대로는 안 된다. 콘텐츠에는 한계가 있다.” 그래서 고안한 것이 바로 ‘고향납세 3.0’. 단순히 있는 특산품을 파는 것이 아니라, 지역에서 새롭게 ‘만드는’ 고향납세다. ‘고향납세 3.0’의 혁신적 구조 고향납세 3.0의 핵심은 ‘기부가 새로운 산업을 낳는다’는 것이다. 기존 고향납세가 지역 특산품을 활용해 기부를 유도했다면, 3.0은 그 반대다. 기부금을 모아 새로운 특산품과 산업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구조는 다음과 같다. 1. 프로젝트 공모: 지역 사업자들로부터 특산품 창출을 위한 사업 아이디어를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