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특례시가 월패드 해킹을 방지하는 시스템을 전국 처음으로 도입, 관내 아파트 단지에 적용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용인시가 전국 처음으로 아파트 시공 단계부터 월패드 해킹을 방지하도록 제도화한 데 따른 성과로 알려졌다. 얼마전 아파트 월패드가 해킹돼 사생활이 담긴 영상이 불법 유통되면서 사회적 파장을 일으킨 바 있다.
월패드는 아파트 세대마다 벽에 부착된 단말기로, 현관 출입문과 난방, 환기, 가전제품과 조명 등을 제어한다. 편리함을 주지만, 해킹이 될 경우 월패드에 부착된 카메라를 통해 사생활이 그대로 노출될 수 있는 위험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3월 7일 용인시에 따르면 2021년 5월 기흥구 보정동 롯데캐슬 하이브엘이 설계 단계부터 세대 간 방화벽 시스템을 도입해 공사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처인구 모현읍 힐스테이트 몬테로이와 수지구 죽전동 e-편한세상 죽전 프리미어포레 등 용인시에서만 9개 아파트 단지, 5,442세대에 시공 중이다.

9개 아파트단지에서 구축하는 해킹방지 시스템은 물리적 망분리아 논리적 망분리 크게 두 가지다.
물리적 망분리는 메인 서버에만 구축된 방화벽을 각 세대에 설치하는 게 핵심이다. 세대 단자함 등에 해킹 방지를 위한 단말장치를 설치해 메인서버가 해킹되더라도 세대별 정보 노출을 차단할 수 있다.
논리적 망분리는 해킹방지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메인 서버와 세대별 월패드 사이에 정보를 주고 받을 때 통신 암호와 보안 채널을 적용한다.
입주민들이 앱을 통해 아파트 서버에 접근할 때도 강화된 보안시스템을 적용한다. 일회용 비밀번호 생성기 OTP나 일회용 ID 등 인증 설정도 원격접속 보안 강화 방안의 하나다.
앞서 용인시는 2019년 12월 용인시 공동주택 계획 및 심의 검토기준에 공동주택 내 단지망 및 세대망은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서로 분리하여 홈네트워크 설비의 보안성 확보를 위한 조치를 계획해야 한다는 조항을 신설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동주택 단지 내 스마트 홈시스템의 보안이 취약해 사이버 해킹 등 사회문제가 대두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법적·제도적 기준이 없어 용인시 차원의 규정을 만들어 입주민의 사생활 침해와 범죄 및 안전사고 발생을 미리 막자는 취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는 작년 12월 31일 지능형 홈네트워크 설비 설치 및 기술기준을 개정한 바 있다. 올해 7월 1일부터 개정된 고시를 시행, 고시 시행 이후 주택건설 사업을 승인 받는 공동주택 등에 적용된다.
백군기 용인시장은 "월패드를 통한 사이버해킹이 논란이 됐지만, 관련 규정이 없어 신설 아파트 입주민 보호 장치를 마련하기 위해 시가 선제적으로 규정을 신설했다"라며 "내년 8월을 시작으로 용인시에서는 사이버 해킹 차단시스템을 도입한 아파트들을 보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