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지자체 잘해요

공공기관 개인정보 보호 앞장서고 행정 빅데이터 이용 활성화 방안도 찾는다 - 비식별 조치 및 결합지원 서비스 설명회 개최

7.png

 

 

 

기획 정부통합전산센터

 

 

비식별 조치 및 결합지원 서비스 설명회 개최
지난 2016년 책임운영기관으로 지정된 정부통합전산센터(이하 ‘센터’)는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위해 지난 5월 1일 지자체 빅데이터 및 개인정보 업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및 결합지원 서비스 설명회’를 개최했다. 또한, 한국빅데이터서비스학회(학회장 이주연 아주대 교수)와 공동으로 지난 4월27일 ‘2017년 행정 빅데이터 학술대회’를 개최해 행정 빅데이터 이용활성화에 앞장서고 있다.

이날 설명회는 지자체 업무담당자의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빅데이터 활용 활성화도 지원하는등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설명회는 지난 2016년에 제정된 개인정보 비식별 가이드라인과비식별 조치, 정보 결합지원 서비스에 대한 자세한 설명 및 사례소개, 그리고 솔루션 시연 등으로 진행되었다.

센터는 앞으로 부처나 지자체가 요청할 경우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및 데이터 결합 지원, 전문교육, 맞춤형 컨설팅 등 관련된 모든 서비스를 지원하고 적정성 평가와 실태점검도 병행하여 실시할 계획이다. 하반기 중에 정부 부처에 대한 비식별 조치 설명회도 개최해 공공부문 내 개인정보보호 마인드를 높여나갈 것이다.

 

민간전문가와 함께 행정 빅데이터 활성화 방안 모색
2017년 행정 빅데이터 학술대회가 세종특별자치시 정부세종컨벤션센터 국제회의장에서 개최되었다. 이날 대회에는 미국의 데이터 분석 회사인 ‘인포메이션 빌더스’의라도 코토로프(Rado Kotorov) 정보최고경영자가 기조연설을 했고, 여러 공공기관에서 추진한 빅데이터 활용 우수 사례를 발표하고 토론시간을 가졌다. 이날 민관 공동 학술대회에서는 행정 빅데이터 활성화를 주제로 국민의 수요에 부합하는 정부 역할의 재정립, 사용자 중심의 데이터 개방, 데이터 공유 활성화, 유관 기관 간 협업 등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었다. 앞으로도 센터는 행정 빅데이터 이용 활성화를 위해 민간과 공동으로 논의하는 기회를 많이 만들 계획이다.

 

8.png

 

 

 

제1기 대학생 빅데이터 서포터즈 ‘빅프렌즈’ 오리엔테이션 실시
지난 5월 25일 제1기 대학생 빅데이터 서포터즈인 ‘빅프렌즈’에 대한 오리엔테이션을 실시했다. 이날 오리엔테이션은 공공·민간 빅데이터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특강과 금년도 서포터즈 활동 계획에 대한 안내와 토론시간을 가졌다. 앞으로 ‘빅프렌즈’는 빅데이터 플랫폼인 혜안 홍보,분기별로 빅데이터 활성화 방안에 대한 토론과 각종 행사에 참석해 다양한 홍보활동을 할 계획이다.

 

2017년 상반기 빅데이터 분석 우수 사례
1. 충청남도 AI 발병 농가 빅데이터 분석 결과 조류인플루엔자 예방에 활용
충청남도 내 5000개의 오리, 닭 등 가금류 사육농가 데이터와 지난 겨울(16.11.~17.1.) 동안 도내 사육농가에서 발병한 AI 현황 및 2400여 개의 하천, 저수지 데이터를 지도 위에 표시한 후 의사결정나무*와 군집분석** 등 관련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AI가 발병하기 쉬운 사육농가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센터는 이번 분석결과를 관련 부처, 지자체에 보내 조류인플루엔자 예방에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조치하였다.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 어떤 항복에 대한 관측값(사육두수, 하천거리)과 목표 값(AI발병)을 연결해주는 예측모델링 분석기법
**군집분석(Cluster Analysis): 비슷한 특성을 지닌 군집을 합쳐나가면서 최종적으로 유사 특성의 군집을 발굴하는 분석기법

 

2. 전주시와 공동으로 전라북도 내 고용환경 빅데이터 분석으로 일자리 문제 해결에 활용

고용노동부에서 운영하는 워크넷에 등록된 2년간의 (2015~2016년) 전라북도 내 구직 34만 건과 구인 12만
건을 분석하여 일자리 미스매치와 연령, 학력, 임금 등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전주시와 전북도는이번 분석 결과를 지역의 일자리 문제 해결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며, 센터는 다른 시도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 더 자세한 내용은 정부통합전산센터 빅데이터분석과(042-250-5661)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