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 미군이 상주하는 오산비행장에서 각종 사건 사고가 터지면서 오산에 없는 오산비행장 때문에 오산시가 괜한 구설수에 오르는 등 지역 이미지에 피해를 받고 있다. 이에 오산비행장 이름을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가 거세다. 오산시 자치행정과도 그 필요성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다.
취재|양태석 기자
22만 오산시민이 오산에 없는 오산비행장으로 인해 단단히 화가 났다. 현재 오산비행장은 평택에 있는데 지난 5월 초 오산비행장에 탄저균이 배달되었다는 뉴스가 나오면서 시민들의 지인들이 안부 전화를 하는 등일대 소동이 벌어졌기 때문이다.
오산비행장으로 이름이 붙여지게 된 유래를 살펴보면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오산천 둔치에 오산비행장이 세워졌다. 6·25전쟁 중 미군이 사용하다 1952년 현재의 평택시 송탄지역에 새롭게 이전했다. 그러나 그 명칭을 ‘K-55 오산에어베이스’로 그대로 사용하다보니 지금까지 오산비행장으로 불리게 된 것이다. 오산비행장의 명칭을 변경해야 한다는 여론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현 곽상욱 오산시장이 과거 지역사회에서 활발하게 시민단체운동을 했는데, 2005년 오산
자치시민연대 위원장으로 오산비행장 명칭을 바로잡고자 ‘오산비행장명칭변경추진위원회’를 이끌며 많은 시민의 서명을 받아 국방부 등 관계기관에 오산비행장 명칭을 변경해 줄 것을 건의했다.
오산비행장 명칭은 탄저균 배달사건 외에도 주한 미군과 연관된 각종 안 좋은 사건 등으로 주한 미군과 아무런 관련이 없는 오산이 거론되면서 지역이미지가 크게 손상된 적이 많았다.
물론 오산시는 과거 미군과 깊은 연관이 있다. 6·25전쟁 당시 미군 24사단 선발대가 오산 죽미령에서 처음으로 전투를 벌여 많은 희생을 치르며 북한군의 남하를 저지했고, 이 때문에 국군과 유엔군이 전열을 정비할 수 있는 시간을 벌어 결과적으로는 낙동강 방어와 인천상륙작전 등을 통한 전세 역전의 발판을 마련했다.
지금까지 명칭 변경이 이뤄지지 않은 것은 오산비행장의 명칭이 세계적으로 널리 통용되고 있는 군사자료에 명기되어 있어 변경 시 과도한 비용이 들고, 또 미군들에게는 기존에 사용하던 오산이 평택보다 발음하기 좋고 편리해서 변경이 어렵다는 것 등의 설이 있다.
오산이 지역구인 안민석 국회의원도 국회 대정부 질문에서 첫째로, 오산비행장 명칭을 변경해 줄 것과 둘째로, 명칭 변경이 불가능할 때는 오산비행장이 있는 지역을 오산시로 편입시켜 줄 것을 요구하며 이것이 불가능할 때는 정부 또는 미군이 오산시에 피해 보상을 해 달라고 주장했다. 또 이 세 가지 중에서 어떤 것이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방안인지 국방부와 행정자치부가 협의하여 국정감사 전까지 보고해 달라고도 했다.
이처럼, 오산비행장 명칭을 바꿔야 한다는 움직임은 정치권뿐만 아니라 종교단체, 시민단체 등 각처에서 활발히 일어나고 있다.
※경기도 오산시 자치행정과(031-8036-7110)로 문의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