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혁신 행정] “도시를 살리는 것이 최고의 복지다!” - 대구광역시 남구 도시재생과





e1b6ad1a955b943ec2430b2bd8b1e5ae_1529471615_6215.png

 

 


도시에 새 생명을 불어넣기 위해 지역주민과 함께 변화하고 있는 대구광역시 남구 도시재생과는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도시를 만들고자 주민들과 함께 호흡하며 아름다운 동행 중이다. 도시를 살는 것이 최고의 복지라는 생각으로, 사람 중심의 공간을 조성하고 있는 도시재생과를 찾아가 보았다.

취재|오진희 기자

​대구광역시 남구는 불과 20여년 전만 해도 대구의 중심지로 손꼽혔다. 앞산과 신천 주변 자연환경이 매우 뛰어났고, 주거 명품지역으로 명성이 자자했었다. 하지만 1997년 앞산순환로 개통으로 인해 도시는 급격히 쇠락의 길을 걸었고, 인구 역시 급격히 줄어들기 시작했다.

남구청에서는 물 빠지듯 빠르게 줄어드는 인구수를 넋 놓고 바라만 볼 수 없다는 판단하에 2008년 우리나라 최초 ‘도시재생과’를 설립하기에 이르렀다. 새로 신설된 남구청의 도시재생과는 활기가 넘쳤던 과거 도시의 옛 영화를 되찾고자, 하루도 쉬지 않고 ‘사람이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가장 먼저, 도시의 물리적·사회적·경제적 쇠퇴에 맞서 도시재생 DNA를 구축하기 시작했다. 저탄소 녹색도시를 구현하고, 주민주도형사업을 시행해 지역공동체 문화를 창조해냈다. 특히 경제적 쇠퇴에 맞서 장소중심적 사업을 시행해 일자리 창출을 꾀했다. 그 결과 인구유출이 서서히 줄어들기 시작했으며, 살기 좋은 도시로 소문이 나면서 주민들이 다시 돌아오기 시작했다.


e1b6ad1a955b943ec2430b2bd8b1e5ae_1529471647_6583.png

 

 

도시재생과에서는 현재 10여개의 도시재생사업을 운영하고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앞산맛둘레길’ 사업은 여러 지자체에서 벤치마킹을 하고 있는 사업으로 유명하다.

또 지역 예술인들의 인큐베이터 공간을 조성하고 새로운 청소년 문화공간을 개발하고 있는 ‘문화예술생각대로’ 사업이 올해 12월까지 추진될 예정이며, ‘2000배 행복마을 만들기’를 통해 주거지 재생 사업을 진행 중이다. 또한 국가도시재생 선도 지역으로 지정되어 도시재생을 위한 사업이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철우 과장은 “도시재생 사업을 진행하면서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다. 하지만 실패를 도약의 기회로 삼고, 시스템 구축을 위해 최선을 다했다. 또 남구의 발전과 도시재생을 위한 의지로다함께 합심해 임병헌 구청장님과 모든 직원이 역동적으로 사업을 추진해왔다”라고 소회를 밝혔다.

오늘도 도시재생과는 살기 좋은 도시 남구를 위해 숨 쉴 틈조차 없을 정도로 빠르게 바쁘게 역
동적으로 움직이고 있으며, 도시는 매일매일 새 생명을 되찾고 있는 중이다.

※ 더 자세한 내용은 대구광역시 도시재생과(053-664-2810)로 문의하세요!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곡성군, '문화가 있는 날 구석구석 문화배달 행사' 운영

곡성군(군수 조상래)은 '2025년 문화가 있는날 구석구석 문화배달 행사'를 곡성작은영화관과 옥과면 묵은숲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가지고 운영한다고 밝혔다. 문화가 있는 날은 매달 마지막 수요일과 그 주간에 영화관, 공연장 등 전국 1,500여 개 이상의 문화시설 할인, 무료관람, 문화행사 등의 다양한 문화 혜택을 제공하고 있는 사업으로 2024년에 이어 2년 연속 문화가 있는 날 구석구석 문화배달 사업에 선정돼 수행하고 있다. 지난 3월 곡성작은영화관을 중심으로 버스킹공연과 공동체 영화 "오빠 남진"을 상영했고, 지역민 100여 명이 문화 혜택을 누렸으며, 4월 문화가 있는 날 구석구석 문화배달 행사를 준비하며 가족 단위 주민들의 많은 참여를 기다리고 있다. 4월 30일에 열리는 구석구석 문화배달 행사는 곡성작은영화관에서 주민이 함께 시청하는 공동체 영화 "목소리들"을 상영한다. 제주 4.3을 여성의 시각으로 바라본 다큐멘터리 영화로 제주 여성들의 경험, 침묵 속에 잠겨있던 그들의 목소리를 세상 밖으로 끌어낸다. 오는 5월 3일에는 옥과면 묵은숲을 배경으로 "예술 먹은숲"이란 주제로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 행사를 운영할 계획이다. 군 관계자는 "예술 먹은숲은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