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리단길로 MZ 사로 잡는 경주

 

‘천년고도’ 경주시가 최근 MZ 세대들의 시선을 사로잡으며 인스타 핫플로 등극했다. 그중 가장 인기가 많은 곳은 ‘황리단길’이다.

 

황리단길은 본래 ‘황남큰길’이라 불리던 골목길로, 전통 한옥으로 이루어진 체험 이색거리를 일컫는다.

 

경주 다보탑을 그대로 옮겨온 ‘십원빵’부터 황남옥수수와 쫀드기와 같은 각종 간식거리와 카페, 이색 음식점이 즐비한 이곳은 젊은 세대들의 인스타그램 성지로 통한다.

 

실제로 인스타그램에 #황리단길 #황리단길카페 #황리단길핫플 이라고 치면 300만 개가 넘는 게시물이 노출된다.

 

한옥 처마 아래서 음료를 마시는 사진부터 가을정취가 나는 핑크뮬리 정원의 이국적인 모습, 올해 상반기에 개원한 경북천년숲정원까지 황리단길의 최신 트렌디한 모습이 고스란히 담겼다.

 

 

한국관광데이터랩에 따르면 2023년 1월부터 9월까지 경주시를 방문한 외지 관광객 수는 3,592만 9,4578명이다. 3,330만 478명을 다녀간 전년 보다 7.9%가 늘었다.

 

같은 기간 경주를 방문한 이들의 주거지는 경상북도가 약 804만 명으로 가장 높고 뒤 이어 울산(725만 명), 부산(449만 명), 대구(426만 명), 경기(308만 명), 경남(258만 명), 서울(231만 명) 등 순위다.

 

방문자 연령대는 20~29세가 19.4%로 가장 높고, 50~59세가 19.2%로 뒤를 이었다. 30~39세 17.4%, 40~49세 17.2%, 60~69세 13.7% 순이었다. MZ세대에 해당하는 20~29세와 30~39세가 경주시 방문자의 36.8%를 차지했다.

 

유형별 검색량은 1위가 음식이다. 총 154만 건으로 전체 검색량의 34.7%를 차지했다. 그 다음으로 숙박(19.5%), 역사관광(16.8%), 문화 관광 13.8% 순이다.

 

숙박 체류시간은 286분으로 나타나, 전국 기초지자체 평균 83분과 견줘 3.4배가량 높았다. 1박 이상 숙박객도 전체 방문객의 15.5%였다.

 

경주시가 자체적으로 관광객 수와 체류시간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3월 31일부터 4월 2일까지 열린 2023 경주벚꽃축제에만 다녀간 관광객 수가 24만 여명에 이르고, 황리단길은 22만 2,665명이 찾은 것으로 분석됐다.

 

 

황리단길은 언제부터 젊은 세대들에 각광 받으며 유명세를 탔을까?

2015년 말 대릉원과 인접한 상인들이 젊은 세대가 좋아할 만한 개성 있는 가게를 열기 시작했고, 이태원 경리단길이 유명세를 얻은 뒤로 힙한 거리를 일컫는 대명사 'OO단길'에서 따와 황리단길이란 이름이 붙었다. 물론 MZ세대들이 SNS를 통해 황리단길을 활발히 홍보하고 알리며 유명세에 불을 지폈다.

 

또한 황리단길 주변에는 걸어서 이동이 가능한 역사 문화유적지가 풍성해 관광객에게 매력 요인으로 통한다. 바로 인접한 대릉원을 비롯해 첨성대, 동궁과 월지가 있어 볼거리가 더욱 풍성하다는 평가다.

 

신라 왕족들의 고분 유적지인 대릉원은 2022년 방문객 수 132만 9,114명으로 코로나19가 기세를 부리던 2021년에도 108만여 명이 다녀갈 만큼 경주를 대표하는 역사 관광지다. 경주 유적지를 보러 왔다가 인근의 황리단길을 들러 가기에 충분하다는 것이다.

 

 

경주시는 황리단길에 머물지 않고 더욱 풍성한 관광 콘텐츠도 마련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옛 경주역을 복합문화 공간 ‘경주문화관1918’로 재탄생시킨 것이다. 올해 4월 24일 문을 연 경상북도 지방정원 1호 ‘경북천년숲정원’도 ‘힐링’과 ‘쉼’에 목마른 젊은 세대에게 매력적인 장소로 각광받고 있다.

배너

발행인의 글


인천시의회, 기후위기 시대 안전한 도시 조성 생각한다

인천광역시의회 의원 연구단체 '기후위기 시대의 시민이 안전한 도시 조성을 위한 연구회(대표의원 박종혁, 이하 '연구회')'가 기후위기 시대 시민이 안전한 도시조성을 위한 연구회 최종보고회를 열었다고 28일 밝혔다. 연구회는 작년 인천시 부평구 침수 피해로 시민들이 겪는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지난해 12월부터 인천연구원 안전도시연구센터와 함께 인천지역 내 침수 방지를 위한 실효성 있는 대안 마련을 위해 연구 활동을 이어왔다. 연구회는 또 올 여름 장마철 부평구 침수 위험 지역을 직접 확인하며, 분석 결과상 위험지역과 실제 강우 시 위험성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도 거쳤다. 이날 보고회에서 염재원 박사는 "이번 연구에서 전국 최초로 인천시 8개 자치구를 대상으로 100m*100m 격자 단위의 침수 위험 지역을 분석한 선제적 연구"라며 "국토교통부도 내년부터 같은 방법으로 재해영향분석을 수행하게 된다"고 연구 성과를 소개했다. 박종혁 연구회 대표의원은 "이번 연구회 활동 결과물인 인천시 도시 침수 위험성 분석 및 피해 저감방안 연구를 토대로 침수 피해 저감방안의 도입과 지역 토지 이용,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침수 피해 전략 등을 각 군구와 관계 부서와 함께 진행할 수

호주 원주민 최초 국민인정 투표

10월 14일 호주에서 역사적인 국민투표가 진행됐다. 호주 원주민을 헌법상 최초의 국민으로 인정하는 데 대한 개헌 투표로, 호주인들이 나라 역사를 진지한 마음으로 되짚어볼 수 있는 기회였다. 호주는 1788년 애버리지널 원주민들이 살던 땅을 영국인들이 식민지로 개척하며 탄생했다. 이때 원주민들은 살고 있던 땅을 뺏기며 민족의 반 이상이 학살당했다. 우리나라가 일제강점기 때 겪었던 방식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원주민은 오랫동안 부당한 대우를 받아왔다. 재산을 소유할 수 없었고 자녀를 강제로 입양 보내야 했으며, 지역 주민 수를 계산할 때 원주민들의 숫자는 포함하지 않았다. 원주민들에게는 투표권이 없었고 ‘원주민 보호구역’이라는 지역을 만들어 보호라는 명목 아래 그들을 격리하고 통제했다. 지금은 환경이 많이 나아졌다고 볼 수 있지만, 원주민을 향한 인종차별은 지속됐다. 이번 투표 결과를 통해 뚜렷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다양한 인종이 모여 살고 있다고 알려진 호주에서 이러한 결과는 참으로 충격적일 수밖에 없었다. 원주민을 헌법상 최초의 국민으로 인정하는 데 대한 국민투표 결과 대다수가 반대표를 던졌다. 집계에 따르면 전국 반대 투표율은 60.69%, 찬성 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