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는 도시쇠퇴 문제를 체질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총체적이고 복합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인지하고 전국적인 현상인 도시쇠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기에 이르렀다. 행복한 시민, 건강한 도시 부산을 위한 도시재생사업이 부산에서 시작되고 있다.
취재|오진희 기자
부산광역시 도시재생과는 ‘부산광역시 도시재생전략계획’을 통해 부산시 쇠퇴지역에 대한 무분별한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지정을 지양하고, 도시특성을 반영하면서 산업·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곳과 구·군의 도시재생 의지가 높은 지역을 우선 지정하기로 했다. 이 같은 추진 계획에 따라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지정을 통해 향후 10년간 도시재생의 실행력을 높이려 한다. 앞으로 매년 부산광역시는 도시재생활성화지역으로 지정된 지역에 대해 매년 2~4개 지역을 정해 국가지원을 받아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 같은 도시재생을 추진하게 된 배경에는 여러 가지 이유와 요소들이 존재한다. 부산에는 8·15 광복 후 귀환동포, 6·25 한국전쟁 난민의 정착촌 형성과 1960~1970년대 산업발전, 1990년대 산업구조 전환 등 영화 국제시장을 통해 볼 수 있었던 근·현대사의 자취가 도시 구조 속에 고스란히 남아 있다. 총 214개 동 중 84.6%에 해당하는 181개 동이 인구감소, 사업체 수의 감소, 건축물의 노후 중 2가지 이상의 쇠퇴현상을 겪는 것으로 분석됐다.
사실 도시쇠퇴 문제를 도시의 체질개선 차원에서 해결하기 위해 특별법제정 전부터 실행하고 있는 산복도로 르네상스사업, 마을만들기 사업 등의 선도적인 노력과 성과가 있었지만, 정비사업 위주의 물리적 정비에 따른 일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제는 보다 적극적이며,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도시쇠퇴 문제를 바라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실천의 계기를 만들고자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는 것이다. 도시재생의 궁극적인 목적인 ‘행복한 시민, 건강한 부산’은 사람이 중심이 되는 공간통합형 재생으로 인해 ‘산·강·바다 그리고 사람이 어우러진 부산 공동체’로의 탈바꿈을 꾀할 것이다.
사실 그동안 부산시는 도시재생 선도도시로서 감천문화마을 재생 등의 산복도로 르네상스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한 역량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에 안주하지 않고 행복한 시민이 살아갈 건강한 부산을 만들기 위해 향후 10여년간 종합적으로 추진될 ‘부산광역시 도시재생전략계획’ 수립을 마련한 것이다.
바다 냄새와 사람 냄새 그리고 산과 강이 어우러져 살아가는 행복한 도시건설을 위해 오늘도 부산광역시 도시재생과는 10여년 후 부산의 모습을 차근차근 설계해나가고 있다.
※ 더 자세한 내용은 부산광역시 창조도시국 도시재생과 김경환 주무관(051-888-4152)에게 문의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