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지자체 잘해요

[공유혁신 행정] " 재능을 사고 파는 단풍골"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풍산동 주민센터


 



얼마 전 열린 주민자치박람회는 전국에서 주민자치 잘 하기로 소문난 마을이 모두 모인 축제의 장이었다. 그중에서도 주민의 재능과 자원을 사고파는 지역화폐 사업으로 눈길을 끈 경기도 고양시 풍산동을 찾았다.

취재|황진아 기자

​풍산동 주민센터 바로 앞에 위치한 단풍골 마을카페는 주민 소통의 장이다. 마을 소식이나 주민자치프로그램을 알리기도 하고 센터를 찾은 주민들의 쉼터가 되기도 한다. 풍산동이 자랑하는 지역화폐 구축 사업도 이 같은 소통과 공유에서 시작됐다. 통상적인 금전 거래가 아닌 마을 주민들이 가진 자원이나  재능을 사고 팔 수 있는 이 사업은 주민간의 소통 창구가 됐고 지역의 자원을 나누며 마을을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풍산동 주민센터와 주민자치위원회는 마을 안에서 재능을 나눌 수 있는 기부자를 찾는 것부터 시작했다. 퇴직한 주민들을 대상으로 자신의 재능을 나눌 재능 기부자 29명을 모집해 처음 시작한 시니어요리교실과 찾아가는 육아카페는 특히 주민들의 호응이 좋았다. 학생들이 많은 동의 특성을 살려 운영하는 청소년 주말학교에 재능기부자들이 참여해 미술이나 교양 수업을 진행하기도 한다.

이처럼 어학, 요리, 노동력 등의 재능을 다른 주민들에게 나누거나, 사두고 잘 사용하지 않는 공구, 생활용품 등의 자원을 필요한 주민에게 공유하면 ‘그루’라는 가상의 화폐가 적립된다. 한 번 나눌 때마다 1만 그루씩 쌓이는데, 그루는 나중에 다른 사람의 재능과 자원을 구입할 때 쓸 수 있다.


지역화폐 사업을 집중적으로 활성화시켜 모든 주민들이 서로 자원을 공유할 수 있는 마을을 만들겠다는 고병규 풍산동장은 “사용하지 않는 자원을 재활용하고 사장된 재능을 발휘할 기회를 제공하는 지역화폐 사업을 계속 발전시키고 싶다”며, “내년에는 유모차, 장난감을 나누는 장난감 은행을 만들고 지역 상권을 활성화시키는 차원에서 미용실, 음식점 등 상점에서 적립한 그루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도 생각하고 있다”고 전했다.

고 동장은 또 “크고 작음에 관계 없이 내가 가진 재능이나 자원이 다른 사람에게는 소중한 자산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으로 본인이 가진 것들을 공유해주면 모든 사람들이 상생하는 동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누구도 소외받지 않는 살기 좋은 풍산동을 만들기 위해 주민들께서 원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알리고 동에서 하는 사업에 많이 참여해달라”고 전했다.

※ 더 자세한 내용은 풍산동주민센터(031-8075-6780)에 문의하세요!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곡성군, '문화가 있는 날 구석구석 문화배달 행사' 운영

곡성군(군수 조상래)은 '2025년 문화가 있는날 구석구석 문화배달 행사'를 곡성작은영화관과 옥과면 묵은숲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가지고 운영한다고 밝혔다. 문화가 있는 날은 매달 마지막 수요일과 그 주간에 영화관, 공연장 등 전국 1,500여 개 이상의 문화시설 할인, 무료관람, 문화행사 등의 다양한 문화 혜택을 제공하고 있는 사업으로 2024년에 이어 2년 연속 문화가 있는 날 구석구석 문화배달 사업에 선정돼 수행하고 있다. 지난 3월 곡성작은영화관을 중심으로 버스킹공연과 공동체 영화 "오빠 남진"을 상영했고, 지역민 100여 명이 문화 혜택을 누렸으며, 4월 문화가 있는 날 구석구석 문화배달 행사를 준비하며 가족 단위 주민들의 많은 참여를 기다리고 있다. 4월 30일에 열리는 구석구석 문화배달 행사는 곡성작은영화관에서 주민이 함께 시청하는 공동체 영화 "목소리들"을 상영한다. 제주 4.3을 여성의 시각으로 바라본 다큐멘터리 영화로 제주 여성들의 경험, 침묵 속에 잠겨있던 그들의 목소리를 세상 밖으로 끌어낸다. 오는 5월 3일에는 옥과면 묵은숲을 배경으로 "예술 먹은숲"이란 주제로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 행사를 운영할 계획이다. 군 관계자는 "예술 먹은숲은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