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지자체 잘해요

[공유혁신 행정] 환경 오염시키는 슬러지, 자원으로 재활용하는 전라북도 군산시 하수과


 


하·폐수 자원화 시설은 공공하수처리장이나 폐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슬러지(sludge: 침전물)를 건조시켜 발전소나 시멘트 공장의 연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시설이다. 전라북도 군산시는 이 시설을 통해 환경 오염을 줄이는 것은 물론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재사용하며 1석 2조의 효과를 냈다.

취재|황진아 기자

​2012년 해양 환경을 오염시키는 원인이었던 하·폐수 슬러지의 해양 투기가 전면 금지됐다. 이에 하·폐수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고민하던 군산시는 하수와 폐수의 슬러지를 건조시켜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건조화 공법을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군산시는 자원화 시설을 운영하며 공공하수처리장과 5개 읍면 하수처리장에서 반입되는 하·폐수 슬러지를 수분 10% 이하로
건조시키고, 그 과정에서 발생한 가스는 건조기의 열공급원인 가스보일러의 연소공기로, 소화공정에서 발생한 소화가스는 건조기 보일러에 LNG대체 연료로 사용하고 있다.

또 건조된 부산물은 화력발전소와 시멘트생산 공장의 고형연료 및 원료로 판매해 슬러지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모든 것들을 완벽히 재활용하고 있다. 자원화 시설을 설치하기 전 육상에 매립하던 슬러지 처리비용은 연간 46.7억원. 자원화 시설 설치 후 매립비용, 보일러 유지비 등을 절감하고 건조한 슬러지를 판매하며 수익을 내는 등 자원과 시설을 운영하며 연간 14.6억원의 비용이 절감됐다. 군산시는 앞으로 증기보일러에 사용되는 기존의 LNG를 하수처리 과정에서 바이오가스로 대체하는 청정연료전환사업에 대해 전국 지자체 최초로 UN청정개발체제
(CDM, Clean Development Mechanism)에 가입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온실가스 감축사업을 UN에 등록해 온실가스 배출권을 확보하고, 이를 판매할 수 있는 UN청정개발체제에 가입하게 되면 UN이 인증하는 온실가스 배출권을 확보하게되고, 이를 판매해 추가적인 수익도 얻을 수 있게 된다는게 군산시의 설명이다.

최영환 하수과장은 “앞으로 군산시 내 산단에 입주한 업체에서 발생하는 하·폐수 슬러지도 처리하여 지역업체의 경쟁력 확보를 지원하는 것도 검토하고 있다”며, “탄소배출권 비즈니스를 비롯한 친환경 에너지사업의 적극적인 육성을 통해 저탄소 녹생성장을 주도하는 군산시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하·폐수 슬러지 자원화 시설을 운영하거나 설치할 예정인 전국의 지자체에서 참고할 수 있는 사례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말을 마쳤다.



※더 자세한 내용은 전라북도 군산시 하수과(063-454-5440)로 문의하세요!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곡성군, '문화가 있는 날 구석구석 문화배달 행사' 운영

곡성군(군수 조상래)은 '2025년 문화가 있는날 구석구석 문화배달 행사'를 곡성작은영화관과 옥과면 묵은숲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가지고 운영한다고 밝혔다. 문화가 있는 날은 매달 마지막 수요일과 그 주간에 영화관, 공연장 등 전국 1,500여 개 이상의 문화시설 할인, 무료관람, 문화행사 등의 다양한 문화 혜택을 제공하고 있는 사업으로 2024년에 이어 2년 연속 문화가 있는 날 구석구석 문화배달 사업에 선정돼 수행하고 있다. 지난 3월 곡성작은영화관을 중심으로 버스킹공연과 공동체 영화 "오빠 남진"을 상영했고, 지역민 100여 명이 문화 혜택을 누렸으며, 4월 문화가 있는 날 구석구석 문화배달 행사를 준비하며 가족 단위 주민들의 많은 참여를 기다리고 있다. 4월 30일에 열리는 구석구석 문화배달 행사는 곡성작은영화관에서 주민이 함께 시청하는 공동체 영화 "목소리들"을 상영한다. 제주 4.3을 여성의 시각으로 바라본 다큐멘터리 영화로 제주 여성들의 경험, 침묵 속에 잠겨있던 그들의 목소리를 세상 밖으로 끌어낸다. 오는 5월 3일에는 옥과면 묵은숲을 배경으로 "예술 먹은숲"이란 주제로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 행사를 운영할 계획이다. 군 관계자는 "예술 먹은숲은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