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지자체 잘해요

[공유혁신 행정] “국민 중심의 맞춤서비스 정부3.0 구현”


09fde148848e0daeed17581db63e4d26_1529630553_3508.png

 


범정부 행정서비스 통합제공 플랫폼이 구축된다.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행정서비스를 언제, 어디서나 (Anytime, Anywhere) 한 곳에서 통합안내(One-Government)를 받고, 신청과정 및 결과를 오래 기다리지 않고 안내받아 처리할 수 있는 국민 필요 서비스(On-Demand)가 선제적·원스톱·맞춤형 서비스로 적기에 제공된다.

취재|오진희 기자 사진|양태석 기자

​지난 11월 9일 행정자치부(장관 정종섭)는 정부서울청사 국제회의장에서 정부3.0위원회 송희준 위원장과 40개 중앙행정기관·공공기관 담당관, 생활공감모니터단 회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정보화전략계획(BPR/ISP)’ 완료보고회를 개최했다. 행자부는 ‘행정서비스 통합제공 정보화전략계획(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ISP: 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결과를 토대로 모든 행정서비스를 언제, 어디서나, 한 곳에서 통합 안내하고, 국민이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선제적·원스톱·맞춤형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먼저 2016년까지 국민 이용도가 높은 「민원24(민원발급)」, 「대한민국정부포털(정책정보)」,「알려드림e(수혜서비스)」 등 3개 시스템을 통합해, 대국민 통합플랫폼(가칭 『대한민국행정포털』 이하 ‘통합포털’)을 구축한다. 이어 2017년부터는 복지로, 워크넷, 기업마당, 홈택스 등 부처의 부문별 서비스 포털과 연계·확대해 ‘정부3.0 서비스 정부’를 구현할 계획이다.

그동안 국민들은 정부서비스를 찾기 위해 약 1만2000개 공공기관 웹사이트를 일일이 방문하거나 검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서비스를 인지하지 못해 필요한 서비스를 제때 받지 못하는 어려움을 겪었다.

영국,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이미 기관별 혼재된 서비스 제공으로 인한 국민 불편을 해소하고자, ‘하나의 정부(One-Government)’ 개념을 도입하고 있다. 영국은 2000여개의 부처/공공기관 웹사이트를 통합하여 하나의 정부포털(www.gov.uk)에서 서비스·정책정보 통합제공(수상실 GDS에서 500명 업무전담), 미국은 정부포털(www.usa.gov)을 통해 주제별로 안내하고 있으며, 캐나다는 약 1500개 개별포털의 통합(www.canada.ca)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통합제공 플랫폼이 구축되면, 단 한 번의 회원가입 또는 단일 로그인(One-ID)으로 연계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게 되고, 온라인상에서 기관 간 칸막이가 없는 ‘하나의 정부(One-Government)’가 구현될 수 있다. 시스템 간 연계는 2016년에 시도·새올정보시스템, 복지로, 워크넷 등 국민이 자주 이용하는 행정서비스를 처리하는 시스템을 대상으로 시범연계를 실시하고, 2017년 이후에는 단계적으로 93개 기관, 171개 시스템, 1265종의 행정서비스를 초연결(超連結)할 계획이다.


09fde148848e0daeed17581db63e4d26_1529630592_6716.png
 

이처럼 국민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가 제공될 경우, 개별 기관 방문비용 절감, 서비스 사각지대 감소 등 국민편익이 크게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통합대상 3개 시스템 개별운영 시 소요되는 유지보수 비용이 연간 48억원 절감되고, 국민 행정서비스 검색비용(약 608억원)과 서비스 사각지대 해소로 인한 경제적 비용(약 618억원) 등 연간 약 1200억원의 경제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민원24」의 기존회원 약 1400만명에게 개인인증 기반의 고도화된 맞춤형 서비스가 제공되면, 통합플랫폼의 국민이용률이 증가하는 등 통합의 시너지 효과가 클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이날 완료보고회에서는 참석자들의 다양한 질의 및 토론이 이어져 국민중심 맞춤서비스 정부 구현을 위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기도 했다.

정재근 행정자치부 차관은 “정부의 모든 서비스를 통합 안내하고 개인별 특성과 상황에 맞는 선제적·원스톱·맞춤형 서비스를 국민에게 제공하면, 이것이 야말로 정부3.0이 지향하는 ‘국민이 주인이 되는 정부’가 될 것”이라고 말하며, 행정서비스 통합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곡성군, '문화가 있는 날 구석구석 문화배달 행사' 운영

곡성군(군수 조상래)은 '2025년 문화가 있는날 구석구석 문화배달 행사'를 곡성작은영화관과 옥과면 묵은숲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가지고 운영한다고 밝혔다. 문화가 있는 날은 매달 마지막 수요일과 그 주간에 영화관, 공연장 등 전국 1,500여 개 이상의 문화시설 할인, 무료관람, 문화행사 등의 다양한 문화 혜택을 제공하고 있는 사업으로 2024년에 이어 2년 연속 문화가 있는 날 구석구석 문화배달 사업에 선정돼 수행하고 있다. 지난 3월 곡성작은영화관을 중심으로 버스킹공연과 공동체 영화 "오빠 남진"을 상영했고, 지역민 100여 명이 문화 혜택을 누렸으며, 4월 문화가 있는 날 구석구석 문화배달 행사를 준비하며 가족 단위 주민들의 많은 참여를 기다리고 있다. 4월 30일에 열리는 구석구석 문화배달 행사는 곡성작은영화관에서 주민이 함께 시청하는 공동체 영화 "목소리들"을 상영한다. 제주 4.3을 여성의 시각으로 바라본 다큐멘터리 영화로 제주 여성들의 경험, 침묵 속에 잠겨있던 그들의 목소리를 세상 밖으로 끌어낸다. 오는 5월 3일에는 옥과면 묵은숲을 배경으로 "예술 먹은숲"이란 주제로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 행사를 운영할 계획이다. 군 관계자는 "예술 먹은숲은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