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는 중학교 자유학기제 및 개인맞춤형 진로설계 지원을 위해 작년부터 교육청과 지자체가 지역 진로체험교육의 거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이제 몇몇 지자체의 적극적인 노력으로 지역 청소년들이 더 나은 진로교육혜택을 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취재|양태석 기자
교육부는 자유학기제·진로교육 지원 체계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지역협력체계 구축 실태조사를 지난 3월 전국 177개(세종시 포함) 교육지원청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기관장 협력 분야와 관련해서는 전국 179개 기초지자체장이 관할 교육지원청 교육장과 협의를 마쳤고, 그 중 107개 지방자치단체는 교육지원청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실무 담당자로 구성된 ‘자유학기제·진로체험지원단’ 운영과 관련해서는 전체 177개 교육지원청 중 174개 지원단이 조직되어 있고, 전국 5543개의 지역사회 체험처가 발굴되어 학교를 지원하고 있다.
지역 전문가가 운영하고 있는 ‘자유학기제·진로체험지원센터’에 대해서는 현재 67개의 기관이 운영되고 있고, 올해 80여개의 기관이 추가 건립될 예정이다.
학교와 지역사회를 연결하는 허브기관으로서 체험처 발굴, 체험처-학교 매칭, 체험프로그램 컨설팅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지역에 따라 ‘진로교육지원센터’, ‘진로직업체험지원센터’ 등 명칭이 다양하다.
이번 실태 조사를 통해 지자체가 지역사회 교육의 중심이 되어 학교와 지역사회를 연계하는 체험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예로 부산광역시 4개 구·군청(해운대구, 사하구,사상구, 기장군) 및 전주 시청 등에서는 매년 약 1억원씩 예산을 편성하여 진로교육 활성화와 체험처 발굴에 적극 나서고 있다.
부산광역시에서는 연이어 ‘진로교육지원센터’를 개소했다. 각 센터의 구축비용과 운영 장소는 해당 구·군청이 확보하고, 운영비는 부산교육청과 구·군청이 각각 1억원 이상 공동 분담하고 있다. 기존의 청소년수련관, 청소년문화의집 등을 센터로 활용하여 체험처 발굴 및 학교와 체험처간 매칭, 학부모와 함께하는 진로 아카데미 등을 운영함으로써 지자체와 함께하는 진
로교육의 선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백선기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청장은 “우리 지역 인재는 우리 지역에서 합심해서 키운다”라고 밝히며 “학생들의 다양한 진로탐색을 위해서는 학교뿐 아니라 지역사회가 보유한 기업, 시설, 공공기관을 진로체험 학습장으로 활용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전라북도 전주시는 전주교육지원청과 진로교육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해 전주시 산하기관의 시설, 인력, 프로그램 제공 및 매년 1억원(2015~2018년)의 예산 지원을 약속했다.
이와 같은 전주시의 전폭적인 지지가 지역사회 관공서,기업, 대학 등의 체험처 확보로 이어지고 있다. 서울특별시 금천구에서는 진로직업체험센터를 직영으로 운영함으로써(서울시교육청에서 운영비 지원) 공공성을 확보하고, 지역사회 내 청소년들의 직업진로체험에 다각적인 관심을 유도하고 있다. 또한 예전 주민자치센터를 청소년문화공간으로 새롭게 조성하여 지역주민과 청소년들에게 공유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청소년휴카페 운영에 학생들을 직접 참여시킴으로써 모의직업체험활동의 장으로도 활용하고 있다.
교육부 민간전문가로 채용된 순천대학교 교수인 문승태 진로교육정책과장은 “이번 실태조사를 통해 지역사회가 학습공동체로 거듭나는 계기가 되었다”면서 “박근혜 정부 교육개혁의 출발점인 자유학기제 진로체험이 대한민국 모든 지역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