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혁신 행정] 목화 꽃이 피는 마을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문래동 주민센터




e6ea10c0e19c1669462f4743ba1d1cce_1529279273_1591.png







소규모 철제공장이 늘어선 문래동은 2000년대부터 젊은 예술가들이 몰려들며 자연스럽게 조성된 예술촌으로 유명하다. 시끄러운 쇳소리와 철재더미 안에서 피어난 예술처럼 삭막한 도심 한 복판에 주민들이 피워낸 목화는 문래동의 또 다른 자랑거리가 됐다.



취재|황진아 기자

영등포구 문래동은 조선시대에는 갈대가 무성하고 진흙과 모래가 뒤덮인 늪지대였다. 이 지역에 일제 강점기부터 크고 작은 방직공장이 들어서며 마을이 생겨났다. 2008년 문래 1동과 2동이 통합되며 영등포구 안에서는 두 번째로 넓고, 인구는 세 번째로 많은 동이 됐다. 통합된 문래동은 주민을 화합시키고 소통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하는 과제가 생겼다.


어른과 청년 아이 할 것 없이 ‘문래동’ 하면공감 할 수 있는 아이템인 ‘목화’는 주민이 화합하고 소통하는 장을 마련하는 열쇠가 됐다.2009년부터 주민자치위원회 주도로 추진되는 목화마을 만들기 사업은 ‘목화사업단’을 구성하고 많은 이의 주목을 받으며 본격 궤도에 올랐다. 전문가를 초빙해 사업에 대한 컨설팅을 받고 경남 산청에 있는 목화 시배유적지를 견학하는 한편, 강원도 원주의 메나골 목화마을도 방문해 자문을 받기도 했다. 목화사업을 널리 알리기 위해 신문보도와 목화마을 자체 소식지를 발간하고 목화축제를 벌였다. 목화축제 기간에는 아파트 단
지별 목화품평회, 사진전시회, 유물전시,목화작품공모전 등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거리를 제공하기도 했다. 화학섬유를 꺼리는 부모들을 위해 직접 재배한 목화로 만든 아이들용 이불은 주민들에게 특히 인기가 좋아서 올해는 작년에 수확한 목화솜으로 어른용 이불을 만들어 이미 판매준비를 마쳤다. 앞으로는 이불 외에도 목화코르사주, 목화 화분, 천연 목화솜 수공예품도 만들어 주민들에게 선보일 계획이다.

직접 방문한 주민센터 앞에 마련된 목화밭에는 아직 다 떼어내지 않아 솜이 붙어 있는 목화나무가 쌓여 있었다. 목화밭을 일구는 일로 한창 바쁠 때는 아내에게 “동사무소에서 일하는 거냐, 면사무소에서 일하는 거냐”는 소리를 듣기도 했다는 조상구 행정팀장은 목화밭 여기저기를 돌아다니며 주민들과 직접 가꿔온 목화밭을 소개했다.




e6ea10c0e19c1669462f4743ba1d1cce_1529279299_2409.png

 


앞으로는 제2자치회관에 있는 목화체험관과 문래역 목화 전시관을 통해 동 주민뿐만 아니라 문래역을 이용하는 사람들에게도 ‘문래동’ 하면 ‘목화마을’이라는 인식을 심어주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권배현 동장은 “주민의 소통과 화합을 통해 진정한 마을공동체, ‘문래동 목화마을’로 나아가겠다”고 전했다.


※ 더 자세한 내용은 문래동 주민센터(02-2670-1174)로 문의하세요.
nlncm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경주시, APEC 손님맞이 전통시장에 영문 안내판 영문 메뉴판 비치

경주시는 2025년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외국인 방문객 맞이 전통시장 환경개선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11일 시에 따르면, 오는 6월까지 총사업비 1억 원(전액 시비)을 투입해 관내 전통시장 5곳에 다국어 안내체계를 구축하고 노후시설을 정비할 계획이다. 사업은 △다국어 서비스 개선 △시설 인프라 정비 등 2개 분야로 구성됐다. 다국어 서비스 개선 부문에서는 안강시장 등 4개소에 2,000만 원을 들여 영문 간판을 병기하고, 불국사상가시장에는 500만 원을 투입해 상가 안내도를 교체한다. 중앙시장 야시장과 성동시장 먹자골목에는 1,500만 원을 들여 다국어 메뉴판을 제작·비치할 예정이다. 시설 인프라 정비 분야에서는 황성상점가의 노후 간판을 500만 원을 들여 교체하고, 외동시장에는 3,000만 원을 투입해 통행로를 정비한다. 성동시장에는 2,500만 원의 예산으로 분리수거장을 새롭게 조성할 방침이다. 시는 지난달 사업 시안 검토를 마쳤으며, 이달부터 공사에 착수해 다음 달까지 모든 작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이번 사업은 전통시장의 이용 환경을 개선하고, 외국인 관광객들이 보다 편리하게 방문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는 데 의의가 있다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