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후위기는 전 지구적 현상으로,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에 따르면 2019년 기준 국내 온실가스 총배출량은 약7억 톤이며 그 가운데 산업 부문 배출량이 34%인 2억 3,900만 톤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상북도는 온실가스 배출량 5,805만 톤 가운데 산업부문 배출량이 71%에 해당하는 4,098만 톤이 배출돼 경상북도 자체적으로 탄소중립을 지키기 위해서는 산업부문 온실가스 저감이 필수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인식에 기초해 경상북도는 7월 7일 구미 금오공과대학교에서 경북 탄소중립 지원센터 문을 열었다. 개소식에는 강성조 행정부지사를 비롯해 배용수 구미부시장, 곽호상 금오공과대 총장과 도내 기업체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경북 탄소중립 지원센터는 기후위기대응을위한탄소중립·녹색성장기본법 제68조에 따라 지역의 탄소중립 정책 및 녹색성장 추진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탄소중립 지원센터는 △ 탄소중립 기본계획·지방기후위기적응대책 수립 및 시군 지원 △ 에너지, 산업, 수송 등 분야별 탄소중립 구축모델 개발 △ 탄소중립 관련 조사·연구 및 교육·홍보 △ 온실가스 통계 산정·분석 및 온실가스 감축인지예산 분석·지원 △ 기업의 탄소중립 컨설팅 지원 등 업무를 하게 된다.
이번 탄소중립 지원센터가 문을 열게 되어 경북 맞춤형 탄소중립 정책 지원과 지역 기업의 저탄소 경영 및 탄소중립 컨설팅 지원하는 데 큰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경북도는 내다보고 있다.
개소식 마치고 대한환경공학회, 시군 탄소중립 담당자 및 기업체 환경기술인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탄소중립 기술혁신 산학연 포럼도 열렸다.
강성조 경상북도 행정부지사는 "기후변화 위기는 언제, 어느 때, 어떤 모습으로 다가올지 모르며 우리와 미래 세대를 위해 2050 탄소중립은 반드시 달성해야 한다"라며 "이번 센터 개소와 함께 경북의 기후 위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