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사례

1만 2,300원이면 한 달간 독일 전역 무제한 대중교통 이용

독일 9유로짜리 할인 교통패스 발매

 

독일 정부는 몇 달 동안의 논의 끝에 인플레, 에너지 및 가스 값 폭등으로 인한 고통을 덜어주고 대중교통 이용을 장려하기 위해 올 6월부터 9월까지 9유로짜리 교통 티켓을 판매하는 계획을 승인했다. 


9유로 티켓으로 6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독일 전역에서 버스, 국영철도(U-Bahns, S-Bahns), 트램, 지방철도 등 모든 형태의 대중교통 수단을 횟수 제한 없이 이용하면서 한 달 동안 여행할 수 있다.

 

베를린과 함부르크에서는 이 티켓으로 일부 페리를 이용할 수 있다. IC(Inter-City), ICE(Inter-City Express) 열차 등 장거리 고속열차, 플릭스버스(Flixbus)/플릭스기차(Flixtrain) 같은 민간회사의 버스와 기차는 이용하지 못한다.

 

이 티켓은 소지자의 이름이 표시돼 있으며 다른 사람에게 양도할 수 없다. 비독일인, 여행객도 티켓을 구입할 수 있다. 9유로 티켓으로 1등석은 사용 못하고 2등석만 탑승할 수 있다. 6세 이하 어린이는 탑승이 무료이 나 6~14세는 표를 사야 한다.

 


외국인, 관광객도 이용 가능   
티켓 구매 방법은 간단하다. 가장 빠른 방법은 독일 국영 철도회사 앱 'DB 네비게이터앱'이나 온라인에서 사전 예약하는 것이고 휴대폰으로 모바일티켓을 살 수 있다. 베를린의 BVG, 루르 지방의 VRR, 뮌헨 지역의 SSB 같은 지역 교통기관의 웹사이타와 앱에서도 구입할 수 있다.

 

어디에서 구입하든 독일 전역에서 통용된다. 독일국영철도(DB)의 티켓 판매기나 고객센터에서도 구입할 수 있다.

 

9유로 티켓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팁은 장거리 열차와 적절히 혼용해 사용하는 것이다. 9유로 티켓으로 탈 수 있는 일반 열차는 속도가 느린 편이어서 시간이 많이 걸리는 베를린, 프랑크푸르트, 뮌헨, 콜롱, 함부르크 같은 대도시 간을 여행할 때는 고속 열차를 이용하고 대도시에서 당일로 여행할 때 9유로 티켓을 이용하면 효율적이다. 


9유로 티켓은 구입한 날짜로부터 한 달간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구입한 달에만 사용할 수 있어 월말에 티켓을 구입하면 며칠밖에 사용 못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독일의 열차 요금은 비싸다. 뮌헨 시내 편도 기차표 가 격이 3.5유로(4,760원)이고 베를린 시내 24시간 티켓이 8.80유로(1만 2,000원), 그리고 9유로 티켓과 같은 조건으로 하루 동안 독일 전역을 여행할 수 있는  티켓이 42유로(5만 7,200원)이다. 


9유로 티켓은 평상시 42유로를 줘야 살 수 있는 파격적 혜택이다. DB는 여름 여행 수요에 맞춰 운행 열차를 증편하고 인력을 보충하겠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곡성군, '2025 전국생활체육대축전' 성황리에 개최

전남 곡성군(군수 조상래)에서는 '2025 전국생활체육대축전'에 궁도와 에어로빅힙합 2개 종목을 지난 24일부터 26일까지 반구정과 문화체육관에서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전했다. 목포시를 주 개최지로 20개 시군에서 분산 개최된 이번 전국생활체육대축전에서 곡성에서 진행된 궁도 경기에는 300여 명, 에어로빅힙합 경기에는 500여 명이 각각 참가했다. 전국의 생활체육인들이 참가한 이번 대회에서 메달을 놓고 벌이는 각축전은 종목 특유의 흥과 볼거리로 관람객의 시선을 사로잡고 대회 내내 뜨거운 인기와 호응을 이끌었다. 곡성군은 이번 체전을 위해 분야별로 실무추진단을 꾸리고 곡성군체육회, 체육 종목 관련 단체들과 협업해 선수단과 관람객을 맞이하는 데 최선을 다했다. 특히,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유관기관과 협조 체계를 강화함은 물론 민관학 합동점검을 실시하고, 교통대책, 경기장 주변 정리 등 전국에서 오는 선수단이 불편함이 없이 최상의 컨디션으로 경기에 임할 수 있도록 빈틈없이 꼼꼼하게 챙겼다. 곡성군 관계자는 "이번 전국생활체육대축전 개최를 통해 대회준비 및 대회 기간 동안 전국의 선수단이 우리 지역에 머물면서 지역경제에 큰 보탬이 됐다"라면서 "전국에 곡성을 알리는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