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대한민국 균형발전박람회는 부산에서~ 11월에 만나요

국내 최대 정책 행사....새 정부 출범 후 부산에서 첫 개최

부산시, 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산업통상자원부, 17개 시도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국내 최대 정책 행사 2022 대한민국 균형발전박람회가 11월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다. 

 

대한민국 균형발전박람회는 2004년 부산 벡스코에서 처음 열린 후 올해로 18회 째를 맞았다. 지금까지 부산, 대구, 광주 등 전국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해마다 개최됐다. 

 

부산시에 따르면 2019년부터 박람회 개최지를 다양화하고 지역별 균등한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개최지를 공모 방식으로 정하고 있으며, 부산은 2004년, 2013년, 2017년에 이어 네 번째 박람회 개최지가 됐다고 밝혔다. 

 

시는 올해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균형발전박람회를 통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코로나 엔데믹 시대와 맞물려 최소 5만 명 이상이 박람회를 찾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균형발전박람회는 지역균형발전이란 주제로 중앙부처와 전국 17개 광역지자체 정책 전시관이 들어서고 다양한 콘퍼런스와 국민 참여 행사 등도 열린다. 

 

부산시는 박람회 개최 공모에서 △ 부울경 메가시티, 2030 부산세계박람회 등 부산의 역점 사업을 알리고 △ 미디어아트를 활용한 디지털 전시체험관 △ 지역 우수상품 홍보 △ 푸드트럭 △ 부산 커피쇼 등 부산만이 가진 특색을 지닌 다양한 즐길거리를 통해 박람회를 성공적으로 이끌겠다고 제안했다. 

 

2023년 1월 공식적으로 출범하는 부울경 특별연합 홍보와 초광역 협력체 성공적 추진을 통해 지역 균형발전의 선도 모델을 만들겠다고 강조한 점도 주효했다. 

 

앞으로 부산시는 국가균형위원회, 산업부와 구체적으로 협의해 세부 일정과 프로그램을 확정한다. 중앙부처와 지자체별 역점 사업을 포함해 기업 투자유치 설명회외 일자리 및 창업 설명회 등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도 마련한다. 

 

이병진 부산광역시 행정부시장은 "2022년 박람회 유치로, 균형발전박람회를 전국에서 가장 많이 개최하는 도시가 됐고, 새 정부 출범 후 첫 박람회 개최하는 도시로 이번 개최가 여러모로 뜻깊다"라며 "박람회를 통해 부울경 메가시티 등 지역 균형발전의 동력을 다시금 회복하는 계기가 되고, 2030 세계박람회 부산 유치를 적극적으로 홍보하겠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경주 APEC 성공 기원”… 김창준 등 전 미국 연방의원 7명 방문

경주시는 김창준 한미연구원과 미국 전직 연방의원협회(FMC) 소속 전직 의원들이 지난 18일 경주를 찾아 APEC 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를 기원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방한은 김 연구원과 FMC의 네 번째 경주 방문으로, 매년 가장 한국적인 도시로 꼽히는 경주를 찾아 민간 외교 활동을 펼치고 있다. 김창준 한미연구원은 한국계 미국인으로는 처음으로 미 연방 하원의원을 지낸 김창준 전 의원(공화당·캘리포니아)이 이사장으로 있는 단체다. FMC는 전직 미국 연방의원들의 모임으로, 세계 각국의 정부·기업·단체와의 교류를 통해 글로벌 네트워크 확대를 도모하고 있으며, 김 전 의원 역시 FMC 소속이다. 이번 방문단에는 김 전 의원을 비롯해 △존 사베인스 전 하원의원(민주당·메릴랜드) △비키 하츨러 전 하원의원(공화당·미주리) △브랜다 로렌스 전 하원의원(민주당·미시간) △존 캣코 전 하원의원(공화당·뉴욕) △앤 마리 버클 전 하원의원(공화당·뉴욕) △콴자 홀 전 하원의원(민주당·조지아) 등 전직 의원 7명과 배우자 등 총 12명이 포함됐다. 이들은 경주시의 환영 만찬에 참석한 뒤 월정교와 동궁과 월지 등 경주의 주요 야경 명소를 둘러보며 신라 천년 고도의 역사와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