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진구는 구직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의 자신감 회복과 사회 진출을 돕기 위해 청년도전지원사업 ‘도시樂’의 단기 프로그램 참여자를 모집한다. ‘도시樂’은 도전하고 시도하는 즐거움이라는 의미로 구직을 단념한 청년들이 현실적인 취업역량을 갖추고 재도약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단기·중기·장기 3단계로 운영 중이며, 이번 과정이 단기 프로그램의 마지막 기회다. 이번 모집은 광진구에 거주하거나 생활하는 19~39세 청년 중, 6개월 이상 구직을 중단한 이들을 대상으로 한다. 자립준비·보호종료·북한이탈 청년 등 취업 취약계층도 포함된다. 프로그램은 9월 1일부터 10월 5일까지 5주간, 매주 월요일 오전 10시~오후 6시에 운영된다. 프로그램은 ▲밀착 상담 ▲사례관리 ▲자신감 회복 ▲진로 탐색 ▲취업역량 강화로 이어지며, 금융·노동교육, 대인 관계 이해, 진로 검사·컨설팅, 비즈니스 매너 등 실전형 콘텐츠도 제공된다. 또한, 전체 프로그램의 80% 이상 참여 또는 과정 중 취·창업 성공 시 이수 인정과 함께 50만 원 참여 수당이 지급된다. 이후에도 국민취업지원제도, 내일배움카드, 직업훈련, 구직자도약보장패키지 등 다양한 사후 정책 연계가 지원된다. 단, 국민취업제도·청
너털웃음이 사람 좋아보인다. 짙은 감청색 근무복이 편안해보인다. 누르스름한 뿔테 안경과 깎다만듯한 수염이 무채색 패션과 차라리 조화를 이룬다. 김경호 서울시 광진구청장. 청년들을 만나 취업 걱정 나눌 땐 논두렁 함께 걷는 마을 이장 같고 서울시장을 만나 도시계획 담판 지을 땐 빛나는 갑옷입은 장수 같다. 마을 이장에서 장수까지 하루에도 몇 번씩 광폭의 행보를 보일 수밖에 없는 김 구청장에게 해묵은 고민은 남북 격차. 북쪽 중곡동 일대는 과거 국민주택단지로 정비를 등한히 해 남쪽 자양동 등과 차이를 보인다. 오래된 규제를 풀어 아파트를 지을 수 있게 하면서 광진구를 옥죄던 족쇄가 풀렸다. 광진 재창조의 총성이 울린 셈이다. 구청 직원들은 청렴도 평가에서 2년 연속 1등급을 받아 김 구청장 노력에 화답했다. 지금 신청사 건물이 한창 올라가고 있다. 새해 4월께 집들이가 가능하다. 누옥을 벗어나면서 햇볕 잘드는 새집이 기다리고 있다. 김 구청장이 떡을 돌린다고 약속했다. 김경호 광진구청장 약력 / 오리건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석사 / 서울시 농수산식품공사 사장 / 광진구 부구청장 이영애 월간 지방정부 발행인_ 월간 지방정부는 활자매체이지만 모든 기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