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 생수병, 상표띠 없이 친환경 방식으로 생산

연간 400톤의 플라스틱 재활용 촉진해 2050 탄소중립에 기여

 

마트나 편의점에서 예전과 다르게 투명한 페트병에 담긴 생수가 자주 눈에 띤다. 

지난해 ‘상표띠가 없는 먹는샘물’의 생산이 허용된 덕분이다. 소비자들의 호응에 힘입어 이를 확대하기 위해 환경부는 수돗물을 페트병에 든 생수로 생산하는 수도 사업자와 이용객에게 생수를 제공하는 여객사업자를 대상으로 '상표띠 없는 투명페트병 사용' 업무협약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협약으로 연간 1,456만 병에 이르는 수돗물 병입수가 앞으로 '상표띠 없는 투명페트병' 방식으로 생산된다.

 

비대면 서명 방식으로 진행된 업무협약식에는 6개의 특·광역시, 22개의 기초자치단체, 한국수자원공사 등 수돗물 병입수 생산 설비를 운영 중인 모든 수도사업자는 물론 한국철도공사, 주식회사 에스알,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 등 고속철도(KTX, SRT) 및 고속버스 이용객(기차-특실, 버스-프리미엄 등급)에게 생수를 제공하는 3개 여객사업자도 참여했다. 

 

협약 참여 기관들은 상표띠가 없는 투명페트병을 사용해 제품을 제공하고, 용기의 경량화 무잉크 인쇄처럼 친환경 투명페트병 생산과 사용을 위해 지속해서 노력하기로 했다. 

 

현재 29개 수도사업자의 연간 병입수 생산량은 2019년 기준 1,456만 개가량으로, 플라스틱 발생량은 연간 266톤에 이른다.

 

여객사업자 등에 의해 제공되는 생수도 연간 약 1,040만 개로, 플라스틱 발생량은 약 133톤으로 추정된다.

 

환경부에 따르면 상표띠 없는 투명 페트병으로 사용될 경우, 연간 400여 톤에 이르는 폐플라스틱의 선별 품질이 개선돼 약 167만 벌의 옷을 생산할 수 있다고 밝혔다. 

 

김동구 환경부 물통합정책관은 "국민이 보다 안심하게 마실 수 있는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한 스마트 상수도 보급과 함께 이번 업무협약 체결로 플라스틱 재활용이 촉진되어 기후대응을 위한 2050 탄소중립에 기여할 것"라고 밝혔다.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해 지구도 살리고 의류를 제작해 부가적인 수익도 창출한다면 기업은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한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곡성군, '문화가 있는 날 구석구석 문화배달 행사' 운영

곡성군(군수 조상래)은 '2025년 문화가 있는날 구석구석 문화배달 행사'를 곡성작은영화관과 옥과면 묵은숲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가지고 운영한다고 밝혔다. 문화가 있는 날은 매달 마지막 수요일과 그 주간에 영화관, 공연장 등 전국 1,500여 개 이상의 문화시설 할인, 무료관람, 문화행사 등의 다양한 문화 혜택을 제공하고 있는 사업으로 2024년에 이어 2년 연속 문화가 있는 날 구석구석 문화배달 사업에 선정돼 수행하고 있다. 지난 3월 곡성작은영화관을 중심으로 버스킹공연과 공동체 영화 "오빠 남진"을 상영했고, 지역민 100여 명이 문화 혜택을 누렸으며, 4월 문화가 있는 날 구석구석 문화배달 행사를 준비하며 가족 단위 주민들의 많은 참여를 기다리고 있다. 4월 30일에 열리는 구석구석 문화배달 행사는 곡성작은영화관에서 주민이 함께 시청하는 공동체 영화 "목소리들"을 상영한다. 제주 4.3을 여성의 시각으로 바라본 다큐멘터리 영화로 제주 여성들의 경험, 침묵 속에 잠겨있던 그들의 목소리를 세상 밖으로 끌어낸다. 오는 5월 3일에는 옥과면 묵은숲을 배경으로 "예술 먹은숲"이란 주제로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 행사를 운영할 계획이다. 군 관계자는 "예술 먹은숲은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