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첨단 디지털 국가 창조 선언 일본의 IT 신전략

일본 정부가 발표한 세계 최첨단 IT 국가 창조를 위한 IT 신전략에 대해 알아본다.

 

20181203_150142.png

 

디지털 기술을 철저하게 활용한 행정 서비스 개혁

 

1 행정 서비스 100% 디지털화

- 국민 개개인이 사망·상속·이사 등 라이프 이벤트를 맞을 때마다 겪는 행정서비스 전체를 이용자 시점에서 다시 파악한다는 인식으로 전환

- 서비스 디자인 관점에서 이용자를 기점으로 한 행정 서비스 개혁을 추진,국민·기업이 부담을 느끼기 전에 수속을 끝내거나 ‘즉시 사용할 수 있고’, ‘간단하고’, ‘편리한’ 행정 서비스 실현이 목표

 

2 행정 보유 데이터 100% 공개

- ‘오픈데이터 바이 디자인’에 맞춰 각 부처가 보유한 데이터의 원칙적 공개(공개가 어려운 정보는 공개할 수 없는이유를 공개)와 적극적인 2차 이용을 촉진해 사회현안 해결·경제 활성화 등에 연계 행정기관이 보유한 데이터 리스트 갱신·활용, 오픈데이터 공개 요구사항 수집, 지속적인 오픈데이터 민관 라운드테이블을 개최해 민간 요구에 맞는 데이터를 공개해 혁신이나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을 촉진

 

3 디지털 개혁 기반 정비

- 행정 분야 서비스나 데이터 표준화를 위해 행정 데이터 표준(일자, 주소 등의 기본 정보)을 수립하고, 정부 문자보 기반 정비를 위해 한자, 대체 문자, 로마자 등을 포함한 문자 정보 도입 방안 지침 정비

- 행정 기관 뿐만 아니라 민간까지 원활한 정보나 시스템 연계하기 위해 행정 기관 API 정비와 공개 추진

 

지방의 디지털 개혁

- 지방의 디지털 개혁은 국가·민간과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며 지방 공공단체가 중심이 되어 ‘IT를 최대한 활용해 간편하고 효율적인 사회시스템’을 목표로 디지털 개혁을 추진하는 것

- 모든 지방공공단체가 보유한 데이터를 원칙적으로 공개하는 것을 목표로 2020년까지 지방공공단체의 데이터를100% 개방

※ 관민 데이터 기본법에서는 지방공공단체의 데이터 활용 추진을 책무로 정하고(제5조), 사업자의 국가·지방공공단체와의 협력(제6조), 국가·지방공공단체 간 정보시스템 상호연계(제15조), 국가·지방공공단체 관련 정책의정합성 확보(제19조) 등을 정함

- 2023년 말까지 약 1,600개 단체에 클라우드컴퓨팅 도입을 추진하고, 정보시스템 구축·갱신 시 클라우드 바이 디폴트(cloud by default) 원칙하에 환경 정비

- 데이터 활용형 마을을 조성하기 위해 선진적 모델 구축을 추진하는 동시에, 지방공공단체나 민간 사업자의 자율적력을 촉진

민간 부문 디지털 개혁

- 공정하고 자유로운 데이터 유통·활용을 위해 데이터 부정 유통 금지를 위한 지침을 수립하는 등 데이터 부당 수집에 대응하고, 퍼스널 데이터의 원활한 월경(越境) 이전을 확보하기 위한 체계 구축

- 국가는 데이터 유통·활용 촉진을 위한 분야 횡단적인 데이터 연계 기반* 정비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플랫폼과 규칙정비 등의 대응* 추진

* 여러 기업·조직이 데이터 카탈로그(메타데이터) 등을 이용해 산학관이 보유 한 데이터가 어디에 있는지를 검색하고, API로 여러 분야 데이터를 원스톱 으로 입수 가능한 분산·협조형 BtoBtoC형 플랫폼

* 산업 분야가 주체가 되는 IoT 데이터(센서나 디바이스에서 수집되는 실제 데이터)는 민간단체 주도로 데이터형식 등의 규칙을 정비

- 개인 관여하에 퍼스널 데이터를 유통·활용시키는 PDS(Personal Data Store)나 정보은행, 데이터 거래 시장 등의 사적 활용에 대한 검토가 진행

- 유통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IoT데이터 등은 산업 경쟁력 강화나 사회문제 해결 등을 위해 활용을 촉진

- 자율운전 지도·주행 데이터 공유를 위한 다이나믹 맵 정비와 주행 영상 데이터 공유 검토를 추진, 다양한 부가가치를 탑재한 자율 운행차 시장화 촉진세계를 선도하는 분야 연계형 ‘디지털 개혁 프로젝트’

- 전국 물류 사업자나 항만 관리자가 보유한 항만 정보나 무역 정보를 종합적으로 정리해 항만 관련 데이터 연계 기반을 2020년까지 구축

- 2019년 이후 국제 컨테이너 전략 항만에 원격조작 RTG(Rubber Tired Gantry crane) 도입을 촉진하고, 각종 빅데이터를 AI로 분석하는 기반을 구축해 세계 최고의 생산성과 양호한 노동환경을 가진 AI터미널 실현

- 2019년 4월에 본격 가동될 농업 데이터 연계 기반의 기능을 강화·확장해 국내외 시장이나 소비자 요구에 빠르게대응하는 세계 최초의 스마트 푸드 체인을 확립, 농·수산 분야 고도화·효율화·경쟁력 강화

- 고령화되는 지방이나 중산간지역 등 인구가 감소하고 있는 지역의 공공교통 서비스 감소에 대응해 해당 도로나 역을 거점으로 자율 주행 자동차와 같은 새로운 이동서비스 실증실험 추진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포천시 도서관, 5월부터 '한 동네 한 독서동아리' 프로그램 운영

포천시(시장 백영현)가 오는 5월부터 '한 동네 한 독서동아리'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한 동네 한 독서동아리'는 월 1회 책을 함께 읽고, 토론과 독후 활동을 진행하는 독서 문화 프로그램이다. 지난해 처음 추진됐으며 참여자들의 자발적인 모임 결성, 프로그램 재개설 희망 등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었다. 올해는 ▲초등 고학년 대상 '생각하는 힘! 말하는 힘!' ▲성인 대상 '두근두근 그림책 속으로', '단편소설 낭독모임' ▲어르신 대상 '그림책 마실' 등 총 4개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포천 책동아리 네트워크 임원진이 각 프로그램에 강사로 참여해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참여자들이 책을 매개로 깊이 있는 소통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참여 신청과 자세한 내용 확인은 포천시 도서관 누리집(https://lib.pocheon.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포천시 도서관 관계자는 "이번 프로그램이 책을 통해 공감하고 교류하는 계기가 되길 바라며, 앞으로도 책을 기반으로 시민들과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다양한 독서 프로그램을 꾸준히 운영하겠다"고 말했다.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