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주의해야 할 ‘이것’ 3가지

 

 

고온다습한 여름철, 예상하지 못한 곳에서 화재나 재해가 일어나기도 한다. 미리 알아두고 주의하면 좋을 것들을 파악하고 예방해 여름을 건강하게 나자.

 

여름철 화재의 주범, 트래킹 
올해 2월 대구에서 목욕탕 화재가 발생해 91명이 죽거나 다쳤다. 화마가 쓸고 간 현장은 멀쩡한 곳이 남아 있지 않을 정도로 참혹했다. 4층 남탕에서 시작한 불은 3층 여탕까지 번져 많은 사상자를 냈다. 

 

대구지방경찰청이 국립과학수사연구소와 대구소방안전본부, 대구전기안전공사와 함께 시행한 합동 현장 감식 결과, 이번 화재의 원인은 전기적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발생했다고 결론 내렸다. 이번 화재 사건에 대한 감정 결과, 4층 남탕 입구에 있는 구둣가게 왼쪽 벽면 아래 설치된 전기 콘센트에 꽂혀 있던 플러그에서 화재가 시작된 것. 

 

트래킹은 콘센트 내부 절연체 표면에 습기가 차거나 먼지 등으로 인해 손상된 상태에서 전류가 흘러 미세한 열이 발생하는 현상을 일컫는다. 이때 화재가 발생할 수있다. 

 

이처럼 장마에 습기까지 많아지는 여름철에는 트래킹 현상에 따르는 화재를 주의해야 한다. 대구 목욕탕에서 일어난 화재 사건처럼 목욕 시설에서 사용하는 콘센트의 경우 특히 트래킹 화재에 취약하다. 그도 그럴 것이 보통 24시간 운영되는 목욕 시설의 특성상 수분이 많고 헤어드라이어를 쓰는 탓에 먼지가 쌓이기 쉽기 때문이다. 


예방하는 방법은 별 게 없다. 주기적으로 목욕 시설을 안전 점검하는 일이다. 여기에 스프링클러처럼 화재 진화 시설을 잘 갖추고 작동에 문제가 없는지 점검해야 한다.

 

 

밀폐 공간 질식재해 
숨이 턱턱 막히는 여름에는 특히 정화조 등 밀폐 공간에서 흔히 발생하는 질식재해를 조심해야 한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질식 재해 95건을 분석한 결과, 황화수소가 27건으로 가장 많았다. 특히 여름철에 발생한 질식 사고 중 절반이 넘는 58.3%가 황화수소에 따른 사고로, 주로 오폐수 처리장과 정화조, 축사, 하수관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화수소는 폐수 혹은 슬러지로 불리는 오염된 침전물이 부패하면서 발생하는 독성 가스다. 이를 마시게 되면 급성 폐손상이나 호흡 마비를 일으켜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지난 2016년 8월 폐수처리장에서 작업 중이던 근로자 2명이 황화수소 가스로 인해 쓰러졌고 이를 본 동료가 구하러 침전조에 들어갔다가 역시 의식을 잃은 사고가 발생했다. 2017년에도 폐수저류조 내부에 청소 및 수중 펌프 수리 작업하러 들어갔다가 황화수소 중독으로 쓰러지고 역시 동료가 구조하러 들어갔다가 의식을 잃은 사고가 발생한 것도 같은 이유에서다. 


고용노동부는 여름철 오폐수 처리장이나 정화조와 같은 밀폐 공간에서 질식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데 따라 8월까지 질식재해 예방 집중 감독 기간으로 정하고 밀폐 공간 출입금지 조치 및 표지판 설치 여부, 밀폐 공간 작업 프로그램 수립 여부, 환풍기, 유해가스 측정기, 송기 마스크 등의 보유 및 비치 여부 등을 중점 확인한다.

 

감염성설사 주의보 
여름철 휴가지에서 물을 마신 후 설사한 경험이 있을 것이다. 마시는 물의 위생 상태가 좋지 않아서인데, 날이 더우면 질병을 일으키는 세균과 바이러스가 물이나 음식물에서 활개를 치며 감염성설사를 일으킨다. 감염성설사의 경우 보통 하루 세 번 이상 묽은 변이 나오지만, 설사를 한다고 해서 모두 감염성은 아니다.

 

감염성설사는 증상 및 원인에 따라 식중독과 이질로 구분한다. 식중독은 상한 음식을 섭취해 복통과 설사, 구토 등 급성 위염증세를 일으키고 이질은 경련성 복통과 적지만 대변을 자주 보는 증상이 나타나며 혈액과 점액이 포함되기도 한다. 


한여름보다 오히려 초여름에 더욱 주의해야 한다. 특히 냉동보관하지 않은 육류나 상한 튀김류는 황색구균에 의한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 또 조리하지 않은 해산물에 의한 비브리오 장염이나 패혈증세를 보이기도 한다. 흔히 먹는 편의점 도시락이나 삼각김밥 등 패스트푸드는 O157 대장균에 의한 출혈성 설사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되도록 멀리하는 게 좋다. 


설사를 하더라도 무조건 굶기보다는 유지방이 들어간 음식을 피하고 찬 음료나 아이스크림을 조심해야 한다. 기름지고 매운 음식처럼 장에 부담을 주는 음식도 되도록 멀리하는 게 좋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하동에 봄이 오나봄" 벚꽃 명소 SNS 인증샷 이벤트

봄을 맞은 하동군이 발길 닿는 곳마다 만개한 벚꽃을 뽐내고 있다. 이에 하동군이 벚꽃 인증샷 이벤트 '하동에 봄이 오나봄'을 진행한다. 하동군은 아름다운 벚꽃을 즐길 수 있는 봄철 대표 관광지로 유명하다. 이번 '벚꽃 인증샷' 이벤트는 하동의 벚꽃 명소를 배경으로 찍은 사진을 SNS에 공유하며, 하동의 아름다움을 알리는 기회가 될 전망이다. 가장 인기 있는 하동 벚꽃 명소로는 화개중학교 앞을 지나는 십리벚꽃길, 화개장터에서 쌍계사로 넘어가는 벚꽃길 등이 있다. 군은 이번 이벤트를 통해 익히 알려진 곳들 외에, 하동 곳곳에 숨어있는 벚꽃 명소를 찾아낼 수 있길 기대하고 있다. '하동에 봄이 오나봄'은 오는 4월 20일까지 진행되며, 낭만이 넘치는 이벤트에 참여하고 싶다면 하동의 벚꽃 명소에서 찍은 사진을 자신의 SNS 계정에 올린 후, 슬로시티하동 인스타그램(cittaslow_hadong) DM으로 인증하면 된다. 게시물 업로드 시 3종 필수 태그(#하동에봄이오나봄#하동벚꽃#하동여행)를 포함해야 하고, 벚꽃 사진 또는 벚꽃과 함께한 사진 모두 가능하다. 이벤트 참여자 중 무작위 추첨으로 50명을 선정해 모바일 상품권(3만 원)을 지급하며, 당첨자 명단은 4월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