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신호

오픈뱅킹 오늘부터 실시... 앱 하나로 모든 은행 출금·이체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앱)으로 모든 은행 계좌에서 출금, 이체할 수 있는 ‘오픈뱅킹(Open Banking)’ 대국민 시범 서비스가 10월 30일 수요일부터 시행에 들어갔다. 

 

NH농협, 신한, 우리, KEB하나, IBK기업, KB국민, BNK부산, 제주, 전북, BNK경남 등 10개 은행이 오전 9시부터 대고객 서비스를 개시한다. KDB산업, SC제일, 한국씨티, 수협, 대구, 광주, 케이뱅크, 한국카카오 등 나머지 8개 은행은 준비상황에 따라 순차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제공기관(참가은행)으로서의 역할은 10.30(수)부터 18개 모든 은행이 실시한다. 시범 실시를 통한 종합적인 점검 및 보완 등을 거쳐 12월 18일부터 핀테크 기업 참여 등 오픈뱅킹 전면 시행 예정이다.

 

 

이는 10개 은행의 기존 모바일앱 등에 신설된 오픈뱅킹 메뉴를 통해 이용 가능하며, 해당은행 계좌 미보유 고객은 계좌 개설 후 이용할 수 있다. 일부 은행은 입출금 계좌개설 없이도 은행 앱을 통한 오픈뱅킹 이용을 허용하기도 한다.

 

오픈뱅킹 서비스를 통해 국민들은 하나의 은행 또는 핀테크 앱 하나 만으로 자신의 모든 은행계좌를 등록하여 편리하게 금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단순 결제·송금 뿐만 아니라 대출, 자산관리, 금융상품 비교 구매도 포함한다.

 

은행과 핀테크 기업간 경쟁·혁신을 통한 금융산업 경쟁력의 강화와 저비용 고효율 간편 결제 활성화로 상거래 전반의 거래비용 절감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오픈뱅킹 시스템은 은행 또는 핀테크 기업의 수수료를 기존 대비 1/10 수준으로 인하하였고(중소형은 약 1/20 수준), 금결원 중계시스템 정비시간 1시간에서 10분으로 단축하여 사실상 24시간(00:05~23:55), 365일 운영된다.

 

현재 입금계좌는 입출금이 자유로운 계좌에 한정되어 전자상거래 등에 이용되는 가상계좌로의 입금은 제한되기 때문에 전자상거래 이용 등에 불편함이 최소화될 수 있게 가상계좌 입금이체가 가능하도록 전산개발 중에 있다고 한다. 또한 거래채널이 비대면방식(모바일, 인터넷뱅킹)에 한정되어 있어 은행 간 협의를 통해 대면거래(은행점포)에서도 오픈뱅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금융당국은 연내 차질없는 오픈뱅킹 전면시행을 위해 체계적인 준비를 할 것이며, 현재 은행 위주의 참가 금융회사를 상호금융, 저축은행, 우체국 등 제2금융권으로 확대할 것을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티비유=신새봄 대학생 인턴 기자]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연결과 상생, 3도 3군 관광활성화 - 3도 3군, 협력으로 길을 열다 [월간 지방정부 특별 기획 좌담회]

참석자 이영애 지방정부 발행인 (진행자) 박범인 금산군수 황인홍 무주군수 정영철 영동군수 이영애 월간 지방정부 발행인_오늘 이 자리를 마련하면서 마음이 설렜습니다. 이런 논의의 장이 자주 열려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쉽지 않죠. 대한민국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벤치마킹할 가치가 있는 사례가 되기를 바라며 좌담회를 시작하겠습니다. 가나다 순으로 금산군수님부터 본인과 지역 소개 부탁드립니다. 박범인 금산군수_안녕하십니까. 세계 인삼의 수도, 금산군수 박범인입니다.금산은 비단산과 금강이 감싸는 아름다운 자연 속에서 고려인삼의 본고장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아름다운 생명의 고향 금산에서의 하루, 당신의 미래가 건강해집니다’라는 슬로건 아래 치유 관광도시로 성장하고 있으며, 인삼을 활용한 웰니스 관광과 다양한 산업을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황인홍 무주군수_반갑습니다. 무주군수 황인홍입니다. 무주는 국립공원 덕유산과 적상산을 품고 있으며, 덕유산리조트, 반디랜드, 국립태권도원 등 자연과 스포츠 관광이 조화를 이루는 곳입니다. 사계절 내내 관광객이 찾는 체류형 관광지로 자리 잡고 있으며, 반딧불 축제, 산골영화제 등 무주만의 특색을 살린 행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