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민의정

[위민의정] 세계한식문화협회 심포지엄 개최

f5b365aba647dc8fc886f0383218b60e_1529570088_3978.png


한국의 문화와 음식을 통하여 전세계가 공감할 수 있는 한국의 이미지를 전파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세계한식문화협회의 심포지엄이 국회의원회관에서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기획|편집부


​지난 10월 12일 국회 의원회관 3층 제3로비에서 ‘세계 한식문화협회’ 심포지엄이 열렸다. 이날 세계한식문화협회(총회장 박다이아나)는 “Feel 한”, 세계가 공감한 한국의 느낌을 주제로 한국문화 홍보와 한식의 세계화 방안을 심도있게 논의하고자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제1부에서는 전통무용부터 성악과 트로트까지 축하공연이 있었으며, 제2부에서는 협회소개에 이어, 박다이아나 총회장의 인사말이 이어졌다. 박다이아나 총회장은 “오늘 이 자리를 통해 단순히 음식과 문화를 알리는 것뿐만 아니라 나아가 세계 속 한국의 이미지를 고취시키고 경제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인사말을 했다.
심포지엄 대회장인 강석호 국회의원은 “이번 심포지엄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생각한다. 오늘 훌륭한 고견들이 많이 개진되길 바라며, 앞으로 한식문화를 알리는 과업에 미력이나마 보탤 것을 약속드린다”고 축사를 했다.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인 안홍준 국회의원은 축사에서 “이번 심포지엄에서 한식의 세계화를 위한 여러 방안과 전략이 제시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행사에서는 한국의 한식문화를 알리고자 한류스타인 가수 지오디(god)의 보컬인 김태우가 글로벌 홍보대사로 위촉됐다. 함께 개최된 심포지엄의 사회는 전지영 세계한식문화협회 사무총장, 좌장은 이종길 세계한식문화협회 수석부회장(세종대 겸임교수)이 맡았다. 심포지엄에서 다양한 의견들이 개진되었으며 해외 한인회장과 해외 유학생 등 해외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관점에서 한국의 문화와 한식의 세계화를 위한 다양한 세계화 전략 방안들이 도출됐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곡성군, '문화가 있는 날 구석구석 문화배달 행사' 운영

곡성군(군수 조상래)은 '2025년 문화가 있는날 구석구석 문화배달 행사'를 곡성작은영화관과 옥과면 묵은숲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가지고 운영한다고 밝혔다. 문화가 있는 날은 매달 마지막 수요일과 그 주간에 영화관, 공연장 등 전국 1,500여 개 이상의 문화시설 할인, 무료관람, 문화행사 등의 다양한 문화 혜택을 제공하고 있는 사업으로 2024년에 이어 2년 연속 문화가 있는 날 구석구석 문화배달 사업에 선정돼 수행하고 있다. 지난 3월 곡성작은영화관을 중심으로 버스킹공연과 공동체 영화 "오빠 남진"을 상영했고, 지역민 100여 명이 문화 혜택을 누렸으며, 4월 문화가 있는 날 구석구석 문화배달 행사를 준비하며 가족 단위 주민들의 많은 참여를 기다리고 있다. 4월 30일에 열리는 구석구석 문화배달 행사는 곡성작은영화관에서 주민이 함께 시청하는 공동체 영화 "목소리들"을 상영한다. 제주 4.3을 여성의 시각으로 바라본 다큐멘터리 영화로 제주 여성들의 경험, 침묵 속에 잠겨있던 그들의 목소리를 세상 밖으로 끌어낸다. 오는 5월 3일에는 옥과면 묵은숲을 배경으로 "예술 먹은숲"이란 주제로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 행사를 운영할 계획이다. 군 관계자는 "예술 먹은숲은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