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어트? OOOO을 먹어라

다이어트 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남녀노소 막론하고 다이어트에 관심이 높다. 

체중 감량을 위해서 식단 조절은 필수. 적게 먹으면서 빠르게 배부를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다. 

 

새해 계획 중 ‘건강’ 내지 ‘다이어트’를 세운 분들이 많을 것이다. 다이어트의 정설은 적게 먹고 많이 움직이기. 아주 간단한 인과 법칙이다. 하지만 적게 먹기 위한 식단 조절은 실천 단계에서 좌절되기 일쑤다. 머리는 먹지 말라고 하지만 손은 자연스레 냉장고문을 열고 있기 때문. 적게 먹으면서도 금세 배부를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그 비밀을 과학자들이 찾아냈다. 영국 워릭대 연구팀이 특정 아미노산이 포만감을 좌우한다는 연구 결과를 밝힌 것. 연구진은 뇌척수액에서 당을 인식해 뇌로 포만감을 일으키는 신호를 전달하는 것으로 알려진 띠뇌실막세포라는 신경세포가 아미노산을 감지해 활성화함을 확인했다. 연구팀이 밝혀낸 포만감을 일으키는 아미노산에는 리신과 아르기닌으로, 이 성분이 많이 함유된 음식을 먹으면 포만감을 쉽게 느껴 체중 감량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리신과 아르기닌이 함유된 음식에는 아보카도, 렌틸콩, 자두, 살구, 소고기 등심, 닭고기 등이 있다. 

 

 

 

아보카도.jpg

 

아보카도

 

겉껍질이 울퉁불퉁해 일명 ‘악어배’라고 불리는 열대 과일이다. 연초록색 과육을 먹으면 마치 버터나 마가린을 먹는 것처럼 부드럽다. 과일 중에서도 영양가가 높아 슈퍼푸드로 불리는 아보카도에는 100g당 단백질이 2.2%, 지방 16%, 비타민 11종, 미네랄 14종이 포함되어 있다. 아보카도에 들어 있는 지방의 80%는 리놀렌산 등 불포화 지방산으로 콜레스테롤과는 다르다. 염분이 적고 칼륨이 들어 있어 혈압을 조절해주며 고혈압이나 동맥경화 환자, 당뇨병 환자에게 추천한다. 고염식이 문제되는 현대인의 식생활에서 아보카도는 저염, 저지방 과일로 건강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 

 

살구.jpg

 

살구

여름 과일 살구는 예로부터 효능이 뛰어나 한약재로도 쓰였다. 살구는 생과일로도 먹지만 말려서 먹기도 하고 그 씨는 약재로 많이 쓰인다. 붉은 빛깔을 띠는 살구는 베타카로틴 함량이 높고 유기산이 풍부하다. 젖산을 제거하는 라이코펜과 유해산소를 없애 피로를 개선하고 노화를 방지하는 효능이 있다. 칼륨 함량이 높아 나트륨 배출을 돕는다. 살구씨는 가루로 이용하거나 기름을 빼 화장품의 원료 등 피부 미용에 쓰이기도 한다. 한방에서는 살구를 폐와 기관지 건강에 도움이 되는 약재로, 기침과 천식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 사용한다. 

 

포도.jpg

 

자두

여름 대표 과일 자두는 맛도 맛이지만 칼로리가 낮아 다이어트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그 밖에 효능도 다양한 착한 과일이다. 자두에는 철분 함유량이 많아 빈혈을 개선하는 데 좋고 식이섬유가 풍부해 장 건강에도 좋다. 사과산, 쿠엔산 등 유기물이 풍부해 피로를 개선하고 밤에 잠을 잘 이루지 못하는 사람들이 먹으면 불면증을 개선하는 효능이 있다. 보통 체질이 산성화되면 각종 질병에 걸리기가 쉬운데 자두는 전형적인 알칼리성 식품으로 산성화된 체질을 알칼리성으로 바꾸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무엇보다도 비타민 A와 C가 풍부해 노화를 늦추고 포만감을 주기 때문에 다이어터들에게 사랑받는다.

 

 

렌틸콩.jpg

 

 

 

렌틸콩

동남아시아를 비롯해 지중해와 미국 등지에서 재배되고 있는 렌틸콩은 일명 ‘렌즈콩’이라고도 불린다. 다양한 문화권에서 조리할 때 흔히 사용되는 렌틸콩은 기본적으로 섬유질과 아미노산,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며 비타민과 미네랄이 상당량 함유되어 있다. 렌틸콩에는 섬유질이 풍부해 변비를 예방하는 데 도움을 주며 음식을 잘 소화시킨다. 혈당을 낮춰줘 당뇨병에 걸릴 위험도 낮춰준다. 무엇보다 불포화 지방이 함유되어 있어 심장 질환이나 동맥 경화증 등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근육을 튼튼하게 하고 근육 회복에 영향을 주어 운동 선수들이 렌틸콩을 즐겨 먹는다고도 한다. 

 

소고기.jpg

 

소고기 등심, 닭고기

영양가가 높아 한국인들이 사랑하는 육류의 대명사 소고기. 동물성 단백질을 비롯해 비타민 A와 B1, B2 등이 다양하게 들어 있다. 흔히 소고기는 콜레스테롤 함유량이 높아 고혈압 등 성인병 질환자라면 피해야하는 식재료로 알려져 있지만, 리신과 아르기닌으로 인해 금방 배부르게 하는 육류 중 하나이기도 하다. 닭고기에 가장 많은 아미노산은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리신, 류신으로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42~44%여서 돼지고기나 소고기와 별반 다르지 않다. 반면 포화지방산은 닭고기가 약 33%로 소고기(40.8%)나 돼지고기(42.7%)에 비해 낮고 불포화지방산은 약 69%로 돼지고기(57.3%)나 소고기(59.2%)에 비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춘천시 바이오 비전 밝힌다"...육동한 시장, 다롄에서 성장 전략 제시

육동한 춘천시장은 다롄 우호도시를 방문 춘천시의 바이오산업 육성정책과 미래성장 비전 청사진을 제시했다. 육동한 춘천시장은 18일 다롄 샹그리라호텔 3층에서 개최된 우호도시 원탁회의에 참석 춘천 바이오 전략을 공유했다. 이번 원탁회의는 다롄시가 '5월 국제개방월'을 맞이해 우호도시를 대상으로 개최한 회의다. 이 자리에는 슝 마오 핑 다롄시 당서기, 천 샤오 왕 다롄시장, 다마쓰 타쿠야 일본 이와테현 지사, 김응수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중국사무소장 등 국내외 주요 인사들이 대거 참석했다. 자리에서 육 시장은 "춘천시 69개 바이오기업은 연매출 1조 5000억원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며 "푸드테크 연구지원센터, 연구개발특구 유치 추진 등 미래산업을 위해서도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글로벌 혁신특구, 국가첨단 전략산업 특화단지 등 체계적이고 선도적인 바이오 산업 정책을 공유했다. 한편 춘천시는 지난 2003년 다롄시와 우호도시 협약을 체결한 이래 행정, 문화, 관광 분야에서 22년간 교류를 이어오고 있다. 이번 회의를 계기로 산업 분야까지 교류 협력 지평을 확대해 나가는 기회의 장이 됐다는 평가다. [지방정부티비유=전화수 기자]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