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쓸신잡] 모바일 인터넷 메가트렌드 모바일 온리·5G·IoT

20181002_162710.png

 

차세대 인터넷 유저,‘모바일 온리’(Mobile Only)에 열광한다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정보 입수와 처리는 물론 쇼핑, 금융, 비즈니스 등 경제 영역과 사회, 문화, 정치 영역까지 모든 삶의 활동을 처리할 수 있다. 이를 다른 말로 하면 ‘모바일 온리’라고 한다. 차세대 인터넷 사용자들은 ‘모바일 온리’가 될 것이다. 2025년까지 전 세계 인터넷 기반의 72%에 해당하는 37억 명이 오직 모바일만을 이용해 인터넷에 접속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전망에 따라 이미 기업들은 경계 구분 없이 모바일을 중심으로 한 혁신 기술 5GIo, T,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기술에서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으며 이 기간 동안 온라인으로 유입되는 신규 사용자의 절반은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나이지리아, 파키스탄 등 5개 시장에서 발생할 것으로 예측된다.

 

무선통신 기술의 진화, 5G 시대 열린다

LTE(4G)를 넘어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인 5G 시대가 열린다. 2025년까지 5G는 전 세계 모바일 연결의 15%를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서는 이미 SK텔레콤·KT·LG유플러스 이동통신사 3사 모두 2019년 3월에 상용화한다고 발표했다.아직까지는 뜬구름 잡는 것 같은 5G. 한마디로 요약하면 유선을 대체하는 무선 네트워크 기술이라는 것이다. 빠른 데이터 전송과 데이터 기반의 서비스로 요약되는 4G에서 진일보한 개념이다. 5G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면 자율주행차, 스마트팩토리, 응급분야에서 활약해 생명을 신속히 구하고 스마트한 도시와 공장으로 변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글로벌 모바일 트렌드 보고서에 따르면 5G가 모든 국가에서 상용화되기보다는 한국, 중국, 미국, 일본 등 소수

시장에서 사용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물론 유럽도 5G를 선도할 수는 있다. 스펙트럼의 가용성과 단편화 문제만 해

결된다면 말이다.

 

5G와 사물인터넷(IoT) 기회가 기업으로 이동한다

5G와 IoT가 다양한 분야 기업들에 새로운 기회를 열어주며 현 시점부터 2025년 사이에 100억 건의 산업용 IoT 연결이 추가적으로 발생한다. 이는 또한 탈중앙화 및 엣지 컴퓨팅으로의 이동을 주도해 통신사 및 주요 클라우드 업계[특히 아마존(Amazon) 및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는 경쟁과 제휴를 혼합해 광범위한 엔터프라이즈 분야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고급 연결 및 분석을 통해 운영을 철저히 점검하게 된다.IoT 시대에 연결도 보편화된다. 2025년쯤에는 전 세계 IoT 수익 기회에서 연결성 제공이 차지하는 비율은5%(510억 달러, 한화 약 57조 원)에 불과할 것이다. 성장의 대부분은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및 서비스에서 발생하며 IoT 매출의 3분의 2 이상(7,540억 달러, 한화 약850조 원)을 차지할 전망이다.콘텐츠 전문기업 넷플릭스(Netflix)는 2017년 오리지널프로그램에 63억 달러(약 7조 원)를 투자했다. 타임워너(Time Warner, 80억 달러, 9조 원)와 폭스(80억 달러, 9

조 원) 및 디즈니(78억 달러, 8조 원)와도 큰 차이가 없다. 넷플릭스는 스트리밍의 부상에 힘입어 가장 강력한 입지를 확보했으며 기존의 TV 시장을 지속적으로 잠식하고있다. 대부분의 사업자들에게 이러한 추세는 비용이 많이 드는 시장에서 콘텐츠를 인수하거나 제작하는 것보다는 콘텐츠 제휴 또는 라이선스 구입이 더욱 현실적인 선택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매출 증대보다 규모의 크기가 두드러진다. 2025년까지 160만 건의 IoT 연결(산업 및 소비자용)이 추가되며 동시에4G 및 5G 연결도 지속적으로 증가한다. 하지만 새로운 영역에서 새로운 수익 흐름이 개방되기 전까지는 통신사업자들의 매출이 완만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 세계 모바일 매출은 2017년 1조 달러(약 1,128조 원)를 넘어섰지만 2025년까지 매출 증가율은 매년 1%에 머물 것으로 예측된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