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컷뉴스

트럼프 “미군 재건”…한국 방산 기회올까

함정 보수 미사일 탄약 자주포 등 美 시장 진출 유력…나토 문호도 넓어질듯

“미국 군대가 무력해졌다” “군사력 재건을 위해 국방예산을 대폭 증액하겠다” “취임하고 24시간 안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끝낼 수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대선 공약으로 했던 말들이다.

 

미 대선을 지켜보던 각국은 트럼프의 백악관 귀환이 확정되자 자국의 안보 및 무기 체계, 방위비 분담금 등을 따져보느라 바빠졌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의 국방예산 증액 계획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방위비 증대 요구가 한국 방위산업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고 국내 언론들은 전하고 있다.

 

트럼프 당선인은 지난 11월 7일 윤석열 대통령과의 전화 통화에서 “한국의 세계적인 군함과 선박 건조 능력을 잘 알고 있다”며 “우리 선박 수출뿐만 아니라 유지·보수·정비 분야에서도 긴밀하게 한국과 협력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통화에서 트럼프 당선인은 함정 유지·보수(MRO)에 대해서만 언급했으나 업계에서는 보다 넓은 방산 협력으로 이어지길 기대하고 있다. 그동안 미국은 MRO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한국과의 협업을 추진해왔다.

 

때마침 한화오션은 11일 미 해군 7함대에 배속된 급유함인 ‘유콘’의 MRO 사업을 수주했다고 밝혔다. 앞서 한화오션은 지난 8월 미 해군 군수지원함 ‘월리 쉬라’의 MRO 사업을 따내기도 했다. HD현대중공업도 향후 5년간 미 해군의 MRO 사업 입찰에 참여할 수 있는 자격인 함정정비협약(MSRA)을 체결하며 미국 시장 진출을 준비하고 있다.

 

산업연구원은 지난 6월 ‘미국 대선 향방에 따른 방산 영향 및 대응 과제’ 보고서에서 “트럼프 후보가 다시 집권한다면 대대적인 국방비 지출 확대가 예상되고 이는 국내 방산기업에 미국 시장 진입 기회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 국내 방산업계는 미국의 국방예산 확대에 따라 미군의 군수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K9은 미 육군이 추진하는 자주포 현대화 사업의 후보군 중 하나로 선정돼 이달 중 시험평가를 할 계획이다. LIG넥스원이 개발한 대함 유도로켓 비궁의 미국 수출 가능성도 제기된다. 또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미국 정부가 추진 중인 고등훈련기(UJTS) 사업 수주에 참여할 예정이다.

 

나토에 대한 방위비 확대 압박 역시 낙수효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트럼프 당선인은 나토 회원국에 현재 2%인 국내총생산(GDP) 대비 방위비 지출 비율을 3%까지 올리도록 요구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사실 트럼프가 방위비로 나토 회원국을 압박하는 근저에는 ‘미국이 더는 유럽을 지켜주지 않는다’ ‘안보에 무임승차하지 말라’는 등의 시그널이 담겨 있다. 국방예산을 늘려 무기 확보에 투자하는 등의 방식으로 안보는 직접 지키라는 의미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영향과 트럼프 당선인의 압박으로 나토 회원국들이 자국 안보를 위해 국방비를 늘리면 신규 무기 구입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현재 유럽은 재래식 무기 생산 인프라가 축소된 상태다. 특히 노후화된 전차, 포 등 중화기 무기의 세대교체가 필요한 경우 미국 업체보다 빨리 조달할 수 있는 국내 방산의 문을 두드릴 수 있다.

 

현재 국내 방산업체들은 빠른 납기와 ‘가성비’ 등의 경쟁력으로 글로벌 방산 시장에서 점유율을 넓혀가고 있다. 방위사업청에 따르면 2019년 3조5000억원이던 방산 수출액은 지난해 18조9100억원으로 몸집을 불렸다. 정부는 올해 방산 수출 목표치를 28조원대로 잡았다. 오는 2027년까지 세계 4대 방산강국에 진입하겠다는 계획이다.

 

트럼프 당선인이 ‘자국 우선주의’를 내세우는 만큼 국방예산을 자국 방산업계 투자와 일자리 창출에 집중할 수도 있다. 이에 첨단기술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장원준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한국은 함정, MRO, 미사일, 탄약, K9 자주포 등에서 미국보다 경쟁력이 있는 만큼 미국 시장 진출을 강화할 수 있다”며 “트럼프의 ‘아메리카 퍼스트’에 맞춰 미국과 협력할 분야에 맞는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지방정부티비유=티비유 기자]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원주시, 가정의 달 맞이 원주몰 30% 할인 행사

원주시는 가정의 달을 맞아 공식 인터넷 쇼핑몰인 ‘원주몰(원주몰.com)’에서 5월 31일(토)까지 관내 200여 기업이 참여하는 기획전을 실시한다. 시는 기획전 기간 원주몰에 입점한 전체 상품을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할인쿠폰을 지급할 예정이다. 5월 한 달간 매주 화요일(6일·13일·20일·27일) 오전 10시에 30% 할인쿠폰(최대 3만 원 할인)을 선착순으로 발급한다. 쿠폰은 원주몰 회원이라면 누구나 발급받을 수 있으며, 1만 원 이상 구매 시 사용할 수 있다. 발급일로부터 2일간 유효하다. 이에 더해 5월 9일과 10일 단계동 AK백화점 열린광장에서 원주몰 연계 특판전을 실시, 오프라인으로도 시민들을 찾아갈 계획이다. 엄병국 기업지원일자리과장은 “소중한 사람들에게 마음을 전하는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기획전을 준비했다.”라며, “감사선물을 준비하고 있는 소비자들이 이번 행사를 통해 많은 혜택을 얻으시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문의 기업지원일자리과 기업육성팀(033-737-2982) [지방정부티비유=티비유 기자]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