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특별기획_MG새마을금고편] 세계로 뻗어나가는 새마을금고

새마을금고 미얀마.jpg

 

두레, 계, 향약의 상부상조 정신을 모태로 태동한 새마을금고가 미얀마와 태국, 아프리카 우간다 등 세계로 뻗어나가며 노하우를 전수 중이다. 

 

미얀마에 새마을금고 바람 분다

미얀마에 가면 친숙한 금융기관을 볼 수 있다. 바로 MG새마을금고다. 2018년 11월 기준, 미얀마에는 11개의 새마을금고가 들어섰다. 추가로 110여 개 마을에서 새마을금고 설립 절차가 진행 중이다. 2017년 마을 

주민 주도로 미얀마에 새마을금고 제1호가 탄생한 지 1년여 만이다. 

이렇게 되기까지 새마을금고중앙회의 역할이 무엇보다 컸다. 새마을금고중앙회는 행안부와 함께 2016년부터 개발도상국에 새마을금고 금융포용 모델을 전파하기 위해 국제개발협력사업을 전개해오고 있다. 2018년부터는 한국국제협력단(KOICA)과 무상원조사업 간 연계 및 부처 간 협업해 현지 연수도 진행했다. 

박차훈 새마을금고중앙회장은 “새마을금고 미얀마 성공모델이 미얀마 전역에 확대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초청연수와 현지 교육을 지원하고 전문가를 파견해 현지 컨설팅 등을 계속 실시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아프리카 우간다에 새마을금고 첫 설립

아프리카 우간다에 새마을금고가 설립됐다. 우간다 음피지군에 소재한 BWAMULAMIRA 새마을금고가 2018년 10월29일자로 정식 법인설립 인가를 받은 것. 지금까지 한 번도 통장을 가져본 적이 없는 우간다 농촌 주민들에게 제도권 금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우간다 농촌지역의 빈곤 문제를 해결하고 금융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새마을금고와 행정안전부가 흘린 땀방울의 결과다. 

지금까지 새마을금고중앙회는 협력국인 우간다와 초청연수처럼 소통을 지속해서 해옴으로써 새마을금고 운영원리를 교육하는 등 널리 알렸다. 또 마을 주민 스스로 소득원을 발굴하고 저축하는 노하우도 전수했다. 

 

새마을금고 우간다.jpg

 

태국저축신용협동조합연합회와 25년간 정기 교환 연수

새마을금고는 태국저축신용협동조합연합회(FSCT)와 25년간 상호 교환연수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FSCT는 2017년 말 기준 71조 원을 보유하고 1,085개 회원 조합을 자랑하는 태국저축신용협동조합(SACCO)의 최상위 기관이다. 

새마을금고중앙회는 2018년에도 10월4일부터 11일까지 FSCT를 초청해 금융협동조합 지도자 교환연수를 진행했다. 이번 연수에 초청된 태국 FSCT 연수단은 기아자동차새마을금고를 견학하고 울산경남지역의 중울산새마을금고도 방문해 문화탐방, 주부대학, 자원봉사단, 난타교실, 줌바교실, 노래교실, 중극장 규모의 J아트홀 등 지역사회 공헌활동 노하우도 배워갔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하동에 봄이 오나봄" 벚꽃 명소 SNS 인증샷 이벤트

봄을 맞은 하동군이 발길 닿는 곳마다 만개한 벚꽃을 뽐내고 있다. 이에 하동군이 벚꽃 인증샷 이벤트 '하동에 봄이 오나봄'을 진행한다. 하동군은 아름다운 벚꽃을 즐길 수 있는 봄철 대표 관광지로 유명하다. 이번 '벚꽃 인증샷' 이벤트는 하동의 벚꽃 명소를 배경으로 찍은 사진을 SNS에 공유하며, 하동의 아름다움을 알리는 기회가 될 전망이다. 가장 인기 있는 하동 벚꽃 명소로는 화개중학교 앞을 지나는 십리벚꽃길, 화개장터에서 쌍계사로 넘어가는 벚꽃길 등이 있다. 군은 이번 이벤트를 통해 익히 알려진 곳들 외에, 하동 곳곳에 숨어있는 벚꽃 명소를 찾아낼 수 있길 기대하고 있다. '하동에 봄이 오나봄'은 오는 4월 20일까지 진행되며, 낭만이 넘치는 이벤트에 참여하고 싶다면 하동의 벚꽃 명소에서 찍은 사진을 자신의 SNS 계정에 올린 후, 슬로시티하동 인스타그램(cittaslow_hadong) DM으로 인증하면 된다. 게시물 업로드 시 3종 필수 태그(#하동에봄이오나봄#하동벚꽃#하동여행)를 포함해야 하고, 벚꽃 사진 또는 벚꽃과 함께한 사진 모두 가능하다. 이벤트 참여자 중 무작위 추첨으로 50명을 선정해 모바일 상품권(3만 원)을 지급하며, 당첨자 명단은 4월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