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 수도권 홍보전 막 올랐다

 

부산광역시가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를 위해 수도권 버스와 도시 철도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등 유치 붐을 일으키겠다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대한민국의 축제이자 대규모 국제 행사인 2030부산세계박람회에 전 국민적 관심 제고가 필요하다며 수도권 집중 홍보에 나서게 됐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무엇보다 부산시는 유동 인구가 많은 장소와 대형 광고 시설물을 활용해 시민들의 이목을 집중하고 각인하는 홍보전을 펼칠 계획이다. 

 

서울 삼성동 코엑스 광장 옥외 전광판에 미디어아트 형식의 홍보 영상과 유치 응원 메시지를 초고화질로 노출해 월평균 500만 명의 유동 인구와 전시회 참관객을 상대로 2030부산세계박람회를 알린다. 

 

수도권의 주요 거점 광화문, 여의도 버스 쉘터, 도시철도 스크린 도어와 조명 광고에도 2030 부산세계박람회 제1호 홍보대사 이정재 씨를 앞세워 출퇴근 시민들의 시선을 끌겠다는 복안이다. 

 

젊은 세대의 공감을 끌어내기 위해 수도권 버스에 '대한민국의 첫 번째 월드엑스포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를 다함께 응원해주세요' 슬로건을 래핑해 각인시킨다. 

 

박형준 부산광역시장은 "새정부 국정과제에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가 반영돼 유치 활동 추진에 동력을 얻었다"라며 "전 세계에 대한민국과 부산을 알리고 국내외 유치 공감대를 조성하도록 범정부 조직과 민간기업간 모든 역량을 집중해 홍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의지를 밝혔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경기관광공사, 2025 관광골목 10곳 선정 6억 지원

경기도와 경기관광공사(이하 공사)는 지난 19일, 시흥 오이도박물관 교육장에서 ‘2025 경기도 구석구석 관광테마골목 육성사업’의 시작을 알리는 워크숍을 개최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워크숍은 올해 공모를 통해 선정된 10개 관광테마골목의 시·군 담당자와 지역협의체, 지역전문가와 골목 전문가 자문단 등 50여 명이 한자리에 모여 사업 방향을 공유하고, 골목별 실행사업을 구체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1억원의 예산 지원을 받는 올해 신규 관광테마골목에는 △BOCA 커피길(용인) △첫머리거리(연천) 등 2곳이 선정되었다. 5천만원을 지원받는 기존 우수 골목은 △화성 행리단길(수원) △원곡동 다문화음식거리(안산) △삼송 낙서 예술골목(고양) △돌다리 문화마을(파주) △캠프보산 스트리트(동두천) △관인 문화마을(포천) △전곡리 마리나 골목(화성) △오이도 바다거리(시흥) 등 8곳이다. 이날 행사는 참가자 네트워킹을 시작으로 △골목사업 소개 △전문가 특강 △실행사업 안내 △분임토의 등으로 진행됐다. 참가자들은 추미경 성공회대 교수의 ‘장소문화로서의 테마골목’, 이창길 개항로프로젝트 대표의 ‘테마골목 차별화 방안’ 강의 및 실행사업 안내 등을 통해 골목 활성화에 대한 아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