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지자체 잘해요

폭염 잡아라! 냉동차량에서 물 꺼내주고 119폭염구급대 준비

열흘 넘게 폭염이 지속되는 가운데, 지자체들은 톡톡 튀는 아이디어와 정성으로 폭염 탈출구를 찾고 있다.

 

대구광역시, 유동지역 냉동차량 수돗물 하루 6,500병 제공

 

‘대프리카’라 불릴 만큼 덥기로 유명한 대구광역시는 자원봉사자와 함께 유동 인구가 많은 시내 주요 지점에 냉동차량을 배치하고 시민들에게 시원한 수돗물을 나누며 열기를 식히고 있다.

또 쪽방촌 거주자, 홀몸 노인 등 폭염 취약 계층에는 얼음물과 쌀, 휴지, 선풍기 등 폭염을 이겨낼 수 있는 물품을 전달하고 급식, 말벗을 하는 등 폭염 취약계층 보호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인천광역시, 쿨루프와 정류장 에어송풍기 등 폭염저감 시설 가동

 

인천시는 경로당‧행정복지센터‧야외 무더위심터‧금융기관 등 ‘무더위심터’ 663개소를 시 전역에 설치‧운영에 들어갔다. 동 행정복지센터에 제빙기를 설치하고 양산을 빌려주는 등 업그레이드된 무더위쉼터도 등장했다.

 

4억 6,000여 만원을 투입해 그늘막, 그늘목쉼터, 쿨루프, 쿨링포그, 정류장 에어송풍기 등 폭염 저감시설을 설치‧가동하고 살수차 30대를 운행해 도심의 열기를 식히고 있다. 폭염 취약계층에는 재난도우미와 함께 양산과 쿨매트와 같은 폭염 예방 물품과 함께 휴대용 손소독제도 나눴다.

 

 

광주광역시, 119폭염구급대‧지역 특화 맞춤형 무더위쉼터 운영

 

무더위쉼터 1,500곳으로 확대한 광주광역시는 열대야가 지속될 때를 대비해 야간개방형, 거동불편자 이동서비스처럼 지역 특화된 맞춤형 무더위쉼터를 운영한다.

또 폭염 취약계층을 직접 방문하는 2,200여 명의 재난도우미를 운영해 취약계층에 안부 전화와 폭염행동요령, 응급처치요령 등 교육도 한다. 건설 및 산업 현장에선 무더위 휴식 시간제를 도입하고 119폭염구급대 30개를 운영해 폭염 대비 출동 태세를 강화했다.

 

서울 서초구, 아이스방석 비치하고 양산 무료 대여

 

서초구는 동작대교, 양재천 영동1교와 서초1교, 여의천 양재 IC하부 부근 4개소에 인공 그늘을 활용해 도심 속 휴식 공간을 조성해 운영하고 있다.

야외무더위 쉼터에선 생수와 아이스방석 등 폭염 예방 물품과 코로나19 차단을 위한 덴탈마스크를 비치했다. 아이스방석은 급증하고 있는 아이스팩을 재사용한 것으로 생활폐기물은 줄이고 폭염을 예방하는 1석 2조 물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와 함께 구는 동주민센터와 보건소선별검사소, 고속터미널 임시선별검사소에 양산을 비치해 주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서리풀 양산 대여 서비스’도 가동 중이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APEC 성공 기원 정명훈 조수미 등 아티스트 총출동

경주시는 오는 6월 13일부터 15일까지 3일간 경주예술의전당에서 2025 APEC 정상회의의 성공적인 개최를 기원하는 ‘경주 국제 & APEC’ 뮤직페스티벌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페스티벌은 △경주 국제 뮤직페스티벌(6월 13일)과 △APEC 뮤직페스티벌(6월 14~15일)로 구성되며, 문화체육관광부, 경상북도, 경주시가 공동 주최하고, ‘문화가 있는 날’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특별 공연이다. 행사 기간 동안 세계 정상급 음악가들과 APEC 회원국의 저명한 아티스트들이 한자리에 모여 수준 높은 공연을 선보이며, 문화 교류를 통한 국제적 연대와 우정을 다지는 뜻깊은 무대를 마련할 예정이다. 첫날인 13일에는 세계적인 지휘자 정명훈과 KBS 교향악단, 피아니스트 선우예권이 함께 출연해 경주의 밤을 수놓는다. 특히 정명훈 지휘자는 최근 아시아인 최초로 이탈리아 ‘라 스칼라’ 극장의 음악감독으로 선임돼 국제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14일에는 지휘자 이윤국과 함께 APEC 회원국 대표 아티스트들이 앙상블 공연을 선보이며, 소프라노 임선혜와 바이올리니스트 김서현이 무대에 올라 공연의 완성도를 한층 높인다. 마지막 날인 15일에는 세계적인 지휘자 사샤 괴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