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된 대로만 믿지 말자! 가짜 뉴스 판별법

 

가짜 뉴스 때문에 전 세계가 골치를 앓고 있다. 사회의 공기와 같은 역할을 해야 할 언론이 각종 가짜 뉴스를 남발함으로써 우리 사회를 망치고 있는 것이다. 참과 거짓의 구별! 참으로 어려운 일이다. 당하지 않으려면 똑똑한 독자들의 필터링 역할이 필요하다. 

 

가짜 뉴스 어떻게 판별할 수 있을까?

 

가짜 뉴스에 필터링하는 페이스북과 구글 
페이스북은 ‘페이스북 저널리즘 프로젝트(The Facebook Journalism Project)’를 출범시켰고 구글은 검색엔진 알고리즘 개선을 통해 가짜 뉴스 차단에 나서기로 했다. 이용자가 가짜 뉴스를 신 고하면 ‘코렉티브(Corrective)’라는 비영리언론기관이 팩트 체크 과정을 거친다. 가짜 뉴스로 판별될 시 이용자가 뉴스 콘텐츠를 공유할 때 알림이 뜨고 알고리즘에도 제외된다. 

 

가짜 뉴스 어떻게 판별할 수 있을까? 
1. 각종 SNS에나 링크 공유를 통해 전해진 뉴스 중 상식에 어긋나는 것은 바로 받아들이지 말고 기존 언론사들이 그 문제에 대해 어떻게 보도하는지 먼저 점검하자! 유력 언론사와 꼭 크로스체킹 해야 한다. 특히 선정적이고 많은 사람이 관심을 가질 만한 독특한 뉴스일 경우 가짜 뉴스일 확률이 높은 만큼 더 꼼꼼히 체크해야 한다. 


2. 팩트 체크를 하기 위해서 스마트폰의 힘을 빌리자! 네이버는 물론 다음이나 구글 등 검색엔진 을 최대한 동원해서 사실 여부를 검색한다. 만약 그 분야의 전문가를 알고 있다면 전문가와 전화 나 문자 등으로 뉴스 사실 여부를 검증받도록 하자. 


3. 뉴스에 인용된 조사 자료와 데이터 자료가 실제로 존재하는지 살펴봐야 한다. 출처가 한 곳일 경우에는 편협한 결론으로 사실이 아닐 경우가 많은 만큼 하나 이상의 증거를 제시하는지 살펴보자. 출처를 밝히고 인용했다면 그곳에서 실제 뉴스와 관련된 보도 자료나 연구 자료를 발표했는 지 확인해보도록 하자. 


4. 기존에 알고 있던 언론사가 아니라면 그 언론사가 지도상에 정확히 위치하고 존재하는지 살펴 보자. 오프라인에서 존재하는 기관일 경우 함부로 가짜 뉴스를 생산하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5. 뉴스의 내용이 논리적이지 않고 일방적이고 감정적인 것이라면 정보가 과장, 왜곡될 확률이 높다. 사실과 의견을 구분해서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6. 해당 뉴스를 만들어내는 웹 사이트가 검증된 곳인지 확인한다. 검증된 다른 웹사이트처럼 디 자인된 가짜 웹사이트는 아닌지 따져봐야 한다. 웹사이트 끝자리가 com, co와 같이 흔치 않은 것이면 의심을 해볼 만하다. 


7. 포토샵 기법이 워낙 발전해 실제 찍은 사진이 아닌데도 실제 사진처럼 보여질 수 있다. 그러므로 사진이 부자연스러운 곳은 없는지 다른 언론사에서도 그 사진을 활용했는지 확 인한다. 


8. 무엇보다 독자들이 정신을 똑바로 차리고 뉴스를 읽어야 한다. 뉴스를 만드는 사람과 기관의 한계를 인정하고 비판적인 수용을 해야 한다. 사람들의 이야기도 신뢰할 만한 사람의 이야기는 경청하지만 매번 거짓말 하는 사람들의 말은 무시하듯이 말이다. 뉴스도 오류와 편향, 거짓이 있 을 수 있음을 염두에 두고 비판적인 사고로 받아야 들여야 한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서울 은평구, AI 등 주제 어린이 글짓기·그리기 공모전

은평구(구청장 김미경)는 어린이주간이 있는 5월을 맞아 관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제40회 은평구 어린이 글짓기·그리기 공모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올해로 40회를 맞이한 이번 공모전은 은평구와 은평구 아동위원협의회가 공동 주최·주관하며, 아동이 상상력과 표현력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는 대표적인 행사로 자리잡고 있다. 공모 주제는 △AI와 우리의 미래 △나의 이웃(내가 좋아하는 이웃의 모습) △내가 구청장이 된다면? △디지털 중독으로 총 4가지다. 이는 지난 2월 은평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주제 공모를 통해 최종 선정됐다. 올해는 인공지능과 디지털 환경에 대한 사회적 이슈부터 일상 속 공동체의 가치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주제를 담아낸 것이 특징이다. 작품 접수는 오는 16일부터 내달 9일까지다. 참가 대상은 은평구에 거주하거나 재학 중인 초등학생이며, 글짓기 부문과 그리기 부문에 중복 참여가 가능하다. 공모전 작품은 글짓기 부문에서 자유 형식의 A4 1매, 그리기 부문에서 8절 도화지 1매로 제한을 둔다. 참가 방법은 신청서와 개인정보 제공 및 수집·이용 동의서, 작품 원본을 우편으로 보내거나 은평구청 가족정책과 아동친화팀을 방문해서 제출하면 된다. 심사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