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인의 글

백신의 정치학

 

벌써 5월. WHO가 팬데믹을 선언한 지 14개월이 지났고, 
우리나라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지는 16개월째다.

작년 내내 전 세계인들이 코로나19와 싸운 시간이었다면 
이제 백신의 시간이 되었다.

 

수개의 다국적 제약회사 백신이 사용 승인을 받았고,
추가적으로 승인이 예정된 백신도 있다.

 

문제는 공급이 수요에 미치지 못하는 것이다.
소위 부자 나라들이 백신을 선점하는 바람에 
경제력이 약한 나라는 백신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국내에서도 백신이 정치와 언론의 쟁점으로 부상하였다.
우리나라는 9,900만 명분의 백신을 도입키로 계약해 물량은 
충분하다고 하는데, 필요한 시기에 도입될지를 놓고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미국이 수출 통제를 하는 것 아니냐를 놓고도 논쟁이 분분하다.
아무리 생각해도 불필요한 싸움이다.
우리나라가 경제력이나 국제적 위상으로 보나 
백신 소외국으로 전락하겠는가 !
불필요한 싸움으로 논쟁하지 말고 4차 유행을 차단하기 위한
방역에 힘을 모으는 것이 지혜로운 일 아닐까 ?

 

정치는 국민의 걱정을 덜어주는 데 앞장서야 하고 
국민의 신뢰 회복을 우선 순위에 두어야 한다.

 

우리는 백신 접종 차례가 되면 피하지 말고 접종에 협력하여
하루 빨리 일상으로 돌아와 경제를 회복해야 한다.

 

백신은 과학이지 정치가 아니라는 말이 가슴에 와닿는다.

 

2021년 5월 《지방정부》, 《지방정부 티비유》 발행인 이영애 

 

배너

발행인의 글


[책소개] 이주열 교수의 '탁월하게 나답게 사는 삶'

청년자기다움 설립자이며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연구교수인 이주열 교수가 신간 '탁월하게 나답게 사는 삶'을 출간한다. 이 책은 자기답게, 나답게 빚어가는 삶은 그 자체로 작품이라는 것으로 남을 이기기보다 남다르기를 힘쓰고 승자 독식 대신 함께 행복하기를 꿈꾸는 이들을 위한 가치, 관점, 강점, 탐구서이자 실제적인 커리어 가이드라고 할 수 있다. 탁월하고 영향력 있는 삶의 원리 제시 이주열 교수는 자기답게 살기 힘든 현실, 그런데도 자기 강점을 찾아 미래르 도모하라는 압박, 각자도생과 무한경쟁, 그 속에서 나다운 모습과 방식으로 나만의 성공을 일구기 위해서는 그 답이 바로 내 안에 있다고 말한다. 그는 '아이덴티티(자기발견), 인사이트(세상과 시대, 사회 통찰), 인풋(공부와 훈련), 이미지(목표와 전략 구체화), 인플루언스(적용과 실천)'라는 다섯가지 키워드로 탁월하고 영향력 있는 삶의 원리를 제시하며, 오롯이 자신만의 꿈으로 빛날 변화의 여정에 독자들을 초대한다. 이주열 교수는 컴퓨터 공학을 전공하고 은행 IT부서 프로그래머로 일하던 중 자신의 길이 아님을 깨닫고 과감하게 퇴사했다. 후회 없는 인생을 살고 싶어 어릴 적 품었던 인문학의 길을 걷는다. 올해의 컨

세대 간 장벽 허문 디지털 기술 교육

2023년 4월 현재, 우리는 첨단 기술(High Technology) 세계에 살고 있다. 최근 신세대 사이에서 크게 관심을 받는 챗GPT 부터 가상 세계 메타버스까지, 불과 10년 전만 해도 상상만 하던 세상이 현실에서 구현돼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가 희미해지고 있다. ‘MZ세대 이해하기’처럼 현실에 반영된 밈이나 숏폼 콘텐츠 등을 심심찮게 볼 수 있으며, 해가 갈수록 비약적으로 성장하는 IT 기술의 발전은 세대 차이를 크게 벌려놓았다. MZ세대를 제외한 세대는 첨단 기술 시대에 적응하기가 쉬운 일이 아니다. 최근 들어 식당에서도 태블릿 PC나 스마트 키오스크로 음식을 주문하는 일이 일상이 되다 보니 IT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자들은 식사하기조차 쉽지 않다. 이런 고령의 노인들에게 기기 사용법을 알려주어 세대 차를 극복한 훈훈한 사례가 소개돼 마음을 따뜻하게 해주고 있다. 애슈데일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이 요양원을 찾아 스마트 기기 사용을 어려워하는 어르신들에게 최신 기술을 알려주고, 휴대전화처럼 일상에서 사용하는 기기 사용법을 공유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학생들이 어르신들에게 스마트 기기 사용법을 알려주듯, 학생들은 어르신들에게 과거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