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어린이 160명 중 약 1명이 자폐성 발달 장애를 앓고 있다. 발달 장애는 종종 사회적·정서적·의사소통 문제로 이어지며, 완전히 치료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현재 개발된 과학 기술을 활용한 놀이치료 등을 이용해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
남부 캘리포니아에서 시행된 연구결과에 따르면 사회성 보조 인공지능 로봇(Socially-assisted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의 발전으로 자폐증 환자가 보다 저렴하고 개인화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열렸다. 이 연구는 한 달 동안 자폐 증상을 가진 아이들과 아이들의 가정에서 함께 생활하는 로봇을 관찰하여 눈 접촉과 같은 오디오 및 비디오를 사용해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 로봇과 자폐 아동의 상호 작용을 통해 기계 학습 모델을 개발하였다. 로봇과 아이가 주고받는 상호작용을 통해 아이에게 기본적인 사회적 기술을 가르쳤으며, 자폐의 공통적인 증상인 집중력 결핍이 나타날 확률이 높은 시끄럽고 변동성이 많은 상황에서도 치료 수업의 참여도를 90% 이상 높이는 데 성공하였다. 로봇은 개개인의 다른 성향과 지적 수준을 맞추기 위해 강화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개인에게 맞춤화된 성능과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하였던 마타릭(Maratic)은 많은 어린이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친구로서 로봇과 소통하는 법을 배웠고 다른 가족 구성원과의 관계 또한 발전시킴으로써 로봇이 기존의 관계를 대체하기보다는 개선할 수 있다는 전제를 입증했다고 밝혔다. 마타릭 연구 팀은 이러한 사회성 보조 로봇이 자폐아를 위한 저렴한 맞춤형 치료 동반자가 되어 포괄적인 치료와 개선에 도움을 주는 치료법이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전했다.
유럽에 위치한 룩셈부르크대학에 개설된 회사 럭스에이아이(LuxAI)에서는 큐티로봇(QTrobot)을 개발하였다. 이 로봇은 실제로 자폐 증상이 있는 아이와 치료사 간의 의사소통에 대한 아이의 의지를 높이고 치료 활동 중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고 발표했다. 큐티로봇 개발자들은 큐티로봇이 보여주는 신체 움직임과 같은 사회적 신호가 자폐증 아이에게 심리적인 편안함을 줄 수 있으며, 로봇과 함께 치료를 하였을 때 아이들의 집중력이 높아지는 것을 발견했다. 더욱 중요한 사실은 아이들이 치료를 받는 공간에 로봇이 개입하였을 때 아이들과 치료사 사이에 더 많은 상호작용이 이루어졌으며, 로봇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와 비교하였을 때 필요 없는 손 사용(퍼덕거림) 등이 현저히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개발자들은 아이들의 주의력 결핍 및 과잉 행동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디지털 치료법 개발은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반대로 앱에만 집중하지 않고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가르치는 치료법인 AI로봇의 개발은 아직 부족하다고 전했다. 럭스에이아이의 궁극적인 목표는 아이들이 자폐증을 일상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사회적 기술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연구자들은 연구 목표를 향한 좋은 발걸음을 내디뎠으나 실제로 아이들에게 높은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