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인의 글

코로나19의 교훈 투명사회!

 

코로나19의 교훈 투명사회!
사람은 만물의 영장이라고 한다.
세상에서 가장 으뜸이 되며 세상 모든 만물을 다스리는 존재라는 뜻이다.

 

그런데 지금 세상의 모든 사람이 하찮은 바이러스 때문에 인류 역사상 최악의 상황을 맞고 있다.
과거 서양 문명의 꽃을 피웠던 소위 선진 여러 나라가 예외없이 망신을 당하고 있는 것이다.
미국이라면 첨단 제품부터 생필품까지, 학문에서 법과 제도, 사회현상까지 모두 선망의 대상이었고 
기회의 땅이라고들 했었다.
유럽 제국도 마찬가지다.
그런데 그들이 우리나라를 칭찬하는 상황이 됐으니 얼떨떨한 느낌이다.
코로나19가 만들어놓은 현상 아닐까?

 

대한민국이 칭찬받았다.
지구상의 거의 모든 나라가
코로나19로 생필품 사재기에 나설 때 대한민국 국민은 사재기 안 했고, 
마스크가 귀할 때 묵묵히 줄을 서며 서로 나누기를 했었다.
그뿐인가? 대구, 경북에 감당하기 어려울 만큼 많은 확진자가 나왔을 때도 
전국에서 의료진과 자원 봉사자가 달려왔고, 
대구의 확진자를 전국 지자체에서 맞아주었다. 
대구, 경북에 성금과 위문품이 답지하기도 했다. 

 

한때 우리 청년들이 지옥 같은 헬조선이라며 제 나라를 폄훼한 것이 엊그제다. 
지금 대한민국에 자부심을 갖는 청년들이 대폭 늘었단다. 
과거 국민들의 정부에 대한 신뢰 수준은 형편없지 않았던가.
그러던 우리나라가 어느 선진국 못지않게 소위 사회적 자본이라는 신뢰가 축적됐다. 

 

이 모든 국내외적 변화가 어디에서 왔을까? 
아마도 코로나19와 싸우는 과정에서 정부가 보여준 
투명성의 산물일 것 같다. 
아무것도 숨김없이 있는 그대로 국민들에게 공개하고, 
코로나19로 고통받고 있는 어려운 현장에 
깊숙히 함께하고, 필요하면 이해와 협력을 구하는 변화된 모습 때문이다.

 

대한민국!

선진국이 되려면 투명사회로 가야 한다는 교훈은 
코로나19로 겪은 고통보다 훨씬 값진 것이다.
편집인의 글
2020년 7월 《월간 지방자치》·《tvU 》 대표·편집인 이영애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경주시, APEC 손님맞이 전통시장에 영문 안내판 영문 메뉴판 비치

경주시는 2025년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외국인 방문객 맞이 전통시장 환경개선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11일 시에 따르면, 오는 6월까지 총사업비 1억 원(전액 시비)을 투입해 관내 전통시장 5곳에 다국어 안내체계를 구축하고 노후시설을 정비할 계획이다. 사업은 △다국어 서비스 개선 △시설 인프라 정비 등 2개 분야로 구성됐다. 다국어 서비스 개선 부문에서는 안강시장 등 4개소에 2,000만 원을 들여 영문 간판을 병기하고, 불국사상가시장에는 500만 원을 투입해 상가 안내도를 교체한다. 중앙시장 야시장과 성동시장 먹자골목에는 1,500만 원을 들여 다국어 메뉴판을 제작·비치할 예정이다. 시설 인프라 정비 분야에서는 황성상점가의 노후 간판을 500만 원을 들여 교체하고, 외동시장에는 3,000만 원을 투입해 통행로를 정비한다. 성동시장에는 2,500만 원의 예산으로 분리수거장을 새롭게 조성할 방침이다. 시는 지난달 사업 시안 검토를 마쳤으며, 이달부터 공사에 착수해 다음 달까지 모든 작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이번 사업은 전통시장의 이용 환경을 개선하고, 외국인 관광객들이 보다 편리하게 방문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는 데 의의가 있다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