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혁신 행정] 올해의 평생학급대상을 목표로 열심히 뛰는 대구광역시 수성구 평생교육과




809d76b449b9766205ac107503e7020c_1529025130_4192.png



 


대구의 강남인 수성구는 2011년 평생학습도시로 지정돼 늦은 감은 있지만 그만큼 평생학습을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다. 덕분에 대구에서 평생학습 공모사업을 가장 많이 따냈고, 개인 부문 최고상도 배출했다. 전국이 주목해야 할 떠오르는 평생학습의 메카 수성구를 소개한다.

취재|양태석 기자

​수성구청 맞은편 범어도서관 5층에 위치한 수성구 평생교육과. 어느 부서보다 활기가 넘치는 곳이다. 5층에 있는 강의실과 회의실에는 구민들로 구성된 학습동아리 회원들로 만원이다. 평생교육과에 온 지 6개월도 안 된 이상호 과장은 본인이 가장 잘할 수 있는 곳에 배치받아 딱 적성에 맞는 일이라며 올해 꼭 평생학습 대상 지자체로 선정되도록 직원들과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당장 최근에 평생교육사를 1명 더 채용하기도 했다.

평생교육과는 수성구 내 부서 간 업무추진 일자리창출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실제 평생학습을 통해 인생이 바뀌고, 직업을 얻은 인물이 있다. 바로 남병웅 대구경북흥사단 평생교육원장인데, 남 원장은 대한민국 평생학습 대상 시상식에서 ‘올해의 평생학습인’에 선정돼 개인 부문 최고상인 교육부장관상을 받았다. 40대에 평생학습이 너무 재미있어 자격증을 17개나 딴 남
원장은 대구시민을 위한 무료 웃음교실을 열고, 미소친절대구만들기 운동에도 적극 참여하는 등 평생학습을 기반으로 한 재능기부 봉사활등을 꾸준히 펼쳤다.현재는 전국을 돌며 강의를 하고 있다. 남 원장은 이 자리까지 오도록 도와준 수성구에 감사의 마음을 담아 시상식에서 받은 상금 300만원 중 수성인재육성재단에 100만원을 기탁했다.

그 외 평생학습을 경험한 구민들은 지금까지 왜 집에만 있었는지 아쉽고, 이렇게 좋은 세상이 있는 줄 몰랐다며 긍정적인 평가를 했다. 340여 개나 되는 강좌와 초급·중급·고급 등 수준에 맞는 교육을 받을 수 있어 매달 8천여명이 교육을 받는다. 올해에는 수성구내 6개 ‘문화센터’를 ‘평생학습센터’로 개명해 보다 많은 구민들의 참여를 이끌어낼 계획이다.


809d76b449b9766205ac107503e7020c_1529025145_6305.png

 

 

수성구는 부족한 평생학습 예산을 메우기 위해 공모사업을 많이 신청했는데, 작년에는 대구에서 최고로 많은 1억 4천만원을 공모사업으로 따냈다. 이는 평생교육 홈페이지를 중심으로 수시로 정보교류를 활발히 했기 때문이다. 특히 2군사령부와 함께 추진한 유태인 교육방식인 하브루타 교육의 인기가 높았다. 수성구 평생학습주간도 3회째 진행했는데, 7일 동안 수성(SUSEONG)의 영문 첫 글자를 따서 ‘S(Study)배움의 날’, ‘U(Union)통합의 날’, ‘S(Sharing)나눔의 날’, ‘E(Enjoy)즐김의 날’, ‘O(Open)개방의 날’, ‘N(Newness)새로움의 날’, ‘G(Growth)성장의 날’을 큰 테마로 추진해 좋은 반응을 이끌어냈다.

이상호 과장은 갈수록 늘어나는 복지재정으로 평생교육 예산이 올해만 1억원이나 줄어들었다며 작은예산으로 큰 효과를 낼 수 있는 평생교육예산은 국가가 담당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최소한 평생교육예산의 반 정도는 중앙부처가 담당하고 보조금 형태로 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더불어 평생교육사에 대한 인건비를 지원하고 중앙부처 간 업무조율을 통해 똑같은 사업이 여러 부서에 나눠 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올해에는 기존에 교육을 받은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보수교육과 질 높은 워크숍을 실시해 개인역량을 강화하며 자신의 재능을 지역사회에 더 많이 기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보다 자세한 문의는 대구광역시 수성구 평생교육과(053-666-4230)로 하시면 됩니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경주 APEC 성공 기원”… 김창준 등 전 미국 연방의원 7명 방문

경주시는 김창준 한미연구원과 미국 전직 연방의원협회(FMC) 소속 전직 의원들이 지난 18일 경주를 찾아 APEC 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를 기원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방한은 김 연구원과 FMC의 네 번째 경주 방문으로, 매년 가장 한국적인 도시로 꼽히는 경주를 찾아 민간 외교 활동을 펼치고 있다. 김창준 한미연구원은 한국계 미국인으로는 처음으로 미 연방 하원의원을 지낸 김창준 전 의원(공화당·캘리포니아)이 이사장으로 있는 단체다. FMC는 전직 미국 연방의원들의 모임으로, 세계 각국의 정부·기업·단체와의 교류를 통해 글로벌 네트워크 확대를 도모하고 있으며, 김 전 의원 역시 FMC 소속이다. 이번 방문단에는 김 전 의원을 비롯해 △존 사베인스 전 하원의원(민주당·메릴랜드) △비키 하츨러 전 하원의원(공화당·미주리) △브랜다 로렌스 전 하원의원(민주당·미시간) △존 캣코 전 하원의원(공화당·뉴욕) △앤 마리 버클 전 하원의원(공화당·뉴욕) △콴자 홀 전 하원의원(민주당·조지아) 등 전직 의원 7명과 배우자 등 총 12명이 포함됐다. 이들은 경주시의 환영 만찬에 참석한 뒤 월정교와 동궁과 월지 등 경주의 주요 야경 명소를 둘러보며 신라 천년 고도의 역사와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