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일이 입력하기 귀찮을 때 활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키보드 꿀 기능

 

55.png

 

 

 

​스마트폰이 대중화되긴 했지만 여전히 작고 좁은 키보드는 불편하다.
큰 손가락으로 단어를 하나하나 누르다보면 어느새 오타가 한 두 개씩 꼭 있고, 주소나 계좌번호, 전화번호처럼 긴 글자를 일일이 입력하기도 귀찮다.
이럴 때 쓰면 좋은 기능들을 소개한다.

 

 

모든 스마트폰에서 갖추고 있는 기능인 ‘자동완성’, ‘자동수정’ 기능은 나도 모르게 생기는 오탈자를 수정하거나 단어를 다 입력하지 않아도 완성해주는 기능이다. 그러나 자기가 의도하지 않은 단어로 바뀌거나, 이상하게 바뀐 단어를 다시 고쳐야 하는 번거로움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이 훨씬 많다. 자동완성, 자동수정 기능보다는 덜 사용되지만 훨씬 편한 기능이 있다.

 

 

56.png

 

 

아이폰이라면 텍스트 대치 활용
아이폰 사용자 중에 평소 자주 입력하는 문장이나 복잡한 이모티콘 등이 있다면 텍스트 대치 기능을 활용하면 좋다. 텍스트 대치 기능은 단축키라고 생각하면 쉽다. 이 기능을 활성화하면 평소 내가 자주 사용하는 문구를 단축키로 설정하고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다.
* 설정 → 일반 → 키보드 → 텍스트 대치 활성화


메모장, 문자, 카카오톡 등에서 단축키를 입력하면 설정해둔문구가 자동으로 나타난다. 텍스트 대치를 사용하려면 스페이스바나 ‘다음문장’ 버튼을 누르면 된다. 평소 자주 사용하는 이메일 주소나 비밀번호, 계좌번호, 전화번호, 집주소, 이모티콘 등을 입력할 때 사용하면 편리하다.

 

 

 

58.png

 

 

불필요한 동작은 최소화 단어 한 번에 입력, 키보드 크기 조절LG나 삼성 스마트폰 사용자는 ‘한번에 단어입력’, ‘텍스트 입력’ 기능을 활용해보자. 키보드에 첫 글자부터 마지막글자까지 한 번에 이어 단어를 완성할 수 있다.
*LG: 설정 → 언어 및 키보드 → LG키보드 → 한 번에 단어입력 활성화
*삼성: 설정 → 삼성키보드 → 키보드 화면에서 제스처 사용 → 텍스트 입력 활성화

 

 

 

 

이 기능을 활성화한 후 키보드에서 내가 입력하려는 단어의 첫 글자를 누르고 손을 떼지 않은 상태에서 다음 글자로 이동하면 파란색 선이 생기며 내 손이 이동한 위치가 키보드 위에 나타나고 단어가 입력된다. 이때 첫글자를 너무 오래 누르고 있지 않도록 주의하자. 복잡하거나 긴 단어까지 완벽하게 입력하기에는 무리가 있지만 자주 사용하거나 비교적 간단한 단어의 경우 정확하게 입력되므로 활용만 잘 한다면 키보드 입력시간을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슬라이드 동작 사용’ 기능은 수정하고 싶은 글자가 있을 때 키보드를 누른 상태에서 왼쪽으로 밀면 커서가 따라 이동하는 기능으로 수정고자 하는 글자를 선택할 때 편리하다.

*일반 → 언어 및 입력 방식 → 가상 키보드 → 삼성키보드 → 슬라이드 동작 사용 활성화

키보드가 손에 익숙하지 않거나 한 손으로 조작하기 힘들 정도로 크기가 큰 스마트폰이라면 ‘키보드 레이아웃’ 기능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키보드 레이아웃’ 기능은 스마트폰 키보드의 가로나 세로 크기를 줄여주는 것으로 자신의 손 크기에 맞게 조절해 사용하면 된다.*일반 → 언어 및 입력 방식 → 가상 키보드 → 삼성키보드 → 키보드 레이아웃 설정

배너

발행인의 글


[책소개] 이주열 교수의 '탁월하게 나답게 사는 삶'

청년자기다움 설립자이며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연구교수인 이주열 교수가 신간 '탁월하게 나답게 사는 삶'을 출간한다. 이 책은 자기답게, 나답게 빚어가는 삶은 그 자체로 작품이라는 것으로 남을 이기기보다 남다르기를 힘쓰고 승자 독식 대신 함께 행복하기를 꿈꾸는 이들을 위한 가치, 관점, 강점, 탐구서이자 실제적인 커리어 가이드라고 할 수 있다. 탁월하고 영향력 있는 삶의 원리 제시 이주열 교수는 자기답게 살기 힘든 현실, 그런데도 자기 강점을 찾아 미래르 도모하라는 압박, 각자도생과 무한경쟁, 그 속에서 나다운 모습과 방식으로 나만의 성공을 일구기 위해서는 그 답이 바로 내 안에 있다고 말한다. 그는 '아이덴티티(자기발견), 인사이트(세상과 시대, 사회 통찰), 인풋(공부와 훈련), 이미지(목표와 전략 구체화), 인플루언스(적용과 실천)'라는 다섯가지 키워드로 탁월하고 영향력 있는 삶의 원리를 제시하며, 오롯이 자신만의 꿈으로 빛날 변화의 여정에 독자들을 초대한다. 이주열 교수는 컴퓨터 공학을 전공하고 은행 IT부서 프로그래머로 일하던 중 자신의 길이 아님을 깨닫고 과감하게 퇴사했다. 후회 없는 인생을 살고 싶어 어릴 적 품었던 인문학의 길을 걷는다. 올해의 컨

세대 간 장벽 허문 디지털 기술 교육

2023년 4월 현재, 우리는 첨단 기술(High Technology) 세계에 살고 있다. 최근 신세대 사이에서 크게 관심을 받는 챗GPT 부터 가상 세계 메타버스까지, 불과 10년 전만 해도 상상만 하던 세상이 현실에서 구현돼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가 희미해지고 있다. ‘MZ세대 이해하기’처럼 현실에 반영된 밈이나 숏폼 콘텐츠 등을 심심찮게 볼 수 있으며, 해가 갈수록 비약적으로 성장하는 IT 기술의 발전은 세대 차이를 크게 벌려놓았다. MZ세대를 제외한 세대는 첨단 기술 시대에 적응하기가 쉬운 일이 아니다. 최근 들어 식당에서도 태블릿 PC나 스마트 키오스크로 음식을 주문하는 일이 일상이 되다 보니 IT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자들은 식사하기조차 쉽지 않다. 이런 고령의 노인들에게 기기 사용법을 알려주어 세대 차를 극복한 훈훈한 사례가 소개돼 마음을 따뜻하게 해주고 있다. 애슈데일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이 요양원을 찾아 스마트 기기 사용을 어려워하는 어르신들에게 최신 기술을 알려주고, 휴대전화처럼 일상에서 사용하는 기기 사용법을 공유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학생들이 어르신들에게 스마트 기기 사용법을 알려주듯, 학생들은 어르신들에게 과거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