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트렌드

[요즘 트렌드] 일교차가 커지면 심정지 환자도 늘어난다

1.png

 

 

 

기온이 떨어지면 심장마비로 인한 사망사고 발생이 높아진다.
심장마비 환자가 발생했을 때 골든타임은 4분.
4분 안에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면 생존율을 80% 이상 높일 수 있다.


기획|편집부

 

 

국립공원관리공단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15년까지 5년간 국립공원 내에서 발생했던 사망사고 115건 중 심장돌연사가 58건으로 약 절반을 차지했다. 특히 10월과 11월에 발생한 사망사고 26건 중 심장돌연사는 15건이다. 기온이 떨어지면 우리 몸은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혈관을 수축시킨다. 이로 인해 혈압이 높아져 고혈압, 협심증, 심근경색, 뇌졸중 등의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심장질환을 앓고 있는 고령자의 경우 일교차가 1도커지면 사망률이 2.46% 증가한다는 연구결과도 있으며, 최근에는 서구화된 식생활과 불규칙한 생활습관, 스트레스 등으로 젊은 층에서도 심혈관계 질환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갑작스러운 기온 변화에 적응하지 못해 심장돌연사의 위험이 평소보다 높아지는 가을철에는 야외활동에서 발생할 위급상황에 대비해 심폐소생술을 숙지하는 것이 좋다. 심정지가 발생했을 때 바로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면 생존율을 80% 이상 높일 수 있으나,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못하면 골든타임인 4분만 지나도 생존율이50% 미만으로 떨어진다.


주변에 심정지 환자가 발생한 경우 ①환자반응 확인 ②119 신고 ③호흡확인 ④가슴 압박 ⑤인공호흡 순으로조치를 취해야 한다. 인공호흡 없이 가슴을 압박하는 것만으로도 환자에게는 큰 도움이 될 수 있으니 올바른인공호홉 방법을 모르는 경우라도 환자의 호흡이 돌아오거나 구조대가 올 때까지 가슴 압박을 시도해야 한다. 가슴 가운데가 뻐근하게 아프고 누르거나 조여오는 느낌 등의 불편함이 있거나, 이 증상이 팔, 등, 목, 턱 또는 배의 위쪽 부분으로 퍼져 나가고, 숨이 차거나 두근거림, 식은땀, 구역질, 어지러움 등은 급성심근경색의대표적인 증상이므로 이런 증상이 느껴지면 휴식을 취한 후 병원을 찾는 것이 좋다.

 

심장돌연사 예방을 위한 생활 속 심폐 건강 수칙


•다양한 채소와 과일을 많이 먹는다.
•담배는 반드시 끊고 술은 하루에 2~3잔 이내로 마신다.
•짜고 기름진 음식은 삼간다.
•매일 30분 이상 유산소 운동을 즐긴다.
•심장질환을 부르는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을 예방하고 조기에 치료 한다.
•중년이 넘으면 주기적으로 건강 검진을 받고 전조 증상이 의심되면 신속하게 병원을 찾는다.
•스트레스를 줄이고 즐거운 마음으로 생활한다.

 

알아두어야 할 심폐소생술 시행방법

 

2.png

 

3.png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해남군민의 날' 5월 1일 개최…우슬벌 화합 한마당

해남군민들의 화합 한마당, 제52회 해남군민의 날 기념행사가 5월 1일 우슬체육공원에서 펼쳐진다. 이번 군민의 날 행사는 격년제로 진행되는 옥외행사로, 14개 읍면민들이 한자리에 모여 군민의 날을 기념하고, 읍면대항 체육행사와 민속경기 등을 통해 화합의 자리를 펼친다. 기념식에서는 14개 읍면의 입장식에 이어 새로운 해남, 미래로의 도약의 다짐을 담은 군민 퍼포먼스, 군정발전 유공자에 대한 시상이 있을 예정이다. 한편 올해 해남군민의 상 수상자는 유경록 향우가 선정됐다. 출향 기업인인 유경록 향우는 황산면 소정리 출신으로, 홀로 상경해 자수성가한 기업인으로서 불굴의 의지와 노력으로 성공적인 기업 경영을 일구었으며, 그 성과를 지역사회로 환원하며 고향 사랑을 실천해 왔다. 특히 해남향교 연산장학회를 설립, 현재까지 총 383명의 학생들에게 2억여 원의 장학금을 지급하며 지역인재 양성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지역내 장학사업과 문화사업에 적극적인 후원을 아끼지 않으며, 고향사랑을 실천해 오고 있다. 해남군민의 상은 4년만에 수상자를 배출해 그 의미를 더욱 깊게 하고 있다. 해남군민의 날을 기념해 4월 29일에는 KBS전국노래자랑이 군민광장에서 열린다. 시간은 오후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