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 파괴적인 전염병에 무방비 상태(The next outbreak? We’re not ready)

  • 등록 2018.07.12 10:10:31

 

27.png

빌 게이츠(Bill Gates)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

 

 

 

 

 

전염병 대비 투자 적어
제가 어렸을 때 사람들이 가장 걱정했던 재난은 핵전쟁이었습니다. 그래서 우리집 지하실에는 음식통조림과물로 채운 원통들이 있었습니다. 핵공격을 당했을 때, 아래층으로 내려가 쪼그리고 앉아서 원통 안에 넣어둔음식을 꺼내 먹는 것이지요.


오늘날 최대로 위험한 세계 재앙은 이런 모습이 아닙니다. 그보다는 앞으로 몇 십 년간 만약 무언가가 100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을 죽인다면, 그것은 아마도 전쟁이 아니라 전염성이 매우 강한 바이러스일 겁니다. 미사일이 아니고 미생물일 것입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우리가 핵 억제력에 막대한 양의 투자를 했기 때문입니다. 그에 반해 실질적으로 전염병을 멈출 시스템에는 매우 적게 투자를 해왔습니다. 우리는 다음에 발생할 전염병에 전혀 준비가 되어 있지 않습니다.


에볼라
에볼라의 경우를 살펴봅시다. 여러분 모두 에볼라에 대해 신문에서 읽어보았을 겁니다. 매우 힘든 문제였습니다. 저는 소아마비 퇴치를 추적하는 사례분석 도구를 이용해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유심히 살펴보았습니다. 문제는 효과가 없는 시스템이 아니라 우리에게 시스템 자체가 없다는 사실이었습니다. 사실상 꽤 명백하고 중요한 것들이 빠져있었습니다.


한 발 더 나아가서 그 질병이 무엇인지, 얼마나 퍼졌는지 알 수 있는 전염병학자들이 없었습니다. 질병 발생현황이 신문에 보도되었고 한참 후에 온라인에 정보가 올라왔으나 그 정보는 부정확했습니다. 우리에게는 준비된 의료팀이 없었습니다. 사람들을 어떻게 준비시켜야 하는지도 몰랐습니다.


국경없는의사회(M adecins Sans Fronti res, MSF)는 봉사자들을 굉장히 잘 이끌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들 국가에 수천 명의 봉사자들을 투입하고도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했습니다(그리고 규모가 큰 전염병은 수십만 명의 봉사자들이 필요할 것입니다). 치료방법을 찾아볼 사람이 없었습니다. 진단을 내릴 사람도 없었습니다. 어떤 도구들을 사용해야 하는지 아는 사람도 없었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는 생존자들의 피를 뽑아서처리과정을 거쳐 그 혈장을 다시 사람들에게 주입해서 예방할 수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한 번도 시도되지않았죠.


많은 것이 부족했습니다. 정말 국제적 실패였습니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전염병 감시를 위해 기금을 지원받지만 제가 언급한 일에 대해서는 기금을 지원받지 못했습니다. 자, 영화에서는 꽤 다르게 나타납니다. 일할 준비가 잘된 전염병학자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현장으로 들어가서 사람들을구하죠. 그러나 이것은 순전히 할리우드 영화 속 이야기입니다.


대비에 실패하면 다음 번엔 에볼라보다 훨씬 더 파괴적인 전염병이 발생할 겁니다. 올해의 에볼라 진행과정을 살펴봅시다. 약 만 명의 사람들이 사망했는데, 거의 대부분 서아프리카 세 나라 사람들이었습니다. 에볼라가 더 퍼지지 않은 세 가지이유가 있습니다.


첫째, 의료종사자들이 영웅적인 일을 해냈습니다. 전염병에 걸린 사람들을 찾아냈고, 더 많은 감염을 방지했습니다.


둘째, 바이러스의 성질입니다. 에볼라는 공기를 통해 퍼지지 않습니다. 당신이 전염되었을 때쯤이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너무 아픈 나머지 침대에 누워만 있을 겁니다.


셋째, 에볼라는 도시 지역에 퍼지지 않았습니다. 그저 운이 좋았던 겁니다. 만약 많은 도시에 퍼졌더라면 환자 수는 더욱 늘어났을 것입니다.


다음 번에는 운이 나쁠 수도 있습니다. 건강하다고 느끼지만 전염성이 있는 사람들이 비행기를 타거나 시장에 가서 여러분을 바이러스에 감염시킬 수도 있습니다. 바이러스의 원천은 에볼라 같은 자연 전염병일 수도있고, 어쩌면 생화학 테러일수도 있습니다. 정말로 상황을 천 배는 더 안 좋게 만들 수 있는 요소들이 있다는 것입니다.


1918년에 발생한 스페인독감처럼, 바이러스가 공기를 통해 퍼져나갈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바이러스는 전 세계로 굉장히, 정말 빠르게 퍼져나갈 것입니다. 전 세계에서 300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전염병으로 죽을 수 있습니다. 심각한 문제죠. 우리는 대비해야 합니다.


우리는 정말로 좋은 대응시스템을 세울 수 있습니다. 우리가 발전시킨 과학기술이 있습니다. 우리에게는 사회에서 정보를 얻고 정보를 전해줄 수 있는 스마트폰이 있습니다. 사람들의 위치와 이동을 볼 수 있는 위성지도도 있습니다. 우리에게는 발전된 생물학이 있어서 병원균에 대응할 수 있는 백신과 약을 빠른 시간에 개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이 방법들을 사용해야 합니다. 이 방법들 모두 국제보건시스템에 적용해야 합니다. 우리는 대비해야 합니다.

 

 

28.png

 

 

전쟁에 대비하듯 전염병에 대비해야

제 생각에, 전염병 대비 방법의 최고 본보기는 다시 말하지만 전쟁에 대비하는 방법입니다. 군인들은 준비가 돼 있습니다. 예비군도 있습니다. 북대서양조약기구(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NATO)는 신속히 급파할 수 있는기동부대가 있습니다. NATO는 사람들이 훈련을 잘 받았는지 점검하기 위해 많은 전쟁 게임을 합니다. 그들은 연료, 병참술, 동일한 무선주파수를이해하고 행동할 준비가 잘되어 있습니다. 우리가 전염병을 다룰 때에도 이렇게 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전염병 대비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첫째로, 빈곤한 나라에 강력한 의료시스템이 필요합니다. 그곳 산모들이 안전하게 출산할 수 있게 하고, 어린이들은 필요한 백신을 모두 받을 수 있게 만들어야합니다. 빈곤한 나라에서 가장 먼저 전염병이 발생할 겁니다.


우리는 예비 의료인력이 필요합니다. 훈련과 기본지식, 전문성을 갖춘 사람들을 많이 양성해야 합니다. 그리고 이 의료인들과 군인들이 한 조로활동하도록 조직해야 합니다. 신속한 이동, 수송, 지역 안전을 확보하는 군대의 능력을 활용하는 겁니다.


우리는 모의실험을 해야 합니다. 전쟁 게임이 아닌, 세균 게임을 해서 허점을 찾을 수 있도록 말이죠. 미국에서 가장 최근에 세균 게임을 한 때가 2001년이었는데, 그리 잘되지 않았습니다. 지금까지 점수는 세균과 인간이 1:0입니다. 끝으로 우리는 백신 및 진단분야에서 연구개발을 더 많이 해야 합니다. 아데노연관바이러스(Adeno-Associated Virus, AAV)를 이용한 백신처럼 굉장히 빠르게 작동하는 몇몇의 큰 획기적 발전이 있습
니다.


저는 이 일에 정확히 얼마의 비용이 들어갈지 모릅니다. 그러나 잠재적인 피해에 비하면 감수할 만한 비용이
라고 생각합니다. 세계은행(International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IBRD)이 추정하기를 만약 전 세계에 독감이 퍼진다면, 세계의 부가 3조 달러 이상 줄어들 것이고 수백만 명의 사망자가 나올 것이라
고 합니다.


이러한 투자는 단지 전염병에 대비하는 것 이상의 상당한 이점을 줄 겁니다. 기초보건, 연구개발이 세계 보건 불평등을 줄일 것이고 세상을 더욱 안전하면서도 공정하게 만들 것 입니다.


그래서 저는 전염병 대비를 무엇보다 우선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두려워하지 않아도 됩니다. 통조림 캔을사재기하거나 지하실에 내려갈 필요도 없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없기 때문에 지금부터 계속 대비해나가야 합니다.


실제로 에볼라 전염병에서 한 가지 긍정적인 면을 찾을 수 있다면, 우리가 대비할 수 있도록 조기경보를 받았다는 겁니다. 지금 시작하면, 다음 전염병에 대비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글은 빌 게이츠의 2015년 8월 3일 TED 강의를 요약한 것입니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곡성군, '문화가 있는 날 구석구석 문화배달 행사' 운영

곡성군(군수 조상래)은 '2025년 문화가 있는날 구석구석 문화배달 행사'를 곡성작은영화관과 옥과면 묵은숲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가지고 운영한다고 밝혔다. 문화가 있는 날은 매달 마지막 수요일과 그 주간에 영화관, 공연장 등 전국 1,500여 개 이상의 문화시설 할인, 무료관람, 문화행사 등의 다양한 문화 혜택을 제공하고 있는 사업으로 2024년에 이어 2년 연속 문화가 있는 날 구석구석 문화배달 사업에 선정돼 수행하고 있다. 지난 3월 곡성작은영화관을 중심으로 버스킹공연과 공동체 영화 "오빠 남진"을 상영했고, 지역민 100여 명이 문화 혜택을 누렸으며, 4월 문화가 있는 날 구석구석 문화배달 행사를 준비하며 가족 단위 주민들의 많은 참여를 기다리고 있다. 4월 30일에 열리는 구석구석 문화배달 행사는 곡성작은영화관에서 주민이 함께 시청하는 공동체 영화 "목소리들"을 상영한다. 제주 4.3을 여성의 시각으로 바라본 다큐멘터리 영화로 제주 여성들의 경험, 침묵 속에 잠겨있던 그들의 목소리를 세상 밖으로 끌어낸다. 오는 5월 3일에는 옥과면 묵은숲을 배경으로 "예술 먹은숲"이란 주제로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 행사를 운영할 계획이다. 군 관계자는 "예술 먹은숲은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