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_ 정부 서비스 패러다임 확 바꾸자!] 오렌지 카운티 정보 공개와 시민 참여 어떻게 하나?



《월간 지방자치》 이영애 편집인은 오렌지 카운티 최초의 한인 단체장(CEO)인 프랭크 김(Frank Kim)을 만나 대면 인터뷰를 진행했다. 이번 호에는 오렌지 카운티 시에 정보 공개 및 시민 참여와 관련된 서면 질의를 직접 요청해 답변을 받았다.

 

 

Orange County government believes in transparency and openness when dealing with the public’s business. We believe that the public has a right to review all records of government unless there is an express and justifiable reason to withhold the information(privacy, legal concerns, etc.). We provide information upon request daily.

 

오렌지 카운티 정부는 대민 업무 처리에 있어 ‘투명성 원칙’과 ‘공개 원칙’을 지향한다. 카운티 정부는 사생활 또는 법률적 문제와 관련된 정보 등 비공개 해야 할 정당한 이유나 긴급한 문제가 없는 한, 카운티 업무와 관련된 모든 기록을 열람할 권리가 시민들에게 있다고 생각한다.

 

The preamble of the California Public Records Act(Government Code Section 6250) says it best: “The people of this state do not yield their sovereignty to the agencies which serve them. The people, in delegating authority, do not give their public servants the right to decide what is good for the people to know and what is not good for them to know. The people insist they may retain control over the instruments they have created.”

 

이러한 원칙은 캘리포니아 정부 공공기록물법령(시정부 법령안 6250)의 전문에 가장 적절하게 기술되어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캘리포니아 주민은 그들의 자주권을 그들을 위해 봉사하는 공공기관에 양도하지 않는다. 그러한 권한을 위임해야 하는 상황에 처한 주민이라 할지라도, 그 주민은 자신들이 알아서 좋은 것이나 좋지 않을 것에 대하여 결정할 권리를 공무원들에게 양도해서도 안 된다. 주민들은 자신들이 만든 정부 조직들을 자신들이 통제하고 있어야 함을 주장해야 한다”

 

 

Orange County has a public information manager who works in the County Executive Office and public information officers in each of our 21 departments who assist the public and the media with information requests. Anyone who wants or needs information is provided whatever information we can.

 

 

오렌지 카운티 정부는 단체장 직속의 공공정보 담당 매니저 1인과 시 정부 조직 내 21개 모든 부서에 공공정보 담당 공무원을 배치하고 있고, 이 공무원들이 일반 시민이나 미디어 매체가 요청하는 정보를 지원하고 있다. 카운티 정부는 그 정보가 무엇이든 간에 그러한 정보를 필요로 하거나 원하는 주민 누구에게나 그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public is essential for assuring that informed citizens can participate in the decisions of government. The matters to be decided by the Board of Supervisors are posted on public agendas before the meetings and information about each item is provided. The Board of Supervisors encourages and welcomes comments from the public about decisions they are about to mak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public allows County officials to make better decisions.

 

일반 시민에게 정보를 제공 한다는 것은 정보를 제공받은 시민들이 정부의 정책 결정에 참여하도록 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것이다. 어떤 개개의 특정 사안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기 전이나 카운티 정부의 간부 회의에 앞서, 그 회의에서 결정될 제반 안건은 공공 협의 항목(어젠다)으로 공시되어야 한다. 카운티 정부 간부회의 참석자들은 그들이 결정하고자 하는 안건에 대하여 일반 시민들이 의견을 낼 수 있도록 격려하고 그러한 의견을 적극 환영하며 수용해야 한다. 일반 시민들이 제공한 의견 정보는 공무원들이 그들 스스로 더 나은 결정을 하는 데 활용되어야 한다.

 

 

The County regularly communicates with the public by providing information over the Internet, through emails and on social media. There are two opportunities at every public meeting of the Board of Supervisors for members of the public to provide comment: When a specific item is being considered for action by the Board and during a general “public comment” period at the end of the meeting where any member of the public may address the Board on any issue within the subject matter jurisdiction of the Board.

 

 

소셜미디어, 이메일 등 인터넷을 통해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카운티 정부는 일반 시민들과 정기적으로 소통하고 있다. 카운티 정부는 간부 공개회의를 할 때마다 의견을 개진하고 싶은 시민들에게 두 번의 의견 개진 기회를 주고 있다.

 

예를 들어 어떤 특별 안건이 간부회의에서 실행이 고려되고 있는 상황에 처한 때, 또는 간부회 의가 관할하는 권한 범위 내에 있는 어떤 이슈에 대하여 시민 누구든지 간부 회의에서 말미에 주어지는 ‘시민 제언’ 시간 동안에 의견을 개진할 수 있다.

 

It is our desire in the County Executive Office to provide as much information as we can to all who ask. We spend countless hours throughout the organization preparing materials for the public that are complete and easy to understand. We want people to understand not only what actions their government is considering but also the consequences of those decisions and how they would affect the public.

 

오렌지 카운티 정부의 의지는 의문이 있는 사람들 모두에게 할 수 있는 한 최대한의 정보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카운티 정부는 시민들이 이해하기 쉬운 완벽한 자료를 만들어 그들에게 제공 하기 위하여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 또한 카운티 정부는 어떤 시정을 집행하려고 한다는 것뿐만이 아니라, 그 집행 결과는 물론 그 결과가 시민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 수도 있는가에 대한 것까지 시민들이 이해하기를 원하고 있다.

 

 

It is our job to provide all of the information we can and to accept input from the public?it is not our job to convince someone opposed to an action of government that they should believe otherwise. Everyone is entitled to their own opinion. The Board of Supervisors and all of us in County government are interested in everyone’s opinions on an issue. It is those opinions that help form the basis for the decisions that ultimately are made by the Board of Supervisors and by County employees in their day-to-day jobs.

 

카운티 정부는 할 수 있는 한 모든 정보를 제공하고 시민들로부터의 제안을 수용하는 것이 자신들의 업무라고 본다. 그러나 다른 해결 방안이 있다고 믿는, 정책 집행 반대자들을 설득하는 것이 자신의 업무라고 보지는 않는다. 만인에게는 만인의 의견이 존재한다. 카운티 집행부나 카운티 직원들은 어떠한 지역 이슈에 대한 개개인의 의견에 귀를 기울인다. 하지만 그러한 개개의 의견들은 일상적 업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집행부나 직원들이 최종적으로 결정하는 데 필요한 기본 정보로서만 도움이 되는 것이라고 본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곡성군, '문화가 있는 날 구석구석 문화배달 행사' 운영

곡성군(군수 조상래)은 '2025년 문화가 있는날 구석구석 문화배달 행사'를 곡성작은영화관과 옥과면 묵은숲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가지고 운영한다고 밝혔다. 문화가 있는 날은 매달 마지막 수요일과 그 주간에 영화관, 공연장 등 전국 1,500여 개 이상의 문화시설 할인, 무료관람, 문화행사 등의 다양한 문화 혜택을 제공하고 있는 사업으로 2024년에 이어 2년 연속 문화가 있는 날 구석구석 문화배달 사업에 선정돼 수행하고 있다. 지난 3월 곡성작은영화관을 중심으로 버스킹공연과 공동체 영화 "오빠 남진"을 상영했고, 지역민 100여 명이 문화 혜택을 누렸으며, 4월 문화가 있는 날 구석구석 문화배달 행사를 준비하며 가족 단위 주민들의 많은 참여를 기다리고 있다. 4월 30일에 열리는 구석구석 문화배달 행사는 곡성작은영화관에서 주민이 함께 시청하는 공동체 영화 "목소리들"을 상영한다. 제주 4.3을 여성의 시각으로 바라본 다큐멘터리 영화로 제주 여성들의 경험, 침묵 속에 잠겨있던 그들의 목소리를 세상 밖으로 끌어낸다. 오는 5월 3일에는 옥과면 묵은숲을 배경으로 "예술 먹은숲"이란 주제로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 행사를 운영할 계획이다. 군 관계자는 "예술 먹은숲은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