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새마을운동 이대로는 안 된다

  • 등록 2018.07.11 09:43:57

 

27.png

소진광 새마을운동중앙회 회장, 가천대 교수

 

 

​우리 국민들은 새마을운동이 추진되었던 당시의 정치상황과 새마을운동의 실제 추진과정을 혼동하여 새마을운동의 성과를 실제와는 다르게 인식하고 있는 성향이 있다. 실제상황을 들여다보지 않고 막연하게 새마을운동을 표현하는 것은 두 가지 측면에서 문제가 있다. 하나는 새마을운동을 신화(神話)처럼 표현하여 우리의 현실과 무관한 것으로 만드는 문제이고, 다른 하나는 새마을운동을 과거의 화석(化石)처럼 평가하여 현재에도 여전히 필요한 가치를 외면하는 문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새마을운동경험에 대한 국제사회에서의 평가는 대단하다. 2000년 국제연합 아시아·태평양 경제사회이사회(UN ESCAP)는 새마을운동을 빈곤퇴치의 ‘모범사례(Best Practice)’로 지정하였고,UNESCO는 2013년 새마을운동에 관한 2만 2000여 점의 문건을 ‘세계기록유산(The Memory of the World)’으로 등재한 바있다. 2016년 말까지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에서 새마을운동을 배워간 세계 지도자는 6만여 명에 달한다. 많은 개발도상국들이 한국의 발전경험을 따르려하고 있고, 나름대로 새마을운동 조직을 가지고 있으며, 새마을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2016년 10월 새마을운동 조직을 가지고 있고, 새마을운동을 실시하고 있는 33개 국가가 강원도 평창에서 ‘새마을운동글로벌리그(Saemaul Undong Global League)’를 결성하였다.


한국 새마을운동에 대한 국제사회의 큰 관심에 편승하여 우리정부도 새마을운동의 세계화를 지원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지구촌 새마을운동의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새마을운동의 진정한 가치가 제대로 전달되었는지에 대한 의구심을 지울 수 없다. 이제까지의 지구촌 새마을운동에 대한 반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세계적·보편적 차원에서 새마을운동 경험에 대한 우리 스스로의 정리와 준비가 부족하였다. 즉 새마을운동의 독특한 비교우위를 도출하지 못한 채 UNDP, OECD와 같은 국제기구의 틀에 맞춰 우리의 새마을운동 경험을 개발도상국에 전파하려 했다. 따라서 새마을운동의 비교우위는 선진국 방식을 모방하는 과정에서
실종되었다. 이러한 지구촌 새마을운동의 시행착오는 기존 공적개발원조(ODA) 틀을 벗어나지 못한 데서 비롯된다. 그간 우리는 우리의 장점을 정확하게 인지하지도못했고, 구태여 우리 존재를 다시 확인하려 하지 않으면서 남들이 만들어 놓은 ‘세계 표준’, ‘선진국 수준’을 모방하는 ‘세계화’ 환상에 빠져있었다.


둘째, 새마을운동에 대한 성과가 제대로 평가되지 못했다는 점이다. 흔히 새마을운동 성과는 초가집을 없애고, 마을길을 넓히며, 소득을 증대하는 것쯤으로 여겨져 왔다. 새마을운동의 성과를 그렇게 물리적인 척도와 투입 대비 산출물(Outputs)로만 한정한다면 올해로 47주년을 넘긴 새마을운동의 지속가능성을 제대로 설명할 수 없다. 새마을운동의 성과(Outcomes)는 주민들의 역량강화를 통해 주민들의 문제를 주민 스스로 해결

 

하고, 보다 나은 삶을 위해 마을 주민들이 공동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다. 새마을운동은 철저하게마을 단위의 현지 주민들에 의해, 주민을 위해, 주민들의 활동과 사업을 통해 추진되었다. 즉 새마을운동의 성과는 오늘날 발전현상을 설명할 경우에 사용되는 협치(거버넌스), 사회적 자본, 지속가능성 등 세 가지 핵심용어를 충족시킨다는 점에 있다. 이러한 새마을운동 성과에 대한 혼동이 그간 지구촌 새마을운동의 본질과 접근방식을 훼손하게 된 원인이다.

 

셋째, 새마을운동 추진과 관련한 공공부문 특히 정부의 역할에 대한 오해가 컸다. 새마을운동 초기부터 정부문건과 마을 주민들의 기록을 검토하면 새마을운동이 철저하게 현장 중심으로 추진되었음을 알 수 있다. 현장에서 인지된 문제를 현장에서 해결하면서 보다 나은 미래의 모습을 실현할 수 있는 주민들의 성취감과 자신감이 배양된 것이다. 정부는 주민들의 자율적 의사결정 과정을 보호하고 중시하였다. 이는 그 당시 새마을운동을 제창한 특정 정치인의 독특한 통치방식과도 전혀 다른 방식으로 새마을운동이 추진되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단지 정부는 주민역량강화로 새마을운동을 추진하기 위해 정책 환경을 만들고 약간의 지원만 했을 뿐 ‘무엇을, 어떻게’와 관련한 문제는 주민 스스로 결정했어야 했다.

 

지구촌 새마을운동의 시행착오를 최소화하면서 우리의 경험을 토대로 다른 개발도상국가도 ‘원조의 덫’에서벗어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첫째는 지구촌 새마을운동이 ‘한국인에 의한, 한국인을 위한, 한국인의 사업’으로 추진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개발도상국 국민들이 새마을운동 접근방식을 필요로 하는 이유는 ‘가난해서’가 아니라 ‘가난을 벗고 싶은 스스로의 판단’인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스스로의 판단’이 없다면 아무리 좋은 방책도 소용이 없다.

새마을운동은 가난하고 어려운 주민들이 스스로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면서 어려움을 극복하고 원하는 삶을누리게 되는 접근방식이지 특정 사업도 아니다.

 

"현장을 최우선하는 새마을운동 접근방식은 현장의 사소한 존재도 모두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인정하면서
출발한다."

 

 

 

둘째, 지구촌 새마을운동을 기존의 공적개발원조(ODA) 방식과 평가의 틀로 접근해서는 안 된다. ODA 접근방식과 평가의 틀은 결국 ‘가난하다’라는 이유만으로 현지 주민들을 일방적으로 사육하게 되고 결국 현지 주민들을 ‘원조의 덫’에 가둬 놓고 있다. 현장을 최우선하는 새마을운동 접근방식은 현장의 사소한 존재도 모두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인정하면서 출발한다.


셋째, 지구촌 새마을운동은 한국의 전문가가 주도할 수 없다. 아무리 뛰어난 전문가라도 다른 문화와 역사의가치를 지닌 다른 나라의 문제를 제대로 인식할 수 없고, 그들의 존재방식에 맞는 발전방안을 제시할 수 없다. 문제는 현장에 있고, 해법도 현장에서 나와야 한다. 새마을운동은 이러한 현장의 문제를 도출하고, 공동체형성을 통해 이를 해결한 세계에서 인정받는 지역사회개발의 ‘모범사례’다.


이러한 국제사회의 보편적 평가는 우리의 경험세계와 관련하여 해외 전문가를 양성할 수 있는 토대가 된다.한국의 경험을 한국인에 의해 범세계적으로 전파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 분야에 대한 외국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우리의 준비가 필요한 이유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곡성군, '문화가 있는 날 구석구석 문화배달 행사' 운영

곡성군(군수 조상래)은 '2025년 문화가 있는날 구석구석 문화배달 행사'를 곡성작은영화관과 옥과면 묵은숲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가지고 운영한다고 밝혔다. 문화가 있는 날은 매달 마지막 수요일과 그 주간에 영화관, 공연장 등 전국 1,500여 개 이상의 문화시설 할인, 무료관람, 문화행사 등의 다양한 문화 혜택을 제공하고 있는 사업으로 2024년에 이어 2년 연속 문화가 있는 날 구석구석 문화배달 사업에 선정돼 수행하고 있다. 지난 3월 곡성작은영화관을 중심으로 버스킹공연과 공동체 영화 "오빠 남진"을 상영했고, 지역민 100여 명이 문화 혜택을 누렸으며, 4월 문화가 있는 날 구석구석 문화배달 행사를 준비하며 가족 단위 주민들의 많은 참여를 기다리고 있다. 4월 30일에 열리는 구석구석 문화배달 행사는 곡성작은영화관에서 주민이 함께 시청하는 공동체 영화 "목소리들"을 상영한다. 제주 4.3을 여성의 시각으로 바라본 다큐멘터리 영화로 제주 여성들의 경험, 침묵 속에 잠겨있던 그들의 목소리를 세상 밖으로 끌어낸다. 오는 5월 3일에는 옥과면 묵은숲을 배경으로 "예술 먹은숲"이란 주제로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 행사를 운영할 계획이다. 군 관계자는 "예술 먹은숲은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