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 지방자치 진짜 해보자] 국민이 체감하는 지방자치 지방은 ‘소외’되고 정당공천은 ‘폐지’해야 한다고 느껴…

전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는 지방자치 20주년을 맞아 한국지방신문협회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방자치에 대한 국민인식조사’를 실시했다. 2015년 2월 22일부터 23일까지 전국의 만 19세 이상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유무선 전화를 이용해 조사한 결과, 응답률 13.8%(총 7262명과 통해 1000명 응답), 표본오차는 ±3.1%(95% 신뢰수준)였다. 또 응답자의 성별, 연령, 거주지역, 학력, 직업, 지지하는 정당 등도 조사해 응답자의 특성에 따른 지방자치에 대한 인식결과도 함께 조사했다.


기획 편집부   조사기관 (주)한국리서치



문1. 귀하께서는 우리 사회가 중앙에 너무 치우쳐 있고 지방이 소외되고 있다는 주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ac9d460dc1b5b4823aa3935fa86c42f6_1529043416_0301.png

우리 사회가 중앙에 너무 치우쳐 있고 지방이 소외되고 있다는 주장에 대해 공감한다는 사람은 총 77.4%로 공감하지 않는다(18.8%)는 응답보다 무려 4배 이상 높았다. 특히 공감한다고 응답한 사람은 ▲30대(87.8%), ▲광주/전라(87.8%), ▲대학 재학 이상(83.1%), ▲사무/관리/전문(84.0), ▲새정치민주연합 지지자(79.3%)일수록 높았다. 또 서울에 거주하는 응답자(69.7%)보다 서울 이외의 지역에 사는 응답자 (평균 79.8%)의 경우 공감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더 높았다.



문2. 귀하께서는 그간 우리나라의 지방자치가 다음 각 분야에 대해 얼마나 기여해왔다고 보십니까? 

① 매우 기여했다 

② 대체로 기여했다 

③ 별로 기여하지 않았다 

④ 전혀 기여하지 않았다


ac9d460dc1b5b4823aa3935fa86c42f6_1529043488_6417.png

우리나라 지방자치의 분야별 기여여부에 대해 조사한 결과, 4개 분야 중 ‘특색 있는 지역 발전’에 대해 기여했다(44.0%)는 응답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주민들의 지역에 대한 관심제고’(43.4%), ‘주민들의 삶 의 질 향상’(36.4%), ‘풀뿌리 민주주의 강화’(33.8%) 순이었다.


ac9d460dc1b5b4823aa3935fa86c42f6_1529043568_949.png
ac9d460dc1b5b4823aa3935fa86c42f6_1529043586_3924.png
ac9d460dc1b5b4823aa3935fa86c42f6_1529043599_4505.png
ac9d460dc1b5b4823aa3935fa86c42f6_1529043615_1964.png
 


문3. 현재 지방자치 발전을 가로막는 가장 큰 문제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ac9d460dc1b5b4823aa3935fa86c42f6_1529043634_8159.png

현재 지방자치 발전을 가로막는 가장 큰 문제로, ‘열악한 지방재정’(38.6%)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고, 이어 ‘정당의 지방자치 개입’(22.2%), ‘주민들의 무관심’(20.5%) 등의 순이었다. ‘열악한 지방재정’이라는 응답은 ▲20대(43.4%) 및 40대(44.6%) ▲강원/제주(48.1%) ▲학력이 높을수록(대재학 이상: 43.2%) ▲사무/관리/전문(45.3%)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문4. 지방자치를 더 활성화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다음 중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ac9d460dc1b5b4823aa3935fa86c42f6_1529043677_948.png

지방자치 활성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것으로, ‘지방재정의 안전성 확보’(31.7%)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고, 이어 ‘주민들의 참여기회 확대’(27.2%), ‘시장·군수·구청장 및 시·군·구 의회의원 선거 정당공천 폐 지’(25.5%) 등의 순이었다. ‘지방재정의 안전성확보’라는 응답은 ▲40대(38.3%) ▲강원/제주(49.3%) ▲대재학 이상(35.6%) ▲사무/관리/전문(39.1%)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문5. 개헌을 할 경우 우리 헌법전문에 대한민국을 ‘지방분권 국가’로 명시해 실질적인 지방자치와 지방 분권의 근거를 마련하자는 주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ac9d460dc1b5b4823aa3935fa86c42f6_1529043722_686.png

개헌을 할 경우 헌법전문에 대한민국을 ‘지방분권 국가’로 명시하자는 주장에 대해 ‘동의한다’는 응답은 총 48.2%로 ‘동의하지 않는다’(총 39.1%)는 응답보다 9.0%p 높았다. 동의한다는 응답은 ▲광주/전라(56.5%) ▲판매/영업/서비스(59.5%) ▲새정치민주연합 지지자(60.3%)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문6. 현재 우리나라는 시장·군수·구청장 및 시·군·구의원을 뽑는 지방선거에서는 정당이 이들 후보 를 추천하도록 하는 정당공천제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귀하께서는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ac9d460dc1b5b4823aa3935fa86c42f6_1529043774_2468.png

지방선거에서 실시하고 있는 정당공천제에 대해 ‘정당공천제를 폐지해야 한다’(67.6%)는 응답이 ‘정당공천제를 유지해야 한다’(22.7%)는 응답보다 약 3배(44.9%p) 높았다. ‘폐지해야 한다’는 응답은 ▲남자(71.6%) ▲40대(75.7%) 및 50대(75.1%) ▲광주/전라(72.9%) 및 부산/울산/경남(71.1%) ▲학력이 높을수록(대재학 이상: 72.3%) ▲자영업(76.6%) 및 판매/영업/서비스(74.3%)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ac9d460dc1b5b4823aa3935fa86c42f6_1529043835_1328.png
ac9d460dc1b5b4823aa3935fa86c42f6_1529043930_1953.png
 


문7. 귀하께서는 특별시·광역시의 자치구와 군을 폐지해 구청장과 군수 등을 주민들이 직접 뽑지 않고 시장이 임명하는 방안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ac9d460dc1b5b4823aa3935fa86c42f6_1529043952_8213.png
 

특별시·광역시의 구청장과 군수 등을 시장이 임명하는 방안에 대해 ‘주민의견 반영이 제약되고 구와 군 의 특성을 살리기 어려우므로 반대한다’(68.1%)는 응답이 ‘시정의 효율성이 증대되고 예산이 절감될 수 있으므로 찬성한다’(24.8%)는 응답보다 약 3배 가까이(43.3%p) 높았는데, ‘반대한다’는 응답은 ▲여자 (72.6%) ▲연령이 낮을수록(20대: 82.2%) ▲서울(71.8%) 및 부산/울산/경남(73.1%) ▲학력이 높을수록 (대재학 이상: 72.8%) ▲학생(84.8%) ▲새정치민주연합 지지자(74.0%)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곡성군, '문화가 있는 날 구석구석 문화배달 행사' 운영

곡성군(군수 조상래)은 '2025년 문화가 있는날 구석구석 문화배달 행사'를 곡성작은영화관과 옥과면 묵은숲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가지고 운영한다고 밝혔다. 문화가 있는 날은 매달 마지막 수요일과 그 주간에 영화관, 공연장 등 전국 1,500여 개 이상의 문화시설 할인, 무료관람, 문화행사 등의 다양한 문화 혜택을 제공하고 있는 사업으로 2024년에 이어 2년 연속 문화가 있는 날 구석구석 문화배달 사업에 선정돼 수행하고 있다. 지난 3월 곡성작은영화관을 중심으로 버스킹공연과 공동체 영화 "오빠 남진"을 상영했고, 지역민 100여 명이 문화 혜택을 누렸으며, 4월 문화가 있는 날 구석구석 문화배달 행사를 준비하며 가족 단위 주민들의 많은 참여를 기다리고 있다. 4월 30일에 열리는 구석구석 문화배달 행사는 곡성작은영화관에서 주민이 함께 시청하는 공동체 영화 "목소리들"을 상영한다. 제주 4.3을 여성의 시각으로 바라본 다큐멘터리 영화로 제주 여성들의 경험, 침묵 속에 잠겨있던 그들의 목소리를 세상 밖으로 끌어낸다. 오는 5월 3일에는 옥과면 묵은숲을 배경으로 "예술 먹은숲"이란 주제로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 행사를 운영할 계획이다. 군 관계자는 "예술 먹은숲은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