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컷뉴스

지방에 첨단산업 일자리 있어야 청년들 온다

대한상의 보고서…첨단기업 1%p 늘 때 청년 전입 0.4%p 증가

인구소멸 위기 지자체가 전국 89개에 달하는 가운데, 지역에 첨단산업 일자리와 정주(定住) 여건이 갖춰질 때 청년층의 지역 전입 효과가 극대화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지역 내 첨단기업 비중이 1% 포인트 늘 때 청년층 전입이 0.4%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31일 ‘청년층의 지역 전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보고서에서 전국 17개 광역시·도를 대상으로 2006년부터 2021년까지 15년 동안 청년층(20∼39살)의 전입과 전출 추이, 첨단기업 사업체 수, 정주환경(교통 접근성, 문화·의료시설 등) 등을 근거로 조사를 진행한 결과를 발표했다.

 

서울 경기 등 수도권의 첨단기업이 몰려렸고, 청년층 유입 역시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청년 인구 절반이 수도권에 몰렸고, 수도권 내 집중된 기업들이 이같은 쏠림을 이끈 것으로 보고 있다.

 

상대적으로, 청년층을 지역으로 끌어들이기 위해선 첨단산업 부문의 일자리 제공은 물론 이들 청년, 즉 MZ세대 등 취향에 부합된 정주환경 구비를 서둘러야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총 사업체 중 첨단기업 비중은 2006년 10.7%에서 2021년 19.9%로 9.2% 포인트(p)로 늘었다.

 

지역별로 총사업체 가운데 첨단기업 비중은 서울·경기·인천 수도권의 경우 2006년 평균 12.7%에서 2021년 23.8%로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비수도권은 9.0%에서 16.1%로 증가하는 데 그치면서 두드러진 지역 편차를 보였다. 2021년 기준 전국 평균 첨단기업 비중은 17.5%로, 서울(25.2%)이 가장 높고 이어 경기(23.5%), 인천(22.6%), 세종(20.4%) 등 서울에 가까울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

 

첨단기업의 수도권 집중은 청년 인구의 수도권 쏠림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지방 등 비수도권에서 타지역으로 전출하는 인구 가운데 청년층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부터 50%를 웃돌기 시작해 2023년 51.8%로 나타났다. 전출 청년 중 수도권으로 전입한 비중은 2015년 43.9%를 기록한 이후 꾸준히 올라 2023년에는 47.0%로 나타났다. 전출하는 청년 인구의 절반 수준이 수도권으로 집중되는 것으로 관측됐다.

 

강석구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청년을 지역으로 끌어들이는 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첨단산업 일자리와 정주환경 모두 수도권에 집중되는 현상이 가속화되는 상황”이라면서 “청년의 지역 전입을 촉진하기 위해선 첨단기업과 정주환경을 동시에 갖추려는 노력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선 다니고 싶은 일터와 정주환경을 기업과 청년 등 수요자가 직접 꾸릴 수 있도록 제도 정비가 선행돼야 한다”라고 강조했습니다.

 

[지방정부티비유=티비유 기자]

배너

발행인의 글


산림청 행정 디지털 전환 선언

산림청(청장 임상섭)은 ‘일하고 싶은 산림청, 그레이트 워크 플레이스(Great Work Place)’로 나아가기 위해 일하는 방식과 조직 문화를 개선하는 혁신방안을 마련했다고 19일 밝혔다. 지난 7월 취임한 제35대 임상섭 산림청장은 취임사를 통해 구성원 모두가 세대의 차이를 넘어 하나의 팀으로 화합해 더욱 일 잘하고 신뢰받는 산림청을 만들겠다는 강한 의지를 밝혔다. 조직문화 혁신의지에 따라 산림청은 △업무절차 개선 △행정협업 △지식행정 △공간혁신 △조직문화 개선 등 5개 분야에서 추진해 나갈 13가지의 세부과제를 설정했다. 일하는 방식 개선의 대표적인 과제로는 △산림디지털 업무기반(플랫폼) 구축 △산림재난 대응 역량 제고를 위한 범부처 협력강화 △철저한 산림 안전관리를 위한 정보중심의 지식행정 △온국민이 누리는 산림분야 공간혁신 등이 있다. 산림청은 ‘그레이트 워크 플레이스(Great Work Place) 만들기’를 기관이 지향하는 목표로 설정하고 꾸준히 조직문화 개선활동을 이어온 결과 2년 연속(22년~23년) ‘정부혁신평가 최우수기관’으로 선정된 바 있다. 임상섭 산림청장은 “산림행정의 디지털 대전환과 공직 내 세대교체 등 시대변화에 빠르게 발맞춰

네덜란드 ‘ 세대공용 모델 주거 ’ 제시, 노인은 고립 안되고 청년은 돈 아낀다

고령화는 전 세계적으로 주요 사회 문제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으며, 한국 역시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국가 중 하나이다. 최근 뉴스에 따르면 현재 한국에서는 아이를 위한 유모차보다 반려견을 위한 견모차 (개모차)가 더 많이 팔렸다고 보고되었다. 네덜란드 또한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020년 기준 20%를 넘어 초고령화사회에 진입했다. 그들은 ‘주거 공유 모델’ 이라는 고령화 사회에서 주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혁신적인 접근법을 제시해 주목을 받고 있다. 이 기사에서는 네덜란드의 주거 공유 모델이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한국에서의 도입 가능성과 그 효과에 대해 분석해본다. 네덜란드의 주거 공유 모델 소개 네덜란드는 고령화와 젊은 층의 주거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주거 공유 모델을 도입했다. 이 모델은 간단히 말해 젊은 세대와 고령자가 함께 생활하는 형태로, 두 세대가 서로의 필요를 보완하며 공생하는 주거 형태이다. 젊은 사람들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임대료로 거주할 수 있으며, 대신 고령자의 생활을 돕거나, 동반자로 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모델의 핵심은 세대 간의 상호 교류를 통해 사회적 고립을 줄이고, 공동체 의식을 강화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