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인의 글

교육 또 재교육이 답이다

우리 사회가 어디로 가고 있는가?

인터넷, 스마트폰 출현과 함께 시작된 정보의 유통은

그 양과 질에 있어 상상을 초월하는 수준이다.

 

스마트폰은 인류에게 매우 유용하고 편리하기도 하지만 부작용 또한 만만치 않다.

특히 정보화 시대에 익숙지 않은 나이 든 세대는

스미싱과 같은 엉뚱한 피해에 노출되어 있다.

 

부모가 겪은 심각한 피해에 속수무책일 수밖에 없는 신세대 자녀가

정보화 시대의 부작용에 무기력한 자신을 한탄한 사례(택배 주소 변경 요청,

3억 8,000만 원 인출, 휴대폰 먹통)도 보도되었다.

 

이러한 피해는 학력이나 정보화의 수준과 관계없이 누구에게나 닥칠 수 있는

신종 위험이다.

 

이제 인터넷의 이점은 슬슬 단물이 빠지고 암 덩어리로 변화하기 시작했다.

어떻게 이에 대비하고 극복할 수 있을까?

교육을 통한 무장 말고는 묘책이 없다.

그런데 코딩 교육부터 인터넷 시대에 제대로 된 교육을 할 수 있는

교사가 부족한 현실에서 과연 교육이 가능할 수 있을지….

현실은 챗GPT 등 끝도 없이 놀라운 상황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제는 치료도 시급하고 예방도 더 늦출 수 없으니, 방법은 제대로 된 교육밖에 없다.

여기에 게을리 하는 정부와 국민은 새로운 시대에 낙오자가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더 늦기 전에 신교육 입국의 시대를 열어나가자.

 

첫째 : 디지털 예방 교육 콘텐츠, 창의적인 자원 만들어(K-교육) 수출하자.

둘째 : 인터넷 SNS 도덕, 초등부터 의무교육하자.

셋째 : 공직자 80시간 의무교육, 강력하고 실효성 있게 재개편해 평가도 다르게 하자.

오늘의 대한민국은 교육 때문에 가능했다는 것은 세계가 인정하는 사실 아닌가.

 

* 다시 입증하자!

2023년 9월 《지방정부》, 《지방정부 tvU》 발행인

배너

발행인의 글


산림청 행정 디지털 전환 선언

산림청(청장 임상섭)은 ‘일하고 싶은 산림청, 그레이트 워크 플레이스(Great Work Place)’로 나아가기 위해 일하는 방식과 조직 문화를 개선하는 혁신방안을 마련했다고 19일 밝혔다. 지난 7월 취임한 제35대 임상섭 산림청장은 취임사를 통해 구성원 모두가 세대의 차이를 넘어 하나의 팀으로 화합해 더욱 일 잘하고 신뢰받는 산림청을 만들겠다는 강한 의지를 밝혔다. 조직문화 혁신의지에 따라 산림청은 △업무절차 개선 △행정협업 △지식행정 △공간혁신 △조직문화 개선 등 5개 분야에서 추진해 나갈 13가지의 세부과제를 설정했다. 일하는 방식 개선의 대표적인 과제로는 △산림디지털 업무기반(플랫폼) 구축 △산림재난 대응 역량 제고를 위한 범부처 협력강화 △철저한 산림 안전관리를 위한 정보중심의 지식행정 △온국민이 누리는 산림분야 공간혁신 등이 있다. 산림청은 ‘그레이트 워크 플레이스(Great Work Place) 만들기’를 기관이 지향하는 목표로 설정하고 꾸준히 조직문화 개선활동을 이어온 결과 2년 연속(22년~23년) ‘정부혁신평가 최우수기관’으로 선정된 바 있다. 임상섭 산림청장은 “산림행정의 디지털 대전환과 공직 내 세대교체 등 시대변화에 빠르게 발맞춰

네덜란드 ‘ 세대공용 모델 주거 ’ 제시, 노인은 고립 안되고 청년은 돈 아낀다

고령화는 전 세계적으로 주요 사회 문제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으며, 한국 역시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국가 중 하나이다. 최근 뉴스에 따르면 현재 한국에서는 아이를 위한 유모차보다 반려견을 위한 견모차 (개모차)가 더 많이 팔렸다고 보고되었다. 네덜란드 또한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020년 기준 20%를 넘어 초고령화사회에 진입했다. 그들은 ‘주거 공유 모델’ 이라는 고령화 사회에서 주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혁신적인 접근법을 제시해 주목을 받고 있다. 이 기사에서는 네덜란드의 주거 공유 모델이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한국에서의 도입 가능성과 그 효과에 대해 분석해본다. 네덜란드의 주거 공유 모델 소개 네덜란드는 고령화와 젊은 층의 주거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주거 공유 모델을 도입했다. 이 모델은 간단히 말해 젊은 세대와 고령자가 함께 생활하는 형태로, 두 세대가 서로의 필요를 보완하며 공생하는 주거 형태이다. 젊은 사람들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임대료로 거주할 수 있으며, 대신 고령자의 생활을 돕거나, 동반자로 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모델의 핵심은 세대 간의 상호 교류를 통해 사회적 고립을 줄이고, 공동체 의식을 강화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