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인의 글

지방정부가 사라지고 있다

“한국은 만원이다.”

 

1982년 국립영화제작소가 제작한 영상물의 제목이다.

 

당시 대한민국의 인구는 3,800만 정도였는데 인구 폭증을 우려,

그 대책으로 가족계획을 홍보하고자 보건사회부가 요청해 만든 것이다.

 

※ 당시 정책을 만들었던 공직자는 누구일까!

 

40여 년이 지난 2022년 합계 출산율 0.78명이란 충격적인 통계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협하고 있다.

 

영국 옥스퍼드대 인구문제연구소는 “OECD 국가 중 한국이 제일 먼저,

2350년에 세계지도에서 사라질 것”이라는 보고서를 내놓았다.

 

실제로 2020년을 기점으로 인구수는 연 20여만 명씩 줄고 있다.

 

그래도 국민들은 무덤덤하다.

 

대한민국이 소멸하는 일은 없겠지만 저출생으로 인한 충격적인 인구 감소세는
우리 경제의 허리를 약화하고 지속 가능한 경제의 토대를 무너뜨리고 있다.

 

우리의 상황은 첩첩산골, 참담하다.

엄청난 예산을 투입하고 있으나 효과를 보지 못하니,

우리의 무능을 탓해야 할지 아니면 미래를 제대로 보지 못한 어리석음을

한탄해야 할지 모르겠다.

 

지구는 만원인지 몰라도 대한민국은 아니다.

현실성 있는 인구정책이 무엇보다도 절실하고,

근본적으로는 아이를 낳기 두려워하는 요인을 제거해야 한다.

 

교육·보육·일자리·주택 문제 등을 해결해야겠지만 당장은 어려우니
법과 제도와 인식의 개선으로 가능한 것부터 실행에 옮겨야 할 것이다.

 

첫째, 소상공인·소기업·중기업 순으로 종사자(여성)가 결혼하고 임신하면
1명분(최저임금)을 지원해야 한다.

 

둘째, 직장인 여성이 결혼하면 결혼수당, 임신하면 임신수당을 파격적으로
매달 본인에게 적립해준다.

 

셋째, 비혼 출생 자녀, 혼인에 대한 인식 전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이민의 문화가 더 넓게 개방되어야 한다.

“한국, 출산율 세계 꼴찌인데 노키즈존 논쟁”을 꼬집은 CNN의 일침.

 

여성이 결혼하지 않고 출산을 할 수 없는, 지방정부가 사라지는 나라로 가고 있다.

 

※ 인구 소멸 위기에 가죽을 남기는 호랑이처럼 정책을 남겨줄 공직자 없을까요~

 

2023년 7월 《지방정부》, 《지방정부 tvU》 발행인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창녕군, 제30회 부곡온천축제 개최

창녕군(군수 성낙인)은 벚꽃이 피어나는 아름다운 봄날, 창녕군이 주최하고 ㈔부곡온천관광협의회가 주관하는 '제30회 부곡온천축제'가 오는 3월 28일부터 30일까지 3일간 대한민국 1호 온천도시 창녕 부곡온천 관광특구 일원에서 열린다고 밝혔다. 이번 축제는 온천수의 뿌리인 덕암산에서 지내는 산신제를 시작으로, 온천수 취수제와 온천수 행진 퍼레이드, 온천수가 영원히 샘솟기를 기원하는 온정제 및 개막식 축하공연이 진행된다. 축제의 열기는 무대에서도 이어진다. HOT! 생생 부곡온천 라이브 축제, 화려한 개막 축하 공연, 군민이 하나 되는 힐링 콘서트, 제2회 전국 통기타 대회까지 3일 내내 음악과 열정이 온천수처럼 끓어오를 예정이다. 벚꽃이 만개한 축제장 곳곳에서는 관광객들의 오감을 만족시킬 다양한 프로그램이 펼쳐진다. 통기타 하모니와 청년들의 감미로운 버스킹 공연이 봄꽃과 함께 흐르고, 한울공원과 소공연 족욕장에서는 78℃ 온천수로 삶은 계란 시식회 및 축제 사진 무료 인화 서비스 등이 제공된다. 또한, 부곡온천의 새로운 관광명소가 될 야간경관 조명 '빛거리 조성 사업'이 완공될 예정으로, 부곡 온천중앙로에 흐드러지게 핀 벚꽃과 어우러져 관광객들의 발길을 사로잡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