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행정

70세 이상 노인 소외감 차단 ' 베를린 독거노인 방문서비스 시 전역 확대'

외로운 노인들의 집으로 찾아가 말동무가 돼주고 필요한 지원을 하는 베를린시의 독거노인 방문서비스가 내년까지
시 전역으로 확대 실시된다.

베를린시 의회의 위탁을 받아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영리단체 몰타스 베를린(Malteser Berlin)의 여성 대변인 샬럿 라이박은 2021년 8월 베를린시 2개 구에서 시작한 독거노인 방문서비스 시범 사업이 시의 나머지 5개구까지 확대된다고 밝혔다. 시범사업 기간 중 몰타스는 샬로텐부르크, 호헨쇼크하우젠 두 지역에서 노인 350명의 집을 방문해 필요한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했다.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이후 고독으로 고통받는 사람이 크게 증가했다. 노인들은 고독에 빠질 위험이 다른 연령층보다 높다. 방문서비스는 70세 이상 노인이 거주하는 곳을 방문해 건강 문제를 조언하고 집 주변 가까운 곳에서 할 수 있는 여가 활동과 친교 활동에 대한 정보를 제공, 노인들이 집 안에만 머물지 않고 건전한 활동을 통해 활기찬 노후를 보내도록 돕기 위해 시작했다. 방문 전 구청이나 동 주민센터 직원이 노인에게 연락하거나 편지를 보내 시간 약속을 한다.

 

 

노인 방문서비스는 몰타스와 의회 고등교육 및 연구·건강·장기요양·성평등 위원회가 협력해 수행한다. 시의원 울리크 고테는 “노인들에게 제공한 정보와 안내가 큰 도움이 된다는 반응에 따라 사업을 확대하게 됐다. 노년층이 활발하게 활동에 참여해 그들이 소외받지 않고 있음을 보여주었다”고 말했다. 가정방문서비스는 사회활동가, 의사, 간호사 등 잘 훈련된 몰타스의 전문가들이 진행한다. 노인들에게 요양시설 정보를 제공하거나 합창단이나 노인단체 등 여가 활동을 할 수 있는 곳을 알려준다. 가정방문을 꺼리면 거주지 근처의 카페, 지역센터 같은 중립적 장소에서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방문을 꺼리는 사람은 몰타스베를린에 전화를 해 대화를 나눌 수 있다. 고독한 사람을 위한 레데자이트(Redezeit)라는 전화는 몰타스 자원봉사자와 전화로 이야기를 나누고 약속 시간을 정해 정기적으로 통화한다. 몰타스의 고독 전화(030-348 003 269)는 5년째 운영 중이다.

 

몰타스 베를린은 몰타기사단과 카리타스협회가 창설한 독일몰타긴급지원서비스에 소속돼 있다. 비영리 구호단체로 재난 구조, 응급치료, 정신과적 위기 긴급 구호 등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체로 베를린에서만 1,500명의 자원봉사자와 600명 이상의 직원이 활동한다.

 

 

이 단체가 제공하는 서비스 중 하나가 고령자, 응급환자, 고독자, 치매환자들을 직접 방문 대면해 필요한 지원과 상담을 하는 일이다. 1099년 제1차 십자군 전쟁 때 예루살렘에서 창설된 몰타기사단은 병원을 세워 평생을 바쳐 환자와 부상자들을 돌보았다. 몰타라는 이름은 기사단의 본부를 한때 몰타섬에 둔 데서 유래했다.

배너

발행인의 글


조희연 서울시교육감 농협 서울본부에서 교육 강연 펼쳐

NH농협은행 서울본부가 18일 강서구에 소재한 농협 서울본부에서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을 초청해 '더 질 높은 공교육과 공존의 교육 실현'을 주제로 교육정책 관련 특별 강연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강연에는 이석용 NH농협은행장을 비롯해 220명의 임직원이 자리를 함께 했다. 특별 강연은 △ 질 높은 학생 맞춤형 교육 △ 따뜻하고 정의로운 교육 △ 건강한 교육·안전한 학교 구현 등 교육정책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됐다. 조희연 교육감은 "농협 임직원 학부형분들과 '더 질 높고 따뜻한 교육방향'과 '미래를 여는 학교교육' 등 서울시의 교육 비전을 공유하고 나누는 시간이어서 뜻 깊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석용 NH농협은행장도 "교육의 중요성에 공감하며, 건강한 공교육을 이끌어나가기 위한 서울시교육청의 교육 정책을 응원한다"라며 "농협은행도 청소년금융교실 등 다양한 교육 지원 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바르게 성장하는 데 일조하겠다"고 화답했다.

세계 행복 보고서

전 세계는 글로벌 팬데믹의 영향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상승, 높아진 생활비, 주식 시장의 불확실성, 기후변화 문제, 경제적 혼란 등을 겪고 있다. 그런데도 최근 발표된 ‘세계 행복 보고서’는 이러한 불확실성과 어려움 속에서도 놀랄 만한 회복력을 보여주고 있다고 한다. 행복에 관련된 여러 요소를 기준으로 95개국의 국민 행복도를 순위별로 보았을 때 핀란드가 6년 연속 1위를 차지했고, 덴마크, 아이슬란드, 이스라엘, 네덜란드가 그 뒤를 이었다. 2023년 순위에서 특이점은 이스라엘이 2022년 9위에서 4위로 크게 상승했고, 스위스가 9위로 내려갔다는 것이다. 캐나다는 13위를, 아일랜드, 미국, 독일, 벨기에, 체코, 영국은 그 뒤를 이었고, 리투아니아는 20위에 올라섰다. 리투아니아는 2017년부터 30계단이나 상승했다는 점이 주목받았다. 이 보고서는 사람들 사이에 행복이 어떻게 불평등하게 분배되는지에 대한 추세를 자세히 살펴보고 인구의 상위 절반과 하위 절반 사이의 행복 격차를 조사하는데, 보고서의 편집자인 존 헬리웰은 “최근 3년 동안 국가별 행복도의 평균은 상당히 안정적이었다”고 말했다. 세계 행복 보고서에 따르면, 국가별 행복 수준을 파악하는 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