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인의 글

新 한일 관계는 불가능한가?

“한일정상회담 ‘후폭풍’ 시끄럽다”

 

이웃 일본과의 흑역사는 1592년 임진왜란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후 을미사변, 을사늑약, 한일합병조약으로 시작된 일제 35년 지배는

우리 민족에게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겼다.

 

국가적 차원의 피해뿐 아니라 위안부 문제와 강제징용 피해자 등

민간의 직접적이고 치유받지 못한 피해가 현재진행형이다.

 

그러나 가해자가 분명한 일본 정부나 기업은 사과했다가도 일부에서는 번복하고 그야말로 오락가락, 정부 인사나 정치인들의 진정성 없는 태도,

수시로 바뀌는 입장은 우리에게 불신을 키워주었다.

 

일본 측이 김대중-오부치 선언, 무라야마 담화, 간 나오토 담화로부터

일탈하지 않았다면 진즉 화해와 치유의 길로 가고 있을지도 모른다.

 

우리나라뿐 아니라 국제사회도 일본에 독일의 교훈을 권고하고 있지 않은가?

 

이런 일본을 상대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니 한국 정부나 피해자들의 고충은

여간이 아니다.

 

그래도 우리는 지켜야 할 기준과 철학이 있어야 할 것이다.

첫째: 이해관계는 순간이지만 대한민국은 영원하다는 역사의식이다.

둘째: 국민 여론과 피해자들의 의견을 존중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셋째: 여러 정파의 절제 있는 대응으로, 국익은 당리당략에 우선한다.

넷째: 일본의 성의 있는 조치를 이끌어내는 외교 역량이 발휘되어야 한다.

다섯째: 국민과 야당, 특히 피해자들과의 소통을 강화해 이해와 공감대를 넓히는

노력이 필요하다.

 

한일 관계를 정상화하고 미래로 나아가자는 데 반대하는 국민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일본의 태도 변화가 절실하다.

일본이 우리를 쉽게 보지 못하도록 국력을 키워야 한다.

 

“독도는 일본 땅” 억지 주장!

교과서 왜곡!

우리가 만만해!!

 

2023년 4월 《지방정부》, 《지방정부 tvU》 발행인

 

배너

발행인의 글


치매 디지털 치료제 개발 기업 로완, 글로벌 컨퍼런스를 통해 비약물 치매 예방 비전 제시한다

뇌 질환 디지털치료기기 개발 기업 ㈜로완은 오는 9월 22일 ‘글로벌 디멘시아 컨퍼런스’에서 디지털치료기기를 활용한 치매 예방 비전을 제시한다고 밝혔다. 해당 컨퍼런스는 대한치매학회와 인지중재치료학회가 개최하는 국내 최대 치매 컨퍼런스로, 전문가들은 최신 치매 연구 동향과 비약물 치료를 통한 치매 극복 방향성을 논의한다. 이번 컨퍼런스는 주식회사 로완이 메인 스폰서로 참여했다. 로완은 뇌 질환 디지털치료기기 개발기업으로, 최근 경도인지장애 개선 디지털치료기기 ‘슈퍼브레인 DEX’를 개발 완료하여 식약처 확증임상 시험계획을 승인받았다. 이날 컨퍼런스는 두 가지 세션으로 나눠 진행된다. 우선 첫 번째 세션에서는 세계적인 뇌 연구 권위자인 미국 BNI 마완 사바(Marwan Sabbagh) 박사가 영상을 통해 연사로 나선다. 마완 박사는 ‘Global Dementia Drug Research Trends’란 주제로 최신 치매 약물 연구 동향을 강연한다. 이어 노스이스턴 대학교 아서 크레이머(Arthur Kramer) 박사는 ‘Exercise and Brain Cognition’을 주제로 운동과 뇌 인지 능력에 관해 발표하고, 일본 요코하마 쓰루미 재활병원 카츠아키

세계 행복 보고서

전 세계는 글로벌 팬데믹의 영향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상승, 높아진 생활비, 주식 시장의 불확실성, 기후변화 문제, 경제적 혼란 등을 겪고 있다. 그런데도 최근 발표된 ‘세계 행복 보고서’는 이러한 불확실성과 어려움 속에서도 놀랄 만한 회복력을 보여주고 있다고 한다. 행복에 관련된 여러 요소를 기준으로 95개국의 국민 행복도를 순위별로 보았을 때 핀란드가 6년 연속 1위를 차지했고, 덴마크, 아이슬란드, 이스라엘, 네덜란드가 그 뒤를 이었다. 2023년 순위에서 특이점은 이스라엘이 2022년 9위에서 4위로 크게 상승했고, 스위스가 9위로 내려갔다는 것이다. 캐나다는 13위를, 아일랜드, 미국, 독일, 벨기에, 체코, 영국은 그 뒤를 이었고, 리투아니아는 20위에 올라섰다. 리투아니아는 2017년부터 30계단이나 상승했다는 점이 주목받았다. 이 보고서는 사람들 사이에 행복이 어떻게 불평등하게 분배되는지에 대한 추세를 자세히 살펴보고 인구의 상위 절반과 하위 절반 사이의 행복 격차를 조사하는데, 보고서의 편집자인 존 헬리웰은 “최근 3년 동안 국가별 행복도의 평균은 상당히 안정적이었다”고 말했다. 세계 행복 보고서에 따르면, 국가별 행복 수준을 파악하는 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