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로택시’ 성장 속도 가팔라

공공앱 ‘대구로택시’ 출범 두 달 만에 목표 대비 2배 가입

호출 택시 시장에서 카카오택시 독점을 깨겠다며 도전장을 던진 ‘대구로 택시’가 출범 두 달 만에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대구 시내에서 운행 중인 택시 두 대 가운데 한 대꼴로 ‘대구로 택시‘에 가입했다.

 

‘대구로 택시’ 서비스가 출시된 지난해 12월 22일 이후 두 달이 경과한 2월 17일 현재, 대구시 전체 운행 택시 1만 3,914대 중 7,826대(56.2%)가 가입했다.

 

 

이는 당초 2023년 말까지 가입 목표(4,000대)를 이미 뛰어넘었으며(목표 대비 196%), 1일 호출 수와 총 누적 호출 수가 각각 9,334건과 24만 5,732건으로 성장이 가파르다.

 

‘대구로 택시’에는 이용자가 자신의 택시 이용 정보를 부모, 지인 등 3명에게 문자메시지로 전송하는 ‘안심귀가서비스’뿐만 아니라 어린이나 노약자 등을 위해 호출과 결제를 대신해주는 ‘제3자 택시 지원 서비스’의 기능도 있다.

 

또 이용 시민에게는 호출료 무료 혜택과 마일리지를 이용한 결제, 첫 탑승 시 3,000원, 재탑승할 때마다 2,000원의 할인쿠폰을 제공하고 있다.

 

택시 종사자에게는 초기 6개월간 수수료가 무료이며 그 이후는 월 3만 원 정도로 부담이 크지 않다는 평가이다.

 

 

‘대구로 택시’가 불과 2개월의 짧은 기간에 폭발적인 성과를 낸 것은 파격적인 금전적 혜택과 더불어 가입자 36만 명에 이르는 공공배달 앱을 탑재한 덕분에 초기 시장 진입에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민간 앱과의 지속적인 경쟁력 확보를 위해 기술 업그레이드, 개인정보 보호 문제, 지자체 보조금 의존에서 벗어날 수 있는 수익모델 확보 등 끊임없는 노력을 해야 하는 부담도 안고 있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경주시, APEC 손님맞이 전통시장에 영문 안내판 영문 메뉴판 비치

경주시는 2025년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외국인 방문객 맞이 전통시장 환경개선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11일 시에 따르면, 오는 6월까지 총사업비 1억 원(전액 시비)을 투입해 관내 전통시장 5곳에 다국어 안내체계를 구축하고 노후시설을 정비할 계획이다. 사업은 △다국어 서비스 개선 △시설 인프라 정비 등 2개 분야로 구성됐다. 다국어 서비스 개선 부문에서는 안강시장 등 4개소에 2,000만 원을 들여 영문 간판을 병기하고, 불국사상가시장에는 500만 원을 투입해 상가 안내도를 교체한다. 중앙시장 야시장과 성동시장 먹자골목에는 1,500만 원을 들여 다국어 메뉴판을 제작·비치할 예정이다. 시설 인프라 정비 분야에서는 황성상점가의 노후 간판을 500만 원을 들여 교체하고, 외동시장에는 3,000만 원을 투입해 통행로를 정비한다. 성동시장에는 2,500만 원의 예산으로 분리수거장을 새롭게 조성할 방침이다. 시는 지난달 사업 시안 검토를 마쳤으며, 이달부터 공사에 착수해 다음 달까지 모든 작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이번 사업은 전통시장의 이용 환경을 개선하고, 외국인 관광객들이 보다 편리하게 방문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는 데 의의가 있다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