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인의 글

어떤 국정감사를 하려 하는가

국정감사의 계절이다.

 

국민의 대의기관인 국회가 행정부 및 사법부 등

국정 전반에 걸쳐 조사를 행하는 것으로

견제와 균형이라는 입법부의 권능에 기인하는 것이니

민주헌법이 보장하는 국정감사는 관련법에 따라 질서 있게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지난 9월 14일 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공노총)은

국정감사 관행개선 촉구 기자회견을 가졌다.

 

“국회의 관심을 촉구하는 바이다”

 

무리한 자료 요구와 감사권 남용하는 구태를 시정할 것을 주장하였다.

 

무분별하고 과도한 자료요구로 지방정부 공직자들이

감당하기 어려운 고통을 겪는 것과 국가 위임사무 외

지방정부의 고유사무까지 감사의 대상으로 함으로써 불법 시비까지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어디 그뿐인가?

 

너무 많은 증인이나 참고인을 불러놓고 심문하지 않고 하루 종일 앉혀놓는다든지

채택여부를 놓고 민간 기업들의 애를 태우는 사례도 있다.

 

증인 신문 방법에 있어 고압적인 태도는 시대에 맞지 않아 사라져야 할 것이다.

 

이밖에 국정감사장이 정쟁의 장으로 변질되어서는 안 되겠다.

증인과 참고인 등을 앉혀놓고 본연의 국정감사 대신 정쟁에 몰두함으로써

국민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추태가 이번 국정감사에서 반복되지 않기를 바란다.

 

지금 경제와 민생이 심상치 않다.

물가와 금리는 치솟고 환율은 금융위기 때보다 더 오르며 무역수지는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잘나가던 대기업들마저 난관이 예상된다.

정쟁을 멈추고 국민을 살리는데 나서길 바란다.

 

※ 국정감사, 국민들이 보고있어요~

 

2022년 10월 《지방정부》, 《지방정부 tvU》 발행인

 

배너

발행인의 글


김해시 전국 최초 공원묘지 플라스틱조화 사용금지 시책 전국 확산에 이어 입법 성과까지

2050 탄소 중립 실현 위해 정부 및 지자체, 공공기관이 노력하는 가운데 경남 김해시가 전국 최초로 도입한 공원묘지 내 플라스틱 조화 사용금지 시책이 눈길을 끈다. 김해시는 지난해 공원묘지 내 플라스틱 조화 반입을 금지하는 시책을 발굴해 시행해왔다. 공원묘지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조화는 중국에서 수입해오는 데다가 재활용 자체가 안 되는 저질의 합성수지와 철심으로 구성되어 있어 전량 소각 내지 매립되는 쓰레기로 분류됐다. 풍화 시 미세플라스틱 입자가 발생하며 소각할 때 다량의 탄소가 배출돼 환경 오염을 유발하고 인체에도 유해하다는 이유에서다. 민관의 자발적 협약과 시민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한 결과 지역 공원묘지 4만 7,000여 기의 묘지에 놓여 있던 플라스틱 조화가 1년 만에 모두 퇴출되는 성과를 거뒀다. 환경을 위해 참신하고 좋은 정책으로 평가 받으며 경기, 부산, 울산, 강원, 충북, 충남, 경북 등 전국 지자체가 앞 다퉈 벤치마킹해갔다. 플라스틱 조화 사용을 하지 말자는 필요성과 사회적 공감대를 이루었으나 법적·제도적 근거가 없어 추진에 어려움이 있었다고 김해시 측이 밝혔다. 김해시는 시책에 그치지 않고 법적·제도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자원의 절약과

헬싱키시 바닷물 이용 가정 난방사업 추진

핀란드 수도 헬싱키시가 바닷물을 이용해 가정 난방을 하는 지속 가능한 난방사업에 착수했다. 발틱해 해저까지 닿는 터널을 건설해 바닷물을 퍼 올린 다음 히트 펌프로 지역난방을 위한 전기를 생산한다는 복안이다. 현재 가동 중인 석탄발전소 2개 중 하나가 해수 이용 에너지 사업 기지로 바뀌고 석탄발전은 2024년 중단된다. 상온을 유지하는 심층 해저수를 끌어올려 히트 펌프로 재처리해 열을 생산하는 바닷물 이용 난방사업은 앞으로 2년 내에 사업계획을 구체화하고 5년 이내에 상용화한다는 계획이다. 이 사업의 추정 사업비는 약 4억 유로(5,456억 원)이다. 헬싱키 최대 에너지 기업인 헬렌 오이(Helen Oy)가 스페인 건설사 Acciona SA, 지역인프라기업 YIT Oyj와 손잡고 이 사업을 시행한다. 헬렌 오이에 따르면 2021년에 헬싱키 지역난방의 75% 이상에 화석연료가 사용됐다. 시 당국은 앞으로 해수를 이용해 헬싱키 가구 40%의 난방을 해결하는 것을 1차 목표로 삼았다. 현재 대다수 헬싱키 가정은 석탄과 천연가스를 사용해 열과 전기를 생산하는 지구난방시스템으로 난방을 한다. 헬싱키 건축물 90% 이상이 이 난방시스템에 연결돼 있고 2개의 석탄 이용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