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하늘을 수놓는 반딧불이의 빛처럼, 무주의 9월은 다시 한번 생명의 빛으로 물든다. 제29회 무주반딧불축제가 오는 9월 6일부터 14일까지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일원에서 성대하게 열린다. 1997년 시작된 이래 29년 동안 꾸준히 진화해 온 본 축제는 생태문화축제의 롤모델로 자리 잡았다. 올해는 “도심을 떠나 자연에 머무는 체류형 축제”로 한 걸음 더 나아간다. 도시와 일상에 지친 이들이 잠시 머물러 숨을 고르고, 별을 보고, 자연을 마주하는 시간이 바로 이 축제의 본질이다. 황인홍 무주군수는 “무주반딧불축제는 문화체육관광부 선정 대한민국 대표 축제로 자리매김했다."며 “올해는 더욱 생태감성 충만한 프로그램과 자연친화적 콘텐츠로 관람객의 오감을 사로잡을 것”이라고 말했다. 반딧불이가 되어 자연의 품속으로 화려한 미디어 대신 자연의 진정성을 전면에 내세운 무주반딧불축제는 ‘I’m BANDI[나는 반딧불]’이라는 슬로건 아래, 관광객 스스로가 반딧불이가 되어 자연의 품 속으로 들어가는 체험을 중심에 둔다. 밤이 되면 탐사버스를 타고 반딧불이 서식지로 떠나는 ‘신비탐사’는 자연에 대한 경이로움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인기 콘텐츠다. 또한 반디별 소풍, 1박2일 생
제19회 무주안성낙화놀이축제가 오는 6일과 7일 무주군 안성면 두문마을 일원에서 개최된다. 행사는 두문마을 낙화놀이 보존회가 주최·주관하며 무주군이 후원한다. 무주안성낙화놀이축제는 두문마을 주민들이 전북특별자치도 무형유산이자 전통 불꽃놀이인 ‘낙화놀이’를 알리고 이를 통해 사라져가는 전통문화 계승한다는 취지에서 지난 2006년부터 개최해 오고 있다. 물 위에서 즐기는 전통 불꽃놀이인 낙화(落花)놀이는 떨어지는 불꽃이 마치 꽃과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한지에 쑥과 숯, 소금을 넣어 만든 낙화봉(100~200개)을 긴 줄에 매달아 불을 붙이면 그 줄을 타고 이어지는 불꽃이 장관이다. 올해는 19회째를 맞아 첫날에는 저녁 5시 30분부터 마을대동제와 축하공연, 낙화놀이 시연을 즐길 수 있으며 7일에는 저녁 6시부터 축하공연을 비롯해 낙화놀이 시연이 진행된다. ‘소원 낙화봉 만들기’와 ‘업사이클링(upcycling) 열쇠고리 만들기’ 체험도 즐길 수 있다. 닭개장을 비롯해 채소전, 주먹밥 등 마을 주민들이 직접 준비한 다양한 먹거리도 맛볼 수 있으며 인근 체험휴양마을(무주군 농촌활력과 미을공동체팀)에서 숙박도 가능하다. 박일원 무주안성낙화놀이 보존회장은 “불